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 네이버책
  • 알라딘
  • 교보문고
"보스토크"(으)로 70개의 도서가 검색 되었습니다.
9791170370703

VOSTOK 보스토크 매거진 (계간) : 51호 [2025] (하루치의 빛)

보스토크 편집부, 성해나, 유희경, 김애란, 김복희  | 보스토크프레스
22,500원  | 20250910  | 9791170370703
오늘 하루에도 우리에게 사방에서 쏟아졌던 빛 이번 호 특집 〈하루치의 빛〉은 빛의 기울기를 직감적으로 쫓아가는 눈동자를 상상하며 만들었다. 일상 속에서 순간적인 빛의 변화를 예민하게 포착한 사진 작업이나 빛의 성질과 물성을 탐구해 실험적인 이미지를 선보이는 사진 작업을 선별했다. 그리고 빛의 상징적인 의미를 다각도로 해석하는 시선이 담긴 에세이를 수록했다. 필자로는 성해나, 유희경, 김애란, 김복희, 고명재 등이 참여했다. 여기에 모인 사진과 글은 오늘 하루에도 우리에게 아낌없이 사방에서 쏟아졌던 빛을 우리를 대신해 아껴 바라본다. 또한 우리 주변에서 지금 이 순간에도 자취를 감추고 사라진 빛의 흔적을 우리를 대신해 기억한다.
9791170370680

VOSTOK 보스토크 매거진 (계간) : 49호 [2025] (견딜 수 없는 하루)

보스토크 편집부, 정혜윤, 임지은, 박참새, 한승태  | 보스토크프레스
22,500원  | 20250320  | 9791170370680
가만히 시간이 지나가기만 바라던 너와 나의 표정 이번 호에는 ‘견딜 수 없는 하루’를 키워드로 삼아 사진과 글을 모았다. 우울과 불안, 상실감 또는 정서적 장애 등 개인적인 차원의 문제부터 전쟁과 환경파괴, 정치적 갈등과 대립 등 사회적인 차원의 문제까지 한 인간의 삶을 무겁고 지치게 만드는 순간들이 사진 속에서 펼쳐진다. 그리고 정혜윤, 임지은, 박참새, 한승태, 이승우 등의 필자들은 각자 ‘견딜 수 없는 하루’를 보내면서도 삶을 견뎌야 하는 이유에 관해서, 그 견딤을 우리가 어떻게 서로 나눠야 하는지에 관해서 이야기를 전한다.
9791170370697

VOSTOK 보스토크 매거진 (계간) : 50호 [2025] (아주 보통의 하루)

보스토크 편집부, 최진영, 김지연, 이석원, 유선혜  | 보스토크프레스
22,500원  | 20250618  | 9791170370697
『보스토크VOSTOK 매거진』 50호 「아주 보통의 하루」 지금 이 순간에도 사라지는 보통의 하루들 이번 호에는 ‘아주 보통의 하루’를 키워드로 삼아 사진과 글을 모았다. 가족이나 반려동물과 함께하는 소소한 일상부터 대도시의 생활과 직장인의 하루까지 우리의 일상과 주변을 살피는 알뜰한 시선들이 사진 속에서 펼쳐진다. 그리고 최진영, 김지연, 이석원, 유선혜, 조문영 등의 필자들은 각자 생각하는 ‘보통의 하루’의 모습과 의미가 담긴 이야기를 전한다. 드라마틱한 사건이나 매우 대단한 광경이 등장하는 것은 아니지만, 사진과 글마다 애써 바라보고 기록하려는 의지를 통해서 발견한 ‘오늘’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9791170370666

기억의 지층

박형근  | 보스토크프레스
67,000원  | 20241218  | 9791170370666
오늘의 풍경에 쌓인 어제의 역사 사진작가 박형근은 2000년대 초반부터 제주도와 두만강 유역 등 한국의 비극적인 근현대사가 벌어진 장소를 따라 풍경 사진을 기록했다. 작가는 먼저 자신의 고향이기도 한 제주도에서 과거 4.3 사건의 흔적과 함께 현재 관광지와 재개발로 변화된 풍경을 중첩해 바라보았다. 그런 후에는 시선을 확장해 두만강 유역의 여러 도시를 거쳐 탈북민의 경로를 추적하면서 분단의 현실과 이념의 대립이 환기되는 풍경을 수집했다. 이번 사진집『기억의 지층』은 이처럼 기나긴 여정 끝에 완성된 세 편의 연작 〈Jejudo〉(2005-2022), 〈Forbidden Forest〉(2009-2013), 〈The Tumen River Project〉(2014-2017)을 유기적으로 연결했다. 이를 통해 독자들은 작가의 시선을 빌려 오늘의 풍경 이면에 쌓인 어제의 역사를 조망할 수 있을 것이다.
9791170370673

VOSTOK 보스토크 매거진 (격월) : 48호 [2024] (나의 집, 나의 방)

보스토크 편집부, 황정은, 은유, 루리, 진은영  | 보스토크프레스
15,300원  | 20241114  | 9791170370673
삶의 가볍고 무거운 순간들이 깃든 집과 방 이번 호에서는 삶의 가볍고 무거운 순간들이 펼쳐지는 집과 방을 엿볼 수 있는 사진 작업들, 이미지를 재현하는 데 집과 방을 주요한 매개물로 삼는 사진 작업들을 만날 수 있다. 또한 황정은, 은유, 루리, 진은영의 에세이를 통해 저마다 간직한 집과 방의 내밀한 기억들, 우리에게 필요한 집과 방의 의미들을 살펴볼 수 있다. 이러한 사진과 글을 통해 각자 자신의 존재와 가장 가까운 ‘나의 집, 나의 방’을 찾고자 애쓰는 우리 모두의 성장기를 마주할 수 있을 것이다.
9791170370659

VOSTOK 보스토크 매거진 (격월) : 47호 [2024] (투명과 반투명 : 물 얼음 눈에 관한 명상)

보스토크 편집부, 김승일, 이장욱, 조해진, 김이듬  | 보스토크프레스
15,300원  | 20240920  | 9791170370659
투명과 반투명 사이에서 나타나는 반짝임 보스토크 매거진 이번 호에서는 물, 얼음, 눈처럼 투명하거나 반투명한 물질을 통해 사진에서 극대화되는 빛의 반짝임을 함께 바라보고자 한다. 물이 얼면 얼음이 되고, 하늘에서 물이 얼면 눈이 내리며, 얼음과 눈이 녹으면 다시 물이 된다. 이처럼 응고와 기화, 승화 등의 과정을 거쳐 다양한 모습으로 변화하고 순환하는 물, 얼음, 눈은 사람들의 상상력을 자극하는 물질이다. 또한 무엇보다 투명하거나 반투명한 상태의 물, 얼음, 눈을 통해 투과되거나 산란되거나 반사되는 빛의 다양한 음색은 사진가들을 한껏 매혹할 만하다. 그 어떤 피사체보다 변화의 가능성과 다양성이 풍부한 물, 얼음, 눈을 바라보고 상상하는 사진 이미지들을 이번 호에서 만날 수 있다. 이와 함께 김승일, 이장욱, 조해진, 김이듬, 김리윤 등 시인과 소설가의 시선을 통해 투명함과 반투명함의 상징적 의미 그리고 물, 얼음, 눈의 속성을 톺아본다.
9791170370611

보스토크(Vostok) 45 (시선에 관하여)

보스토크 편집부, 이라영, 이연숙, 김지효, 김신식  | 보스토크프레스
15,000원  | 20240520  | 9791170370611
사진과 카메라를 매개로 발생하는 시선의 문제들 보스토크 매거진 이번 호의 특집 ‘시선에 관하여’에서는 사진과 카메라를 매개로 나뉘는 주체와 객체, 구경꾼 사이에서 발생하는 시선의 문제들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일방적이고 폭력적인 시선부터 관음증적인 시선, 남성중심적인 시선, 그리고 시민을 통제하는 감시체계까지 시선이 권력으로 작용하는 과정과 의미를 비판적으로 사유할 수 있는 사진 작업들을 소개한다. 그리고 이라영, 이연숙, 김지효, 김신식 등 여러 연구자의 글을 통해 스마트폰과 셀피, SNS가 연동되는 시각 환경 속에서 매 순간 자신과 타인의 시선 속에 노출된 우리의 모습은 과연 어떠한지 살펴본다. 또한 김인정 기자의 글을 통해 기득권의 시선이 지배적일 때 우리에게 가시화되지 않는 세계의 모습을 함께 고민해 본다.
9791170370642

VOSTOK 보스토크 매거진 (격월) : 46호 [2024] (걸리시 & 보이시)

보스토크 편집부, 권누리, 이희우, 김신식, 김인정  | 보스토크프레스
15,300원  | 20240717  | 9791170370642
소녀와 소년의 환상을 만드는 사진들 소년과 소녀의 환상을 부수는 사진들 보스토크 매거진 이번 호 특집 ‘걸리시 & 보이시’에서는 사진 속에서 재현되는 젠더의 이미지에 관해서 폭넓게 살펴본다. 대중문화와 매스미디어를 통해 수많은 소녀/소년 이미지들이 쏟아진다. 대개 젊고 아름답고 순수하면서도 동시에 성적인 매력까지 함께 지닌 소녀/소년이 등장하는 그 이미지에는 젠더를 향한 우리의 관념과 환상이 깃들어 있다. 이러한 가운데 사진은 소녀/소년의 편향된 이미지를 강화하고 증폭시키는가 하면, 한편으론 이를 흔들고 깨뜨리는 이미지를 생산하는 수단이 되기도 한다. 이번 호에서는 이처럼 소녀/소년 이미지의 전형성을 구축하고 또 해체하면서 젠더를 입체적으로 바라보는 사진 작업들을 소개한다. 그리고 권누리, 이희우, 안담, 김신식, 김인정 등 다양한 필자들의 에세이를 통해 모든 존재들의 다양성을 온전히 바라볼 수 있는 시선과 태도에 관해서 함께 고민해 본다.
9791170370604

보스토크(Vostok) 44 (흑백사진의 기분)

보스토크 프레스 편집부  | 보스토크프레스
15,300원  | 20240318  | 9791170370604
흑백에서만 가능한 다른 세계 보스토크 매거진의 이번 호 특집 ‘흑백사진의 기분’에서는 컬러가 아닌 흑백에서만 가시화되는 어떤 세계에 접근한다. 컬러사진과 흑백사진의 결정적인 차이는 단순히 색의 유무가 아니라 각각의 매체적인 특성에 단련된 사진가의 시선과 감각일 것이다. 흑백 의 영역에서 빛과 그림자를 섬세하게 다루는 사진가들의 작품에는 컬러에서는 감지하지 못하는 어떤 순간, 현실 세계에서는 놓치고 마는 어떤 장면들이 우리 앞에 매혹적으로 나타난다. 이처럼 흑백으로만 가능한 이미지 세계의 특성과 매력이 드러나는 국내의 다양한 사진 작업들을 이번 호에서 집중적으로 소개한다. 그리고 윤해서, 박솔뫼,현호정, 신예슬, 노순택 등의 필자들은 흑백사진과 연결된 내밀한 기억을 꺼내고, 흑백 이미지의 가능성과 한계를 사유한다.
9791170370581

보스토크(Vostok) 43 (사랑과 미움의 종말기)

보스토크 편집부, 고명재, 김화진, 박서련, 박준  | 보스토크프레스
15,300원  | 20240119  | 9791170370581
사랑과 미움, 그 끝에서 마주한 장면과 이야기들 보스토크 매거진의 이번호 특집 ‘사랑과 미움의 종말기’에서는 몹시도 뜨겁고 차갑던 계절을 지나온 사랑과 미움의 형상과 흔적들을 따라간다. 연인부터 가족까지 인간관계에서 발생하는 다채로운 감정의 빛깔들을 섬세하게 기록한 사진과 글을 만날 수 있다. 고명재, 박준, 박서련, 이서수, 김화진 다섯 명의 필자는 이미 지나간 사랑 또는 미움의 궤적을 더듬는 이야기를 발화한다. 그리고 양경준, 이우선, 김시율 등 열다섯 명의 사진가는 마음에 각인된 애틋하고 시린 장면들을 우리의 눈앞으로 가져온다. 이를 통해 소중했던 이들 사이에서 태어난 사랑도 미움도 모두 저물고 난 후에 우리가 간직하고 기억해야 할 것은 무엇인지 함께 고민해 본다.
9791170370567

식물성의 유혹 (사진 들린 영화)

유운성  | 보스토크프레스
16,200원  | 20231031  | 9791170370567
사진이 영화에 전해준 것은 무엇인가? 사진과 영화의 관계를 다룬 비평적 에세이 사진과 영화의 관계를 다룬 글과 책들은 적지 않지만, 대개는 매체에 대한 고고학적 접근을 통해 사진에서 영화로 이어지는 기술적 계보를 그리는 데 그치곤 한다. 하지만 물질적·기술적 기반에 대한 고찰만으로는 사진과 영화의 관계를 다룬다는 것은 불가능하다. 아날로그 시절의 관념으로 영화가 초당 24장의 사진으로 구성된다고 간주하든, 디지털 기술 도래 이후 사진과 영화가 모두 픽셀과 비트의 조합물이라 간주하든, 이는 우리가 사진과 영화를 실제로 지각하는 경험적 차원과는 상관없기 때문이다. 이 책은 우리가 경험하는 사진 매체 특유의 “존재론적 양극성(ontological polarity)” 개념을 정의하고 이러한 특성이 영화에 어떻게 수용되었는지를 다양한 작가들과 그들의 작품들을 통해 비평적으로 답사해 보려는 에세이다.
9791170370598

표지 없는 지도와 지워지는 사진들

윤성희  | 보스토크프레스
31,500원  | 20240319  | 9791170370598
살기 위해 일하다가 죽어간 이들의 이야기 사진을 찍고 글을 쓰는 윤성희가 하는 일은 산재사고로 노동자가 죽은 사건이 벌어졌던 곳을 찾아가는 것이다. 그리고 아무 일도 없었다는 듯이 죽음의 흔적을 치워버린 텅 빈 풍경을 바라본다. 그 과정을 통해 윤성희는 노동자의 죽음 이후에 주변을 떠도는 이야기와 싸움들, 사망사건과 관련된 기록과 기억을 수집한다. 윤성희는 살아있던 한 사람이 언제 어디서 어떻게 왜 죽었는지, 그가 생전에는 어떤 사람이었는지, 그가 죽고 난 이후에는 어떤 조치와 처벌이 있었는지, 그 지난한 경과를 애써 되밟는다. 그의 사진과 글을 찬찬히 함께 따라가면 제대로 알려지거나 기록조차 되지 못한 죽음들이 이렇게 많다는 사실에 마음이 서늘해진다. 그리고 최소한의 안전장치와 안전조치만 있었어도 이렇게까지 많은 사람들이 죽지 않았을 텐데, 자본의 논리와 이익의 명분은 생명까지도 무시한다는 사실에 섬뜩해진다.
9791170370574

보스토크(Vostok) 42 (기후위기 보고서)

보스토크 편집부  | 보스토크프레스
15,300원  | 20231120  | 9791170370574
기후위기의 오늘을 전하는 사진 보고서 기후위기를 그린 김연수, 손보미, 조예은의 소설 보스토크 매거진 이번호 〈기후위기 보고서〉는 지금 여기에서 펼쳐지고 있는 기후위기의 현상과 징후를 여러 사진가들의 작업으로 바라본다. 사진가들은 산불, 허리케인, 가뭄, 홍수 등 지구온난화로 발생하는 이상기후 현상 때문에 파괴된 자연 풍경과 황폐해진 인간의 삶을 취재해 우리에게 전한다. 그들의 시선을 빌리면 이상기후는 이미 우리의 새로운 일상이 되었고, 기후위기는 우리가 느끼는 것보다 더욱더 가까이에 있다는 진실을 확인하게 된다. 한편, 이번호에는 김연수, 손보미, 조예은 세 소설가가 ‘기후위기’라는 키워드로 쓴 단편소설이 수록되었다. 세 편의 소설은 평범한 일상에서 이상한 현상과 징후를 마주하게 된 인물들을 통해 지금의 현실과 우리 자신의 모습을 환기한다.
9791170370550

보스토크(Vostok) 41 (빛과 색)

보스토크 편집부  | 보스토크프레스
15,300원  | 20230918  | 9791170370550
나에게만 나타나는 빛과 나에게만 다가오는 색들 어떤 사진가들은 예민한 눈으로 남들이 쉽게 알아채지 못하는 어떤 ‘빛’을 기어코 사진 안에 투영하고, 그 반짝임에 따라 변화하는 어떤 ‘색’을 프레임 안에 주사한다. 이번호는 그런 ‘빛과 색’을 머릿속에 떠올리며 사진을 불러 모으고, 글을 써 달라고 부탁했다. 이를 통해 나에게만 나타나는, 또 나에게만 다가오는 ‘빛과 색’을 놓치지 않은 이미지들을 마주할 수 있다. 그리고 각자 ‘빛과 색’으로 연결되는 어떤 기억과 의미를 탐색하는 이옥토, 서이제, 안희연, 이훤, 김병규, 김리윤의 에세이도 만날 수 있다. 이번호에서 카메라를 처음 들고 내가 좋아하는 무엇을 향해 달려가는 몸짓을, 또 나에게만 반짝이는 빛을 숨죽여 기다리는 눈짓을 함께 떠올릴 수 있기를 기대한다.
9791170370543

보스토크(Vostok) 40 (Urban Space : 도시를 만든 풍경들)

보스토크 프레스 편집부  | 보스토크프레스
15,300원  | 20230717  | 9791170370543
지금 여기 도시의 풍경과 의미를 바라보고 기억하는 시선과 목소리 카메라가 세상에 처음 나왔을 때부터 지금까지 사진가들은 그 누구보다 도시를 시각화하는데 몰두해 왔습니다. 하지만 최근 사진가들은 인간이 만든 발명품 중에 ‘가장 크고 넓고 복잡한’ 도시를 가시적으로 기록하거나 재현하는 데에만 몰입하지 않습니다. 이제 대도시의 복잡한 윤곽은 한눈에 조망할 수 없고, 대도시 속 삶의 다양한 양상은 단번에 가시화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이번호에 참여한 열두 명의 사진가들은 도시를 만드는 보이는 풍경과 보이지 않는 풍경 사이에서 배회하고 관찰하며 고민한 결과물을 보여줍니다. 그리고 오지은, 윤고은, 허연, 이혁진, 안윤 다섯 명의 필자는 자신이 경험했던 도시에 관한 기억을 들려줍니다. 그들의 시선과 목소리를 통해 오늘 우리가 모두 살아가고 있는 도시의 의미를, 내일 살아가고 싶은 도시의 모습을 함께 그려보는 시간을 가질 수 있을 것입니다.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