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세트] 어나더 경제사 1~2 세트 - 전2권

[세트] 어나더 경제사 1~2 세트 - 전2권

홍기빈 (지은이)
시월
44,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9,600원 -10% 0원
2,200원
37,4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2개 39,6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세트] 어나더 경제사 1~2 세트 - 전2권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세트] 어나더 경제사 1~2 세트 - 전2권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세계사 일반
· ISBN : K302833635
· 쪽수 : 744쪽
· 출판일 : 2023-07-01

책 소개

세상은 대체, 왜 이렇게 되었을까? <어나더 경제사>는 지난 3백 년 동안 벌어진 자본주의, 산업문명, 지구적 시스템이라는 세 개의 층위에서 그 답을 찾는다. 그리고 이 배경을 보려면 지난 5만 년 역사를 모두 들여다 봐야 한다.

목차

<어나더 경제사1>
어나더 경제사를 시작하며 4
어나더 경제사–자본주의 편 서문 18

PART 1. 고대 사회 경제 생활
1 구석기 시대 사람들이 지금 우리보다 더 풍요로웠다고? 28
2 고대 사회 선물 행위 37
3 재분배의 기원과 신전 경제 45
4 교환과 교역의 기원 51
5 고대 도시는 어떤 모습이었을까? 59
6 아리스토텔레스 경제 사상 69

PART 2. 중세 경제와 부르주아의 등장
1 주군, 봉신, 봉토 82
2 기도하는 자, 싸우는 자, 일하는 자 90
3 이익을 목표로 하지 않는 경제 활동 94
4 일하는 상인, 돈 버는 교회 102
5 상업의 발전과 부르주아의 탄생 108

PART 3. 자본주의 이전의 화폐
1 들어가기 전에 120
2 화폐에 대한 오해 130
3 일관된 가격 체계의 등장 143
4 계산화폐의 개념 149
5 임노동과 용병 제도로부터 주화가 발생하다 153
6 고대 아테네를 통해 알아보는 주화에 관한 두 가지 흥미로운 사실 160
7 알렉산더가 지나간 자리, 주화가 넘쳐흐르다 166
8 주화의 대혼란 시대 174
9 혼란을 수습하다 184

BRIDGE. 막스 베버를 통해 알아보는 자본주의
1 고대 자본주의와 근대 자본주의 190
2 합리적 자본주의의 시작 칼뱅주의 199

PART 4. 자본주의를 낳은 유럽 문명의 결정적 사건들
1 들어가기 전에 210
2 흑사병이 지나간 자리 218
3 파우스트, 과학혁명의 시작 224
4 양이 사람을 잡아먹고, 공동체가 해체된 사연 232
5 숫자가 바꾼 많은 것들 242

PART 5. 근대국가의 형성
1 주권, 영토, 질서 256
2 전쟁과 세금과 금융의 관계 265
3 무역과 중상주의 271
4 가진 자들이 설탕을 욕망한 결과 277
5 전국적 시장과 보편적 법질서의 확립 284
6 공무원 해적을 통해 이해하는 근대국가와 자본주의 291

PART 6. 신용과 은행
1 신용에 관한 유사 역사학 300
2 신용으로 운영되는 술 익는 마을 307
3 고대의 신용 313
4 우리는 환어음을 알아야 한다 322
5 은행은 벤치에서 나왔다 330
6 허공에서 돈을 만드는 황홀한 이야기 336
7 은행의 진화, 근대 은행의 탄생 341

PART 7. 권력은 화폐로 화폐는 권력으로
1 회사의 기원과 발전 351
2 주식회사의 등장 357
3 모두가 한통속이다 - 왕과 귀족과 부르주아의 관계 363
4 공민의 등장과 애덤 스미스 369

어나더 경제사 –자본주의 편을 마치며 378

<어나더 경제사2>
어나더 경제사 – 산업문명 편을 시작하며 6

PART 1. 산업문명, 세 가닥의 끈으로 꼬인 밧줄
1 생시몽, ‘산업’을 발견하다 20
2 ‘붉은 깃발 법’ 이야기 27

PART 2. 1차 산업혁명
1 들어가기 전에 36
2 면화가 바꾼 역사 45
3 왜 영국이었을까? 52
4 기술 변화의 특징 57
5 자본의 출현과 영속기업 64
6 노동계급의 출현 70
7 부는 늘지만, 사람은 짐승이 되어 간다 77
8 노동자 계급과 사회주의 운동의 등장 89

PART 3. 산업혁명 이후, 19세기 자본주의
1 경제학의 출현 1- 맬서스와 희소성 102
2 경제학의 출현 2 - 리카도와 자본 축적의 신화 110
3 모든 것을 상품으로 118
4 입헌국가의 출현 124
5 국제 금본위제 127
6 금본위제가 남긴 고통과 중앙은행의 진화 135
7 이중 운동과 제국주의 140
8 19세기 가장 위대한 발명, 철도의 등장 146
9 물류가 만들어 낸 공간적, 시간적 변화 151
10 철도로 인한 자본과 금융 시장의 변화 158

PART 4. 2차 산업혁명이 바꾸어 놓은 세상
1 기계적 과정에서 물리적 · 화학적 과정으로 166
2 기업 조직과 시장의 변화 173
3 금융 자본주의의 출현 180
4 생각하는 사람 따로, 실행하는 사람 따로 189
5 집단으로서의 노동자들, 강력한 힘을 발휘하다 196
6 산업의 시녀가 된 권력 기관으로서의 대학 205
7 왜 우리는 ‘캐슬’에 살고 싶어 하고, ‘에르메스’에 열광하는가? 215

INTERMEZZO. 2차 산업혁명과 19세기 ‘지구적 시스템’의 위기
1 19세기 세계 체제와 붕괴에 대한 공포 225
2 2차 산업혁명과 ‘국가-자본-트러스트’의 등장 229
3 금본위제와 2차 산업혁명의 모순 234

PART 5. 산업문명이 국가 자본주의 체제로
1 전쟁의 평화적 귀결과 ‘황금 족쇄’ 240
2 대공황의 시작 248
- 주식 대폭락과 금본위제의 파산
3 대공황 대책과 국가 자본주의 255
4 사회주의 운동의 변화와 정당 정치의 형성 261
5 파시즘, 권력, 세계 정복 269
6 새로운 세계 경제 질서를 만들다 273
- 브레턴우즈 체제와 GATT 체제
7 정규직 노동자의 탄생 281
8 젖과 꿀이 흐르는 풍요의 시대 287

PART 6. 전후 산업문명의 해체
1 풍요의 시대와 호르몬 295
2 지식 기반 경제로의 이행 300
3 ‘사람을 자본으로!’ 인적 자본론의 대두 303
4 세계 경제 시스템의 변동 308
5 경제 정책의 대변화 315
- 수요 측면 정책에서 공급 측면 정책으로
6 제3세계가 세계 경제에 편입되기까지 324
7 공산권 국가의 몰락 332

어나더 경제사–산업문명 편을 마치며 340

저자소개

홍기빈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경제학과와 외교학과 대학원을 졸업하고 캐나다 요크 대학교 정치학과에서 정치경제학으로 박사 과정을 수료했다. (재) 글로벌정치경제연구소 소장을 맡고 있다. 지은 책으로는 《어나더 경제사1, 2》, 《비그포르스, 복지 국가와 잠정적 유토피아》 등이 있 으며, 옮긴 책으로는 칼 폴라니의 《거대한 전환》, 개럿 스테드먼- 존스의 《칼 마르크스: 위대함과 환상 사이》(제59회 한국출판문화 상 번역상 수상), 케이트 레이워스 《도넛경제학》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자기가 살던 지역을 중심으로 어느 철에 어떤 지역으로 가면 어떤 과일을 먹을 수 있고, 어떤 시기에 어떤 호수로 가면 어떤 생선을 먹을 수 있는지 정확히 알고 있었습니다. 이를테면 “3월에는 어떤 지역에서 멧돼지 사냥을 해야 한다.” 혹은 “9월에는 바다에서 나는 어떤 생선이 좋더라.” 같은 명확한 데이터가 있었던 겁니다. 따지고 보면 이게 지금 우리가 이야기하는 제철 음식과 다름없죠. 그러니 구석기 시대 사람들은 철마다 제일 맛있는 과일을 먹고, 제일 통통한 잉어를 먹고, 알이 가득한 꽃게를 먹었던 셈입니다.
---1권, P. 33, 구석기 시대 사람들이 지금 우리보다 더 풍요로웠다고? 중에서


우리는 언제부터 그렇게 돈, 돈, 돈, 돈 했을까요? 분명 돈이 없었던 세상도 있었는데 말이죠. 중세 영국에서 와트 타일러Wat Tyler와 함께 농민반란을 일으켰던 존 볼John Ball이라는 성직자가 있었는데, 아주 유명한 말을 남겼죠.
“아담이 밭을 갈고 하와가 베를 짤 때 귀족이 어디 있었단 말이냐!”
생각해 보면 돈도 마찬가지 아닐까요? 태초에는 돈이 따로 있지 않았고, 앞에서 이야기했던 것처럼 화폐가 없던 시절에도 사람들은 선물과 재분배와 교역 등 다양한 방식으로 필요한 물건들을 그럭저럭 잘 조달해 왔으니까요.
---1권, P. 130, 화폐에 대한 오해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