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블랙박스 사회

블랙박스 사회

(당신의 모든 것이 수집되고 있다)

프랭크 파스콸레 (지은이), 이시은 (옮긴이)
안티고네
16,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블랙박스 사회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블랙박스 사회 (당신의 모든 것이 수집되고 있다)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학 > 사회학 일반
· ISBN : 9791195824908
· 쪽수 : 344쪽
· 출판일 : 2016-06-23

책 소개

실리콘밸리의 스타트업 기업들은 이제 새로운 구글이나 아마존이 되는 게 목표가 아니다. 그들의 목표는 구글에 얼마에 팔릴 것인가이다. 저자는 이 상황이 '불가사의한 방식으로 작동하는 시스템', 즉 블랙박스 시스템 때문이라고 말한다.

목차

서문 - 알아야 할 것들 ......................................................7

1 평판 블랙박스 : 데이터 폭주 시대의 디지털 평판 ............35
2 검색 블랙박스 : 감춰진 로직 .........................................97
3 금융 블랙박스 : 황제의 새 코드 ...................................163
4 감시자 감시하기 .........................................................223
5 알기 쉬운 사회를 향하여 .............................................295

감사의 말

저자소개

프랭크 파스쿠알레 (엮은이)    정보 더보기
메릴랜드 대학의 법학 교수로, 예일 대학 로스쿨 정보사회프로젝트Information Society Project의 제휴 연구원이며, 빅데이터·윤리·사회 협의회Council for Big Data, Ethics, and Society의 회원이다. 저자는 지난 10년 동안 법을 이용해 블랙박스 사회를 더 투명하게 만들 방법을 모색하며 많은 시간을 보냈다. 또한 데이터마이너Data miner가 사람들에 관해 하는 이야기를 당사자들에게 알려주기 위해 ‘공정한 평판 보고’를 제안해왔다. 검색엔진이 개인과 기업을 평가하고 순위를 매기는 방식을 감독하기 위해 ‘연방검색위원회’의 신설을 권하기도 했다. 뿐만 아니라 금융 투명성을 제고하기 위한 몇몇 모임에 아이디어를 제공해왔다. 하버드 대학 출판부에서 출간된 이 책을 통해 저자는 열정적으로 ‘블랙박스 사회’의 뚜껑을 열고 그 내부-금융의 비밀주의부터 신용 평점까지, 검색엔진부터 자동화된 의사 결정까지, 제도상의 투명성부터 정부와 대기업의 유착까지-와 그로 인한 폐해를 폭넓은 이슈들을 아우르면서 파헤칠 뿐만 아니라, 앞으로 우리 사회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펼치기
이시은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서양사학과와 KAIST 경영대학원 MBA를 졸업했다. 대기업과 컨설팅사를 거쳐 지금은 바른번역의 번역가 겸 자유기고가로 활동 중이다. 옮긴 책으로는 『와이저』 『누가 진실을 말하는가』 『짧고 깊은 철학 50』 『가장 위험한 책』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블랙박스’라는 용어는 그 자체의 이중적인 의미 덕분에 이런 문제를 이해하기 위한 비유로써 유용하다. 블랙박스는 본래 비행기, 기차, 자동차 안에 들어있는 데이터 모니터링 시스템 같은 기록 장치를 의미한다. 또는 불가사의한 방식으로 작동하는 시스템을 의미하기도 한다. 인풋과 아웃풋은 확인할 수 있어도 인풋이 어떻게 아웃풋으로 바뀌는지는 알 수 없는 시스템 말이다. 우리는 매일같이 이런 두 가지 의미의 블랙박스에 직면하고 있다. 기업과 정부로부터 갈수록 더 면밀히 추적당하면서도, 이런 정보가 얼마나 광범위하게 유통 및 활용되는지, 그리고 그 결과가 어떠한지는 명확히 알지 못하는 것이다. _ <서문> 중에서


금융 기업이 돈을 다룬다면, 인터넷 기업들은 관심을 다룬다. 그들은 특정한 아이디어, 상품, 서비스로 사회의 관심을 몰아가는 한편, 나머지 부분에 대한 관심은 식게 만든다. 그들은 우리가 보게 될 세상을 조직하고, 우리는 그들이 제공하는 데이터 기반의 편의를 기꺼이 환영해왔다. 그러나 이제는 그 비용에 대해 솔직해질 필요가 있다. _ <서문> 중에서


이 책에서는 블랙박스를 비공개로 유지하는 결정적인 전략 세 가지를 살펴볼 것이다. 즉 실질적 비밀주의, 합법적 비밀주의, 난독화obfuscation 전략이다. 실질적 비밀주의는 감춰진 콘텐츠와 그에 대한 비인가된 접근 사이에 장벽을 설치하는 것이다. 우리는 문을 잠그거나 이메일에 비밀번호를 설정하는 등 매일매일 실질적 비밀주의를 이용한다. 합법적 비밀주의는 특정한 정보에 접근하는 사람들에게 그 정보를 비밀로 유지할 의무를 부여하는 것이다. 은행 직원은 법적 규정 및 근로 계약에 따라 고객 정보를 주변인에게 발설하지 않을 의무를 지닌다. 난독화 전략이란 비밀주의가 위협받을 때 의도적으로 은폐하려는 방법을 말한다. 이를테면 기업들은 정보 요청에 3,000만 페이지짜리 문서를 제출하여 수사관이 모래사장에서 바늘을 찾게 만드는 식으로 대응할 수 있다. 이상 세 가지 전략의 최종 결과는 불투명성이다. 이 책에서 불투명성이란 해소할 수 있는 불가해성을 포괄적으로 의미하는 용어다. _ <서문>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