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가톨릭 > 가톨릭 신학
· ISBN : 9791197844683
· 쪽수 : 416쪽
· 출판일 : 2022-12-15
책 소개
목차
성 요한 바오로 2세 교황의 격려와 축복의 말씀
교황 레오 13세의 회칙 발췌문
성 요한 바오로 2세 교황의 회칙 발췌문
『신학대전』 완간을 꿈꾸며
『신학대전』 간행계획
일러두기
일반 약어표
성 토마스 작품 약어표
‘신앙(II)’ 입문
제8문 통찰의 선물에 대하여
제1절 통찰은 성령의 선물인가?
제2절 통찰의 선물은 신앙과 동시에 존재할 수 있는가?
제3절 선물로 제공되는 통찰은 사변적이기만 한가 또는 실천적이기도 한가?
제4절 통찰의 선물은 은총을 지닌 모든 이에게 내재하는가?
제5절 통찰의 선물은 하느님을 기쁘시게 만드는 은총을 지니지 못한 이들에게서도 발견되는가?
제6절 통찰의 선물은 다른 선물들로부터 구별되는가?
제7절 통찰의 선물은 여섯째 참행복, 즉 ‘마음이 깨끗한 사람들! 그들은 하느님을 뵐 것이다’에 상응하는가?
제8절 열매들 안에서 신앙은 통찰의 선물에 상응하는가?
제9문 지식의 선물에 대하여
제1절 지식은 선물인가?
제2절 지식의 선물은 신적인 것에 관한 것인가?
제3절 선물로서 제시된 지식은 실천적 지식인가?
제4절 지식의 선물은 셋째 참행복, 즉 ‘슬퍼하는 사람들! 그들은 위로를 받을 것이다’에 상응하는가?
제10문 불신앙 일반에 대하여
제1절 불신앙은 죄인가?
제2절 불신앙은 주체 안에 있는 것처럼 지성 안에 있는가?
제3절 불신앙은 가장 큰 죄인가?
제4절 비신자의 모든 행위가 죄인가?
제5절 다수의 불신앙의 종이 존재하는가?
제6절 이교도와 미신자의 불신앙이 다른 이들보다 더 무거운가?
제7절 비신자들과 공적으로 토론해야만 하는가?
제8절 비신자들은 신앙으로 강요되어야 하는가?
제9절 비신자들과 교제할 수 있는가?
제10절 비신자들이 신자들 위에서 감독권이나 지휘권을 가질 수 있는가?
제11절 비신자들의 전례는 용인되어야 하는가?
제12절 유다인들과 다른 비신자들의 아이들은 부모가 싫어하는데도 세례를 받아야 하는가?
제11문 이단에 대하여
제1절 이단은 불신앙의 한 종인가?
제2절 이단은 고유하게 신앙에 속하는 것들에 관련되는가?
제3절 이단은 용인되어야만 하는가?
제4절 이단으로부터 되돌아온 자들은 교회에 의해서 받아들여져야 하는가?
제12문 배교에 대하여
제1절 배교는 불신앙에 속하는가?
제2절 신앙으로부터의 배교 때문에 제후는 아랫사람들에 대한 지휘권을 상실해서, 그들이 더 이상 그에게 복종할 의무가 없는가?
제13문 독성의 죄 일반에 대하여
제1절 독성은 신앙 고백에 반대되는가?
제2절 독성은 항상 사죄인가?
제3절 독성의 죄는 가장 큰 죄인가?
제4절 단죄된 자들은 독성을 범하는가?
제14문 성령을 거스르는 독성에 대하여
제1절 성령을 거스르는 죄는 어떤 악의으로부터 오는 죄와 동일한가?
제2절 성령을 거스르는 죄의 여섯 가지 종(種)은 적절하게 지정되었는가?
제3절 성령을 거스르는 죄는 용서받을 수 없는가?
제4절 인간은 처음으로 성령을 거슬러 죄를 지을 수 있는가?
제15문 정신의 맹목과 감각의 우둔함에 대하여
제1절 정신의 맹목은 죄인가?
제2절 감각의 우둔함은 정신의 맹목과는 다른 죄인가?
제3절 정신의 맹목과 감각의 우둔함은 육적인 죄로부터 발생하는가?
제16문 신앙, 지식, 통찰에 관련된 계명에 대하여
제1절 신앙에 관한 계명이 구약 안에 주어졌어야 하는가?
제2절 옛 법 안에 지식과 통찰에 속하는 계명들이 적절하게 전수되었는가?
주제 색인
인명 색인
고전작품 색인
성경 색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