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학 > 사회학 일반
· ISBN : 9791195824908
· 쪽수 : 344쪽
· 출판일 : 2016-06-23
책 소개
목차
서문 - 알아야 할 것들 ......................................................7
1 평판 블랙박스 : 데이터 폭주 시대의 디지털 평판 ............35
2 검색 블랙박스 : 감춰진 로직 .........................................97
3 금융 블랙박스 : 황제의 새 코드 ...................................163
4 감시자 감시하기 .........................................................223
5 알기 쉬운 사회를 향하여 .............................................295
감사의 말
리뷰
책속에서
‘블랙박스’라는 용어는 그 자체의 이중적인 의미 덕분에 이런 문제를 이해하기 위한 비유로써 유용하다. 블랙박스는 본래 비행기, 기차, 자동차 안에 들어있는 데이터 모니터링 시스템 같은 기록 장치를 의미한다. 또는 불가사의한 방식으로 작동하는 시스템을 의미하기도 한다. 인풋과 아웃풋은 확인할 수 있어도 인풋이 어떻게 아웃풋으로 바뀌는지는 알 수 없는 시스템 말이다. 우리는 매일같이 이런 두 가지 의미의 블랙박스에 직면하고 있다. 기업과 정부로부터 갈수록 더 면밀히 추적당하면서도, 이런 정보가 얼마나 광범위하게 유통 및 활용되는지, 그리고 그 결과가 어떠한지는 명확히 알지 못하는 것이다. _ <서문> 중에서
금융 기업이 돈을 다룬다면, 인터넷 기업들은 관심을 다룬다. 그들은 특정한 아이디어, 상품, 서비스로 사회의 관심을 몰아가는 한편, 나머지 부분에 대한 관심은 식게 만든다. 그들은 우리가 보게 될 세상을 조직하고, 우리는 그들이 제공하는 데이터 기반의 편의를 기꺼이 환영해왔다. 그러나 이제는 그 비용에 대해 솔직해질 필요가 있다. _ <서문> 중에서
이 책에서는 블랙박스를 비공개로 유지하는 결정적인 전략 세 가지를 살펴볼 것이다. 즉 실질적 비밀주의, 합법적 비밀주의, 난독화obfuscation 전략이다. 실질적 비밀주의는 감춰진 콘텐츠와 그에 대한 비인가된 접근 사이에 장벽을 설치하는 것이다. 우리는 문을 잠그거나 이메일에 비밀번호를 설정하는 등 매일매일 실질적 비밀주의를 이용한다. 합법적 비밀주의는 특정한 정보에 접근하는 사람들에게 그 정보를 비밀로 유지할 의무를 부여하는 것이다. 은행 직원은 법적 규정 및 근로 계약에 따라 고객 정보를 주변인에게 발설하지 않을 의무를 지닌다. 난독화 전략이란 비밀주의가 위협받을 때 의도적으로 은폐하려는 방법을 말한다. 이를테면 기업들은 정보 요청에 3,000만 페이지짜리 문서를 제출하여 수사관이 모래사장에서 바늘을 찾게 만드는 식으로 대응할 수 있다. 이상 세 가지 전략의 최종 결과는 불투명성이다. 이 책에서 불투명성이란 해소할 수 있는 불가해성을 포괄적으로 의미하는 용어다. _ <서문>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