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정치학/외교학/행정학 > 정치학 일반
· ISBN : 9788925548678
· 쪽수 : 452쪽
· 출판일 : 2012-11-06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_ 아무도 모르게 선거에서 승리하는 법
CHAPTER 1. 정치학에 눈멀다
정치도 과학이다 │잠자는 표심을 깨우는 방법 │왜 맥거번은 닉슨에게 패배했을까?
CHAPTER 2. 득표 수 차이의 승부
우리는 체리가 있는 곳으로 간다 │당신의 현관문을 두드리는 소리│정치 지도의 탄생│편지로 모은 기부금│ 아직도 결정을 내리지 못한 유권자를 공략하라│선거의 다음 날을 생각하지 않는 사람들
CHAPTER 3. 뉴헤이븐 실험
당신의 한 표가 선거의 결과를 좌우할까요?│폐결핵 치료제와 비밀 투표│전화부터 방문까지, 무엇이 투표율을 좌우하는가?
CHAPTER 4. 단 2퍼센트의 투표율이 만드는 드라마
부시의 음주운전 스캔들│데이터 선거 전략의 바람, 민주당을 휩쓸다│악당들은 선거 전에 무엇을 했나?
│투표소로 향하게 만드는 유권자 접촉 방식
CHAPTER 5. 유권자 유형을 파악하라
정치컨설팅의 기본, 여론조사 │애완견이 있는 유권자는 민주당을 지지할까?│선거 결과를 예측하는 지하 세계의 비밀 연구소│ 마이크로타기팅 프로젝트 │ 얼마나 화가 치밀어 오르는가, 분노 포인트
CHAPTER 6. 괴짜와 권위자
괴짜들의 오찬 │우편물 실험 │유권자를 쟁취하기 위한 민주당과 공화당의 전쟁│선거 기금을 모으기 위한 전략│누가 우리 당에 표를 던질 것인가?
CHAPTER 7. 유권자의 심리를 읽는 방법
정치와 행동심리학의 만남│이미 많은 사람들이 투표를 하고 있다│투표하지 않은 10퍼센트의 유권자│언제 투표할 것인가?
CHAPTER 8. 선거 전략가 vs 교수
선거 캠프라는 연구실로 온 네 명의 교수들│오아시스에서 벌어진 대결│선거 운동, 과연 효과가 있을까?│선거자금, 어떻게 효율적으로 쓸 것인가?
CHAPTER 9. 오바마의 선거 캠프 실험실
유권자 개별 공략법│데이터의 보고, 캠프의 매트릭스│여론조사보다 빠른 유권자 모델링
CHAPTER 10. 새로운 전략의 탄생
버스 승객과 함께 달린 오바마│유권자 표적 설정과 최고의 데이터│기존의 전략을 의심하라│여론조사의 함정, 브래들리 효과
에필로그 _ 한계를 초월하다
리뷰
책속에서
정치인과 그들의 참모, 정치부 기자처럼 정치를 설명하는 일이 직업인 사람들은 다음과 같이 명쾌하게 결론짓기를 좋아한다. 선거는 대체로 후보자의 카리스마 있는 성격, 전략적인 행동, 정치적 수사(修辭), 정치적 상황의 시대정신에 따라 결정이 난다고 말이다. 정치를 설명하는 사람들은 정치가 수많은 개개인이 지닌 동기와 그들의 복잡하고 부조리하며 때로는 알 수 없는 심리상태에 전적으로 달려 있다고 솔직하게 인정하지 않고, 설명하기 편하다는 이유로 광범위한 이론들 안에 숨어버린다.
(p.7_ Prologue 아무도 모르게 선거에서 승리하는 법)
팝킨은 미시간대학교 연구에서 처음 설명한 것보다 유권자들이 아무리 고등교육을 받고 상식이 많다고 하더라도 각각의 문제나 후보자에 관련한 비용과 편익을 저울질할 수 있는 필수적인 정보를 모두 모을 수 없다고 생각했다. 유권자는 종국에 자기가 선택한 제품을 갖지 못한다는 점에서 투표 시 구매결정을 내리는 것이 아니었다. 대신 이들은 의사결정을 내리기 위해 정보를 알아낼 때는 시간과 노력이 필요한 ‘투자자’로 생각하는 편이 더욱 일리가 있다고 팝킨은 생각했다. 그래서 후보자를 선택할 시점이 되면 유권자는 간단한 방법에 의지했다.
(pp.44~45_ Chapter 1 정치학에 눈멀다)
그린이 정치학에 의문을 품은 것처럼 일부 정치학자는 정치 컨설팅이라는 직종 전체가 엉터리라고 생각하기 시작했다. 반세기 가까운 기간 동안 풍부한 선거 데이터가 쌓였고, 전국 단위의 측정 방식이 향상되었는데도 조사 전문가는 주로 어떤 정당이 집권하고 있는가와 집권 기간 동안 경제 상황이 어떻게 되었는가라는 기초적인 사실만으로 대통령 선거의 결과를 설명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광고와 토론, 후보 연설, 선거 조직은 이미 정해져 있는 결과에 딸린 구경거리에 불과했다. 토론은 ‘선거 운동이 중요한가?’라는 매우 간결한 질문 하나로 요약되었다.
(p.109_ Chapter 3 뉴헤이븐 실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