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사회학
· ISBN : 9791191259490
· 쪽수 : 318쪽
· 출판일 : 2021-02-03
책 소개
목차
머리말
1부. 시민교육시민교육의 이론적 기초
1장. 긍정심리학과 시민교육시민교육 추병완 (춘천교육대학교 교수)
1. 긍정심리학의 기본 이론
2. 시민교육에서 긍정심리학의 중요성
3. 시민교육에서 긍정심리학의 기본 원리 활용
4. 요약
참고 문헌
2장. 공화주의 시민성 조일수 (충북대학교 교수)
1. 공화주의의 유형
2. 공화주의의 핵심 가치
3. 공동선과 시민적 덕성시민적 덕성
4. 요약
참고 문헌
3장. 헤어헤어(R. M. Hare)의 윤리 이론과 시민교육 류지한 (한국교원대학교 교수)
1. 보편적 규정주의규정주의 이론
2. 도덕교육의 두 가지 유형: 기술주의 도덕교육과 규정주의 도덕교육
3. 도덕적 사유의 두 수준 이론과 도덕교육
4. 헤어의 윤리 이론과 도덕교육론의 시민교육적 함의
참고 문헌
2부. 시민교육시민교육의 실천 방법
4장. 공감 역량의 함양 이범웅 (공주교육대학교 교수)
1. 공감의 개념
2. 공감의 윤리적 의미
3. 공감의 스펙트럼
4. 공감의 필요성과 작동 기제
5. 공감 역량 함양을 위한 방안
6. 요약
참고 문헌
5장. 세계시민교육 내러티브 이경원 (진주교육대학교 교수)
1. 세계시민성 개념과 주요 관심 영역
2. [다문화사회윤리: 세계시민교육세계 시민교육시민교육] 강좌 운영
3. 온라인 세계시민교육세계 사이버 협동학습
4. 세계시민교육 조별 프로젝트 목록
5. 국제개발협력 파트너십 강화를 위하여
6. 요약
참고 문헌
6장. 주체적 시민성을 학습하는 시민교육 박보람 (강원대학교 교수)
1. 주체적 시민성 역량 중심의 시민교육
2. 주체적 시민의 민주적 지배로서의 참여
3. 주체적 시민성을 함양하는 시민교육의 과제
4. 요약
참고 문헌
7장. 정의공동체 접근과 민주시민교육 박병춘 (전주교육대학교 교수)
1. 들어가며
2. 정의공동체 접근의 등장 배경
3. 정의공동체 접근의 실제 및 교육적 특징
4. 요약
참고 문헌
3부. 시민교육의 미래
8장. 디지털 시민성의 정보 역량: ‘가짜 뉴스’와 허위 조작 정보 개념의 구분 임상수 (경인교육대학교 교수)
1. 디지털 시민성 교육에서 ‘가짜 뉴스’ 명칭 사용의 부적절성
2. 미디어 정보 생태계에 해악을 끼치는 용어
3. ‘가짜 뉴스’ 판정 기준에서 악의적 의도의 중요성
4. 허위 정보, 조작 정보, 허위 조작 정보의 개념 구분
5. 요약
참고 문헌
9장. AI 시민성 교육 변순용 (서울교육대학교 교수)
1. 유럽의 신뢰 가능한 AI를 대비한 인간의 기본권
2. 중국의 책임 있는 AI 개발 가이드라인
3. AI 시민성교육의 내용 체계 예시: 인공지능 시대에 필요한 미래 사회의 시민성 역량 연구
4. 요약
참고 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