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여성학/젠더 > 여성문제
· ISBN : 9791196604455
· 쪽수 : 500쪽
· 출판일 : 2020-09-30
책 소개
목차
들어가는 말
1 남성만의 성역, 268년
2 슈퍼우먼
3 남성 지도자 1000명
4 자각
5 성차별 없는
6 마거릿, 마이크를 요구하다
7 시스터후드
8 규칙을 깨뜨리다
9 반대
10 성장
11 탱크 대 비비탄 총
12 산이 움직일 때가 왔다
나오는 말
감사의 글
참고 문헌
구술 사료와 인터뷰
찾아보기
리뷰
책속에서
당시 예일 대학을 있는 그대로 그려보려면 남성만 사는 마을을 상상하면 된다. 월요일부터 금요일까지 학생들은 남성만 있는 교실에서 수업을 듣고 남성만 있는 식당에서 밥을 먹고 남성끼리만 과외활동을 하고 남성만 있는 기숙사로 돌아왔다. 1967년 예일 대학교Yale university는 대학원에 진학해서 학업을 계속 이어가는 여성을 드문드문 받아들였다. 반면 이 대학교의 심장부인 예일 대학Yale collage은 굳건하게 남성만 고집했다. _「1 남성만의 성역, 268년」
예일 대학은 스스로 남녀공학이라고 불렀지만, 이해 입학한 학생의 87퍼센트가 남학생이었다. ‘남녀공학’ 첫 주가 끝날 무렵 신입 여학생들은 깨달았다. 한쪽으로 치우친 이 비율 때문에 예일 대학에서 어떤 경험을 겪을 것인지. “가장 끔찍한 점은 끊임없이 이목을 끈다는 거예요. 직접 당하기 전에는 상상도 못한 일이었어요”라고 한 신입 여학생은 전했다. 한 교수의 말처럼 예일대 여학생에게는 “우리가 얻을 수 있는 가장 소중한 권리, 즉 눈에 띄지 않을 수 있는 특권”이 허락되지 않았다. _「3 남성 지도자 1000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