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대명률직해 3

대명률직해 3

한상권, 구덕회, 심희기, 박진호, 장경준, 김세봉, 김백철, 조윤선 (옮긴이)
한국고전번역원
2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0,000원 -0% 0원
1,000원
19,000원 >
20,000원 -0% 0원
0원
20,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대명률직해 3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대명률직해 3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동양철학 일반
· ISBN : 9788928405770
· 쪽수 : 408쪽
· 출판일 : 2018-12-20

책 소개

명(明)나라의 <대명률>을 조선의 실정을 고려하여 이해하기 쉽게 이두로 번역한 책이다. <대명률직해>와 <교감표점 대명률직해>로 구성된 이 책은 조선 시대 법제사 및 중세 국어 연구에 중요한 자료가 될 것이다.

목차

일러두기∙4
인용 문헌 약어표∙6
인용 문헌 약어표 서지 사항∙7

제13권 병률(兵律)
궁위(宮衛)

202 태묘의 문에 함부로 들어감 太廟門擅入∙20
203 궁문이나 전문에 함부로 들어감 宮殿門擅入∙21
204 숙위하는 사람과 수위하는 사람이 사사로이 다른 사람으로 대체함 宿衛守衛人私自代替∙26
205 황제를 호종하는 데 지체함 從駕稽違∙28
206 어도를 따라 곧장 감 直行御道∙30
207 내부에서 작업하는 장인이 역을 대체함 內府工作人匠替役∙32
208 궁이나 전에서 작업이 끝났는데도 나가지 않음 宮殿造作罷不出∙33
209 멋대로 궁문이나 전문을 출입함 輒出入宮殿門∙34
210 내사의 출입을 단속함 關防內使出入∙36
211 궁전을 향해 활을 쏨 向宮殿射箭∙38
212 숙위하는 사람의 병장기 宿衛人兵仗∙39
213 형벌을 받은 자의 숙위 충당을 금지함 禁經斷人充宿衛∙40
214 의장 안으로 갑자기 뛰어듦 衝突儀仗∙42
215 의장 안으로 갑자기 뛰어듦 衝突儀仗∙43
216 의장 안으로 갑자기 뛰어듦 衝突儀仗∙45
217 행궁의 영문에 함부로 들어감 行宮營門∙46
218 성을 넘어감 越城∙47
219 성문을 여닫고 자물쇠를 채우는 일 門禁鎖鑰∙49
220 관방패면을 허리에 참 懸帶關防牌面∙51

제14권 병률(兵律)
군정(軍政)

221 함부로 관군을 동원함 擅調官軍∙55
222 군무를 보고함 申報軍務∙61
223 군정을 비보함 飛報軍情∙63
224 변경에서 보고하여 군수를 징발함 邊境申索軍需∙65
225 군사를 그르침 失誤軍事∙67
226 출정하는 데 기한을 어김 從征違期∙69
227 군인이 역을 대체시킴 軍人替役∙71
228 장수가 성을 굳건히 지키지 않음 主將不固守∙74
229 군인이 노략하도록 내버려 둠 縱軍擄掠∙76
230 군사를 조련하지 않음 不操練軍士∙79
231 양민을 급격하게 동요시킴 激變良民∙82
232 사사로이 전마를 팖 私賣戰馬∙84
233 사사로이 군기를 팖 私賣軍器∙86
234 군기를 버리거나 훼손함 棄毁軍器∙88
235 금하는 군기를 사사로이 소장함 私藏應禁軍器∙90
236 군인을 마음대로 놓아주어 군역을 비게 함 縱放軍人歇役∙92
237 공이나 후가 사사로이 군관이나 군인을 부림 公侯私役官軍∙96
238 출정하거나 수어하는 군관이나 군인이 도망함 從征守禦軍官逃∙98
239 군인의 가속을 우대하여 돌봄 優恤軍屬∙101
240 야간 통행금지 夜禁∙102

제15권 병률(兵律)
관진(關津)

241 관이나 진을 사도, 월도, 모도함 私越冒渡關津∙107
242 신분을 속이거나 남의 이름을 사칭하여 노인을 발급받음 詐冒給路引∙111
243 관이나 진에서 트집을 잡아 지체시킴 關津留難∙114
244 도망한 군인의 아내나 딸을 체송하여 성을 나가게 함 遞送逃軍妻女出城∙116
245 첩자를 검문함 盤詰姦細∙119
246 사사로이 경계 밖으로 나가거나 금령을 어기고 바다로 나감 私出外境及違禁下海∙122
247 궁병을 사적으로 부림 私役弓兵∙124

제16권 병률(兵律)
구목(廏牧)

248 가축을 기르는 데 법대로 하지 않음 牧養畜産不如法∙129
249 말을 번식시킴 孶生馬疋∙131
250 가축을 점검하는 데 사실대로 하지 않음 驗畜産不以實∙133
251 야위거나 병든 가축을 돌보거나 치료하는 데 법대로 하지 않음 養療瘦病畜産不如法∙135
252 관의 가축을 타다가 등이나 목을 다치게 함 乘官畜脊破領穿∙137
253 관마를 길들이지 않음 官馬不調習∙139
254 소나 말을 도살함 宰殺牛馬∙141
255 가축이 사람을 물거나 참 畜産咬踢人∙147
256 번식한 관의 가축을 숨김 隱匿孶生官畜産∙149
257 사사로이 관의 가축을 빌림 私借官畜産∙150
258 공사인 등이 말을 빌려 달라고 요구함 公使人等索借馬匹∙152

제17권 병률(兵律)
우역(郵驛)

259 공문을 체송함 遞送公文∙157
260 공문을 체송함 遞送公文∙158
261 공문을 체송함 遞送公文∙160
262 밀봉한 공문서를 중도에서 탈취함 邀取實封公文∙163
263 포의 건물이 파손됨 鋪舍損壞∙165
264 포병을 사사로이 부림 私役鋪兵∙167
265 역사가 기한을 어김 驛使稽程∙168
266 역마를 규정보다 많이 탐 多乘驛馬∙170
267 역참에서 물품을 더 받음 多支廩給∙173
268 급역해야 하는 문서인데 내주지 않음 文書應給驛而不給∙174
269 공무를 행해야 하는데 지체함 公事應行稽程∙176
270 역사의 상방을 차지하여 묵음 占宿驛舍上房∙178
271 역마를 탈 때 사적인 물건을 휴대함 乘驛馬齎私物∙179
272 사사로이 백성을 부려 교자를 메게 함 私役民夫擡轎∙181
273 병으로 죽은 관원의 가속을 고향에 돌려보냄 病故官家屬還鄕∙183
274 차정된 관원이 타인을 고용하거나 임무를 타인에게 맡김 承差轉雇寄人∙184
275 관의 가축·수레·배에 탈 때 사적인 물건을 실음 乘官畜産車船附私物∙186
276 사사로이 역마를 빌림 私借驛馬∙189

제18권 형률(刑律)
도적(盜賊)

277 모반이나 모대역 謀反大逆∙193
278 모반 謀叛∙198
279 요서나 요언을 지음 造妖書妖言∙201
280 대사에서 신이 사용하는 물건을 훔침 盜大祀神御物∙203
281 제서를 훔침 盜制書∙205
282 인신을 훔침 盜印信∙207
283 내부의 재물을 훔침 盜內府財物∙209
284 성문의 자물쇠를 훔침 盜城門鑰∙211
285 군기를 훔침 盜軍器∙212
286 원릉의 수목을 훔침 盜園陵樹木∙214
287 감림이나 주수 자신이 창고의 전량을 훔침 監守自盜倉庫錢糧∙216
288 일반인이 창고의 전량을 훔침 常人盜倉庫錢糧∙220
289 강도 强盜∙223
290 수인을 강제로 빼냄 劫囚∙228
291 대낮에 창탈함 白晝搶奪∙232
292 절도 竊盜∙234
293 말이나 소 등의 가축을 훔침 盜馬牛畜産∙237
294 논밭의 곡식을 훔침 盜田野穀麥∙239
295 친속 간에 도둑질함 親屬相盜∙241
296 공갈 협박하여 재물을 취함 恐嚇取財∙246
297 관이나 개인을 속여 재물을 취함 詐欺官私取財∙248
298 타인을 유취하거나 약매함 略人略賣人∙251
299 무덤을 파헤침 發塚∙256
300 밤에 정당한 이유 없이 타인의 집에 들어감 夜無故入人家∙267
301 도적 와주 盜賊窩主∙269
302 도적을 하기로 공모함 共謀爲盜∙274
303 공취와 절취가 모두 도임 公取竊取皆爲盜∙276
304 자자를 지움 起除刺字∙278

제19권 형률(刑律)
인명(人命)

305 살인을 모의함 謀殺人∙281
306 황제의 명을 받든 사신이나 자신을 관할하는 장관을 죽이려고 모의함 謀殺制使及本管長官∙285
307 조부모나 부모를 죽이려고 모의함 謀殺祖父母父母∙287
308 간통한 남자를 죽임 殺死姦夫∙290
309 죽은 남편의 부모를 죽이려고 모의함 謀殺故夫父母∙292
310 한집안의 세 사람을 죽임 殺一家三人∙294
311 사람을 채생절할함 採生折割人∙296
312 고독을 만들거나 저장하여 사람을 죽임 造畜蠱毒殺人∙299
313 다투다 때려 살인하거나 고의로 살인함 鬪毆及故殺人∙303
314 타인의 의복이나 음식을 없애 버림 屛去人服食∙306
315 사람을 희살상, 오살상, 과실살상함 殺誤殺過失殺傷人∙308
316 남편이 죄가 있는 처나 첩을 때려 죽임 夫毆死有罪妻妾∙311
317 아들이나 손자 또는 노비를 죽이고 타인에게 도뢰함 殺子孫及奴婢圖賴人∙312
318 활을 쏘다가 사람을 상해함 弓箭傷人∙316
319 수레나 말을 급히 몰다가 사람을 살상함 車馬殺傷人∙318
320 용렬한 의원이 사람을 살상함 庸醫殺傷人∙320
321 와궁으로 사람을 살상함 窩弓殺傷人∙322
322 사람을 위세로 핍박하여 죽게 함 威逼人致死∙324
323 존장이 타인에게 살해되었는데 사화함 尊長爲人殺私和∙327
324 동행하다가 모해함을 알게 됨 同行知有謀害∙330

제20권 형률(刑律)
투구(鬪毆)

325 말로 다투다가 때림 鬪毆∙335
326 보고 기한 保辜限期∙343
327 궁내에서 성내어 다툼 宮內忿爭∙347
328 황가의 단문친 이상이 구타를 당함 皇家袒以上親被毆∙349
329 황제의 명을 받은 사신이나 자신을 관할하는 장관을 때림 毆制使及本管長官∙351
330 좌직이나 통속관이 장관을 때림 佐職統屬毆長官∙355
331 상급 관사의 관원과 통속관이 서로 때림 上司官與統屬官相毆∙357
332 9품 이상의 관원이 관장을 때림 九品以上官毆官長∙359
333 전량을 추징하거나 공무를 처리하는 사람에게 항거하거나 때림 拒毆追攝人∙361
334 수업사를 때림 毆受業師∙363
335 위력으로 타인을 제압하고 속박함 威力制縛人∙364
336 양인과 천인이 서로 때림 良賤相毆∙367
337 노비가 가장을 때림 奴婢毆家長∙370
338 처나 첩이 남편을 때림 妻妾毆夫∙376
339 동성 친속이 서로 때림 同姓親屬相毆∙380
340 대공 이하의 존장을 때림 毆大功以下尊長∙382
341 기친 존장을 때림 毆期親尊長∙385
342 조부모나 부모를 때림 毆祖父母父母∙389
343 처나 첩과 남편의 친속이 서로 때림 妻妾與夫親屬相毆∙392
344 처의 전남편의 자식을 때림 毆妻前夫之子∙398
345 처나 첩이 죽은 남편의 부모를 때림 妻妾毆故夫父母∙400
346 부모나 조부모가 맞음 父祖被毆∙402

저자소개

한상권 (옮긴이)    정보 더보기
1953년 충청남도 홍성에서 태어나 서울대학교 국사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학위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양심수후원회 운영위원, 친일인명사전편찬위원회 부위원장, 한국역사연구회 회장 등을 역임하였다. 현재 덕성여대 사학과 교수로 재직하면서 학생들과 배움을 주고받고 있다. ‘인간의 권리란 주어지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가 차별과 억압에 맞서 싸우는 과정을 통해 쟁취하는 것’이라는 문제의식으로 역사 속에서 기층민들의 권리의식이 성장해가는 모습을 추적하는 연구를 진행하여,『조선후기 사회문제와 소원訴?제도─상언上言·격쟁擊錚연구』(일조각)로 1998년 월봉저작상을 수상하였다. 덕성학원 민주화운동에 참여하여 징계를 받고 해직되었으나 전국 대학 교수들의 복직촉구 서명과 덕성 구성원들의 복직운동에 힘입어 2년 만에 복직되었다. ‘민주화운동관련자 명예회복 및 보상심의위원회’가 1991년의 징계와 1997년의 해직은 덕성학원의 권위주의적 통치에서 비롯된 것이라 하여, 2005년 민주화운동 관련자로 인정하였다. 해직을 계기로 덕성여대 역사에 관심을 갖기 시작하여, 덕성학원이 독립운동가 차미리사가 세운 민족사학이라는 사실을 뒤늦게 발견하고 관련 사료를 모아, 2008년『차미리사평전-일제강점기 여성해방운동의 선구자』(푸른역사)를 집필하였다.
펼치기
조윤선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성균관대학교에서 학사를 고려대학교 대학원에서 석·박사 학위를 받았다. 민족문화추진회 연수과정을 졸업하였다. 한국고전번역원에 재직 중이다. 《조선 후기 소송 연구》, 《조선시대 생활사 4집》(공저), 《조선후기사 연구의 현황과 과제》(공저) 등의 저서와 《국역 승정원일기》, 《국역 추안급국안》, 《국역 대명률직해》, 《국역 영정모사도감의궤(影幀摹寫都監儀軌)》 등의 역서가 있다.
펼치기
장경준 (옮긴이)    정보 더보기
1969년 대전에서 태어났으며, 연세대학교 상경대학 경영학과 학사를 받았으며, 연세대학교 문과대학 국어국문학과 석.박사 학위를 받았다. 연세대 언어정보연구원, 서울대 한국문화연구소 연구원으로 지냈으며, 관동대, 서울시립대, 성시여대, 세종대, 연세대 시간강사로 지냈다. 현대 서울여대 국어국문학과 전임강사, 구결학회 총무이사로 있다.
펼치기
김백철 (지은이)    정보 더보기
조선시대사 전공.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문학박사. 계명대학교 사학과 교수. 주요 저서: 『조선후기 영조의 탕평정치』(2010), 『두 얼굴의 영조』(2014), 『법치국가 조선의 탄생』(2016), 『탕평시대 법치주의 유산』(2016), 『왕정의 조건』(2021), 『17세기 군주와 신하의 소통방식』(2023), 『정조의 군주상』(2023), 『사법품보』가 그린 왕정과 인간』(2023) 등을 저술하였다.
펼치기
구덕회 (옮긴이)    정보 더보기
1955년 충남 태안에서 태어났다. 서울대학교 국사학과에서 학사, 석사 학위를 받고 박사 과정을 수료하였다. 주로 조선 시대 정치사를 연구하면서 서울 소재 중고등학교에서 역사 교사로 재직하다가 정년퇴직하였으며, 현재 한국역사연구회 회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저서로 《조선 중기 정치와 정책》(공저), 《신보수교집록(新補受敎輯錄)》(공역), 《수교집록(受敎輯錄)》(공역), 《각사수교(各司受敎)》(공역)가 있고, 주요 논문으로 〈宣祖代 후반(1594~1608) 政治 體制의 재편과 政局의 動向〉, 〈성종대 동반 경관직 인사 관리의 성격〉, 〈대명률과 조선 중기 형률상의 신분 차별〉 등이 있다.
펼치기
박진호 (옮긴이)    정보 더보기
1970년 서울에서 태어났다. 서울대학교 국문과에서 학사, 석사, 박사 학위를 받고, 한양대학교 국문과 전임 강사, 조교수를 거쳐, 현재 서울대학교 국문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한국어 문법을 일본어, 중국어 등 세계의 여러 언어와 대조하여 연구하고 있고, 차자 표기 자료를 바탕으로 고대 한국어 문법도 연구하고 있다. 저서로 《현대 한국어 동사 구문 사전》(공저), 《각필구결의 해독과 번역 1~5》(공저), 《인문학을 위한 컴퓨터》(공저), 《각사수교》(공역) 등이 있고, 주요 논문으로 <시제, 상, 양태>, <의미지도를 이용한 한국어 어휘 요소와 문법 요소의 의미 기술>, <보조사의 역사적 연구>, <유형론적 관점에서 본 한국어 대명사 체계의 특징>, <언어에서의 전염 현상>, <‘-었었-’의 단절과거 용법에 대한 재고찰>, <한?중?일 세 언어의 존재구문에 대한 대조 분석:언어유형론의 관점에서> 등이 있다.
펼치기
김세봉 (옮긴이)    정보 더보기
1958년 경기도 안성에서 태어났다. 단국대학교 사학과에서 <17세기 호서 산림 세력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유도회 한문연수원 장학생반을 졸업하였고,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에서 《한한대사전》 편찬에 참여하였다. 동양고전학회 회장을 역임하였고, 현재 유도회 한문연수원의 교수로 활동하고 있다. 저서로 《조선 중기 정치와 정책》(공저), 《17세기 한국 지식인의 삶과 사상》(공저), 《신보수교집록》(공역), 《수교집록》(공역), 《각사수교》(공역)가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