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남북통합 추진전략

남북통합 추진전략

(코리안드림과 통일한국을 향한)

구필현, 박동순, 박성기, 안찬일, 조병현, 정경영, 최용호 (지은이)
GDC미디어
3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1,500원 -10% 0원
1,750원
29,7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8개 23,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남북통합 추진전략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남북통합 추진전략 (코리안드림과 통일한국을 향한)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통일/북한관계 > 통일문제
· ISBN : 9791198232045
· 쪽수 : 648쪽
· 출판일 : 2024-12-26

책 소개

통일한국의 비전을 제시하면서 통일을 위한 남북한 체제, 외교안보, 경제, 군사, 사회문화, 국토통합 추진전략을 모색하고 실행 로드맵을 제안하였다.

목차

∙발간사 (서인택 통일을실천하는 한국글로벌피스재단 이사장) 3
북한체제 변화의 시나브로와 코리안드림
∙머리말 6
∙권두언 (문현진 글로벌피스재단 세계의장)
평화롭고 자유로운 번영된 새로운 통일한국 건설 23
∙프롤로그
코리안드림 구현과 남북통일․통합의 지향 방향 32
새로운 통일․통합 추진 전략과 모델 모색 52

제1장 남북 체제통합 추진전략 75

제1절 이론적 고찰과 선행연구 79
1.1 이론적 고찰 79
1.2 선행연구 85
1.3 시사점 88
제2절 현실태 분석 90
2.1 남한의 체제 변화 재조명 90
2.2 북한의 체제 변화 재조명 97
2.3 체제통합을 위한 남북한의 노력 102
2.4 시사점 104
제3절 추진 방향 106
3.1 체제통합과 한반도형 연합․연방제 통합 106
3.2 홍익인간사상 구현 110
3.3 문명공동체 구축 112
제4절 추진전략 115
4.1 통합의 절차와 협치주의에 입각한 통합전략 115
4.2 한반도형 연합제 통합전략 121
4.3 한반도형 연방제 통합전략 124
4.4 북한의 시민사회 지원전략 126
4.5 북한의 전면전, 국지도발 위협 대응전략 127
4.6 시사점 129
제5절 소결론 131
5.1 요지 131
5.2 정책제안 132
5.3 제한사항 135

제2장 통일외교안보 추진전략 137

제1절 신자유주의적 제도주의 고찰과 선행연구 140
1.1 신자유주의적 제도주의 고찰 141
1.2 선행연구 142
1.3 시사점 145
제2절 현실태 분석 146
2.1 평화통일 추진 현실태 147
2.2 남북관계 차원 통일활동 154
2.3 윤석열 정부의 새로운 통일미래 비전 158
2.4 베트남종전 파리평화협정과
아프간종전 도하평화협정 161
2.5 한반도 안보환경 평가 163
2.6 북한 급변사태 가능성 판단 163
2.7 시사점 165
제3절 통일외교안보 추진 방안 168
3.1 양자 및 다자 통일외교전략 168
3.2 북한 남침 및 타이완․한반도 동시 전쟁 시나리오 187
3.3 북한 급변사태 192
3.4 시사점 198
제4절 통일외교안보 추진전략 198
4.1 평화통일 추진전략 199
4.2 한반도 전쟁 시 한국의 응전전략 200
4.3 북한 급변사태 시 한국의 대응전략 215
4.4 시사점 221
제5절 소결론 222
5.1 요지 222
5.2 정책제안 226
5.3 제한사항 230

제3장 남북 경제협력․통합 추진전략 231

제1절 신기능주의 고찰과 선행연구 235
1.1 신기능주의 고찰 235
1.2 선행연구 237
제2절 남북 경제협력 현실태 분석 240
2.1 역사적 배경 및 초기 협력 241
2.2 개성공단사업 241
2.3 경제협력의 중단 및 재개 가능성 248
2.4 시사점 251
제3절 남북 통합과 북한경제의 민영화 정책 254
3.1 민영화 정책의 대상 255
3.2 민영화 정책의 추진 단계 257
3.3 민영화 정책의 세부 형태 261
3.4 시사점 264
제4절 남북 통합 이전과 이후의 민영화 목표 265
4.1 민영화 목표 266
4.2 남북 통합 이전 민영화 초기단계 270
4.3 통합 이후 민영화 실행단계 278
4.4 시사점 285
제5절 소결론 286
5.1 요지 286
5.2 정책 제안 288
5.3 제한 사항 291

제4장 남북 군사통합 추진전략 295

제1절 제도주의 이론 고찰과 선행연구 299
1.1 제도주의 이론 고찰 299
1.2 군사통합에 대한 선행연구 301
1.3 군사통합의 단계와 핵심 과제 305
1.4 남북한 군사통합의 목표와 접근 방법 307
1.5 통일한국의 안보전략과 군사통합 310
1.6 군사통합 유형 312
1.7 시사점 314
제2절 현실태 분석 315
2.1 남북한 군사분야 합의에 대한 재조명 316
2.2 한반도 군사통합에 대한 주변국의 영향 요인 318
2.3 남북한의 내부적 영향 요인 319
2.4 북한군 내부의 입장과 저항 요인 322
2.5 남북한 군사통합 시 예상되는 갈등과 해소 방안 324
2.6 시사점 327
제3절 군사통합 방안 328
3.1 군사통합 추진의 전제조건 329
3.2 통일한국의 군사정책 영향 요인 331
3.3 통일한국의 군사적 요구와 통일한국군의 정형 333
3.4 시사점 344
제4절 군사통합 추진전략 345
4.1 남북한 군사통합의 원칙 346
4.2 남북한 군사통합의 단계 346
4.3 남북한 군사통합 주요과제의 단계별 추진 352
4.4 시사점 363
제5절 소결론 364
5.1 요지 364
5.2 정책제안 366
5.3 제한사항 367

제5장 남북 사회문화통합 추진전략 369

제1절 이론적 고찰과 선행연구 373
1.1 구성주의 이론과 북한 사회문화 특징 373
1.2 선행연구 378
1.3 시사점 381
제2절 북한 사회문화 실태 분석 384
2.1 김일성 정권의 사회문화: 전통문화 탈피 384
2.2 김정일 정권의 사회문화: 대동강문명 성립기 394
2.3 김정은 체제의 사회문화: 두 개 국가론 407
제3절 남북 사회문화 통합 추진방향 416
3.1 사회문화 통합에서 전쟁문화 극복 416
3.2 남한의 군대문화와 순기능 424
제4절 남북한 사회문화 통합 추진전략 426
4.1 남북한 언어의 이질화 극복 427
4.2 남북한 문화적 이질화 극복 432
4.3 남북한 교류협력의 지속 436
4.4 한반도형 프라이카우프와 사회문화 통합 438
제5절 소결론 442
5.1 요지 442
5.2 정책 제안 445
5.3 제한사항 450

제6장 남북 국토통합 추진전략 451

제1절 신제도주의 고찰과 선행연구 455
1.1 신제도주의 이론의 개념과 유용성 455
1.2 선행연구 457
1.3 시사점 462
제2절 현실태 분석 463
2.1 국토정보 464
2.2 국토관리 477
2.3 국토개발 489
2.4 시사점 500
제3절 추진방안 502
3.1 남북 국토통합 목표 설정 502
3.2 인프라구축 수요 추정 505
3.3 국토통합 재원조달 508
3.4 남북 국토통합 마스터 플랜 수립 511
제4절 추진전략 513
4.1 단계적 접근 측면 514
4.2 법적․제도적 기반 구축 측면 516
4.3 경제적․사회적 협력 강화 측면 518
4.4 국제사회와의 협력 구축 측면 520
제5절 소결론 521
5.1 요지 522
5.2 정책제안 523
5.3 제한사항 525

제7장 분단국 통일·통합사례 연구 527

제1절 우리 역사 속에 이룬 민족의 통일사례 531
1.1 신라의 통일 사례 532
1.2 고려의 통일 사례 539
제2절 주요 분단국의 통일사례 544
2.1 독일의 통일사례 544
2.2 베트남의 통일사례 560
2.3 예멘의 통일사례 583
제3절 통일사례 연구를 통해 도출한 시사점 587
3.1 우리 민족의 통일사례 사사점 587
3.2 주요 분단국의 통일사례 시사점 590

에필로그 595
참고문헌 617
핵심어 640
저자 소개 642

저자소개

안찬일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건국대학교 대학원에서 “북한의 통치이데올로기에 관한 연구”로 정치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현재 민주평통 상임위원, 국방부 정책자문위원, 육군발전 자문위원, 사)세계북한연구센터 이사장, 한국열린사이버대학 석좌교수, 통일천사 공동 상임의장, 세계탈북민총연맹 총재로 활동하고 있다. 국가정보원 북한 연구실장을 역임하였고, 미 컬럼비아대학 초빙교수와 버지니아대학 초빙학자, 서강대, 중앙대, 서울교대, 연세대, 건국대에 출강하였다. 각종 언론 매체에 출연하고 있으며, 미국 워싱턴 《자유아시아방송》, rfa에 <안 박사의 주간 진단> 프로를 5년째 진행 중이다. 주요 저서로 『주체사상의 종언』(1997), 『북한총람』(2024), 『북한 사회의 이해』(1995) 등과 주요 논문으로 “김정일 시대 군의 정치기구에 관한 연구”, “김정은 시대의 당군관계 연구” 등이 있다. 통일운동에 기여한 공로로 대통령 표창장과 행정안전부장관 표창장을 수여받았다.
펼치기
최용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프리랜서로 활동하고 있다. 경기대 정치전문대학원에서 “베트남전쟁에서 한국군의 민사작전 연구” 논문으로 국제정치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최박사는 육군대학 교수부 교관으로 6년 동안(1984-1990) 전술학을 강의하였다.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책임연구원, 전쟁사2부장 등을 역임(2001-2011)하였다. 2011년 국방부에서 퇴직한 후 사단법인 전쟁과평화연구소를 설립하여 소장으로 근무(2011-2017)하면서 경기대학교에서 정치학을, 육군대학에서 해외파병사를 강의하였다. 그 후 육군본부 군사연구실 객원연구위원(2018-2022)으로 『제3야전군사령부 변천사(1978- 2018)』 등 5권의 부대역사서를 집필하였다. 주요 저서로는 『베트남전쟁과 한국군』(2004), 『응답하라 1950 대한민국』(2017) 등 50여 권이 있다.
펼치기
조병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사)영천미래연구원장과 사)평화교육문화센터 종로평생교육원 부원장, 사)동학민족통일회 공동의장, 사)단재신채호선생기념사업회 「단재학당」 교장으로 재직하면서 단재학 정립과 바른 역사 회복에 대한 교육을 해오고 있다. 경일대학교에서 “지적학의 접근방법에 의한 북방영토문제에 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연세대학교에서 “통일 이후 북한지역 지적제도 개편 방안 연구”로 석사학위를 취득하였다. 대한지적공사(현 한국국토정보공사) 재직시 국토개발 지적기술사 국가자격을 취득하고, 개성공업지구 지적확정측량과 지적공부 작성업무를 총괄하였으며, 2006년부터 김책공업대학교와 학술교류 활동을 펼쳤다. 이후 동국대학교와 대구과학대학교, 경일대학교 겸임교수를 역임하였다. 주요 저서로는 『북한의 지적제도』(2001), 『북한토지론』(2004, 공저), 『북방영토연구』(2012), 『북한토지학』(2017, 공저), 『간도묵시록』(2020), 『조선사 정립과 통일』(2023, 공저) 등이 있으며, 영토와 통일, 역사 관련 논문 40여 편을 발표하였다.
펼치기
정경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양대 국제대학원 겸임교수로 2015년부터 동북아 국제관계, 국제정치경제, 세계정치에서 한국의 역할, 박사학위 논문작성법을 강의해오고 있다. 국방대·가톨릭대에서 초빙교수(2003-2014)를 역임하였다. 미 University of Maryland 대학원에서 “Building a Military Security Cooperation Regime in Northeast Asia: Feasibility and Design” 논문으로 국제정치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육군사관학교, 미 서던캘리포니아대학 대학원, 미 육군지휘참모대를 졸업하였다. 서부․중부․동부전선 지휘관과 합동참모본부·한미연합사·육군본부에서 정책·전략기획에 참여하였으며, 국가안보실 정책자문위원, AKU교수협회 학술연구원 원장을 역임하였다. 주요 저서는 『전작권 전환과 국가안보』(2022), 『피스 크리에이션: 한미동맹과 평화창출』(2020), 『민족분단의 현장에 서서』(1990), South Korea: The Korean War, Armistice Structure. and a Peace Regime (2020) 등이 있다.
펼치기
박동순 (지은이)    정보 더보기
육군3사관학교 졸업 경남대 대학원 졸업(정치학 박사)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국제분쟁사 부장 숙명여대/국민대학교 정치대학원 겸임교수 한성대 국방과학대학원 교수, 안보정책학과장(현) 저서·논문 『군사학개론』, 『국제분쟁과 평화활동』 등 다수
펼치기
박성기 (지은이)    정보 더보기
유원대학교 교수로 예술경영, 문화정책론, 사회복지행정 등을 강의하고 있으며, AKU교수협회 회장을 맡고 있다. 선문대학교 대학원에서 “비선호 시설에 대한 공공갈등 관리전략에 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강원대학교 경영행정대학원에서 “통일비용 절감을 위한 북한의 토지개혁 방안에 관한 연구”로 1996년에 석사학위를 받았다. 서경대학교와 선문대학교에서 안보학과 교수를 역임했다. 민주평화통일 협의회 천안시 자문위원, 국제로타리 3620지구 천안지역 회장, 코리안드림 강사 연수 담당 교수 등을 역임했다. 육군본부에서 “군 과학훈련장비개발 및 훈련시설 종합개발”에 관한 정책업무를 담당했으며, 연구 분야는 전쟁과 무기체계이다. 주요 논문으로 “코리안드림&통일한국 비전과 국제협력(한국글로벌피스재단, 2023)과 군사훈련장 관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한국정책학회, 2013) 등이 있다.
펼치기
구필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자유일보 국제부 부장과 동북아공동체문화재단 정책자문위원이다. 영국 런던대학교(LONDON) 아중동아프리카(SOAS)대학에서 “Civilian- Military Spin-on & Spin-off Technology Transfer: Case Study of South Korean Economic Development” 논문으로 개발연구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영국 University of Warwick에서 국제관계학 석사학위와 성균관대학교 정책학 석사학위를 취득하였고, 경영학 박사학위를 수료하였다. 이집트와 르완다 국립대학에 파견되어 한국정부의 ODA(해외원조)를 수행하였고, 성균관대 국제학부에서 겸임교수로 국제경영과 경영전략을 강의하였다. 현대자동차그룹 서울본사 국제금융과 IR담당 상무, 미국의 프라이스워터하우스쿠퍼스 선임컨설턴트와 영국의 스탠다드앤푸어스 선임애널리스트, 국방과학연구소 지상무기체계본부 연구원을 역임하였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