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문화/문화이론 > 종교문화
· ISBN : 9788930316705
· 쪽수 : 428쪽
· 출판일 : 2015-02-17
책 소개
목차
책을 발간하며
한국 신종교의 지형과 종교문화연구 서설(박광수)
Ⅰ. 서론
Ⅱ. 한국 신종교 어떻게 연구할 것인가?
1. 연구의 목적
2. 연구방법론
Ⅲ. 신종교 연구 현황과 과제
1. 일제강점기(1910~1945) 선행연구에 대한 분석
2. 일제강점기 한국인 학자들의 선행연구 현황과 분석
3. 해방 이후 남북한 분단 시기(1945~2013) 연구 현황
Ⅳ. 결론-신종교 연구에 대한 제언
한국 신종교에 대한 종교사적 연구와 과제(윤승용)
Ⅰ. 들어가는 말
Ⅱ. 한국 신종교의 종교사적 전개
1. 한말 개화기
2. 일제강점기
3. 해방 이후 산업화 이전 시기
4. 산업화.도시화 시기
5. 사회 민주화 이후 시기
Ⅲ. 한국 신종교의 종교사적 의의(意義)
1. 근대 신종교의 종교사적 의의
2. 현대 신종교의 종교사적 의의
Ⅳ. 결론: 신종교에 대한 종교사적 연구와 과제
종교집단에 대한 양적 조사의 의의 및 방법-한국 신종교 교단 및 집단에 대한 조사를 중심으로-(남춘모/박승길)
Ⅰ. 머리말
Ⅱ. 종교집단에 대한 사회학적 조사
Ⅲ. 종교연구에서 양적 조사의 의의와 한국 신종교 연구 동향
1. 종교조사와 신종교에 대한 양적 연구의 현황
2. 종교집단에 대한 양적 조사의 의의와 한계
Ⅳ. 종교 교단 및 신자에 대한 양적 조사
1. 종교집단에 대한 관찰조사
2. 종교집단에 대한 설문조사
3. 종교 신자들에 대한 인터뷰
Ⅴ. 맺음말
한국 신종교에 대한 사회학적 연구와 과제(노길명)
Ⅰ. 서론
Ⅱ. 한국 신종교에 대한 사회학적 연구의 성과
Ⅲ. 연구대상으로서의 ‘신종교’ 정의상의 문제
Ⅳ. 한국 신종교 연구에서의 기존 이론의 활용 방안
Ⅴ. 신종교 실태조사방법상의 문제
Ⅵ. 결론
신종교 연구 방향에 대한 종교학적 성찰-‘종교심리학’ 논의를 중심으로-(김재영)
Ⅰ. 머리말
Ⅱ. 맥스 뮐러의 신종교 인식
Ⅲ. 윌리엄 제임스와 신종교
Ⅳ. 그 이후, 개종과 세뇌 논쟁
Ⅴ. 상담치료와 편견
Ⅵ. 다시, ‘종교심리학’으로
Ⅶ. 맺음말
동학계 종교운동의 역사적 전개와 사상의 시대적 변화-동학과 천도교를 중심으로-(박맹수)
Ⅰ. 동학 성립의 종교사상적 배경
Ⅱ. 동학 성립과 그 사상적 특성
Ⅲ. 해월 최시형과 동학농민혁명
Ⅳ. 천도교의 성립과 ‘근대’의 수용
‘유교계’ 종교운동의 역사적 전개와 갱정유도의 ‘유도시대’(한재훈)
Ⅰ. 서론
Ⅱ. 유교계 종교운동의 역사적 전개
1. 유교계 종교운동의 배경
2. 유교계 종교운동의 전개
Ⅲ. 유교계 신종교의 관점에서 본 갱정유도의 좌표
1. 갱정유도에 대한 계통분류
2. 신종교로서 갱정유도의 좌표
Ⅳ. 갱정유도가 염원하는 ‘유도시대’
1. 갱정유도 교리에 나타난 ‘유도’
2. ‘도덕해원’과 ‘도덕문명’의 유도시대
Ⅴ. 결론
한국 근ㆍ현대 불교개혁론의 전개와 유형(이병욱)
Ⅰ. 서론
Ⅱ. 불교개혁론의 1단계
1. 권상로의 「조선불교개혁론」: 추상적 개념분석에 치중함
2. 한용운의 『조선불교유신론』: 구체적 대안으로까지 전개되지 못함
3. 이영재의 「조선불교혁신론」: 혁신의 이상적 청사진을 제시함
Ⅲ. 불교개혁론의 2단계: 구체적 개혁안의 제시
1. 한용운의 「조선불교의 개혁안」
2. 백용성의 대각교 운동
3. 백학명의 불교개혁에 관한 견해
4. 손규상의 진각종 창종
Ⅳ. 결론: 구체적 개혁안의 유형 구분
증산계 신종교운동의 역사와 사상적 변천에 대한 조명(이경원/백경언)
Ⅰ. 머리말
Ⅱ. 증산계 신종교 운동의 역사
Ⅲ. 증산계 신종교의 사상적 변천
Ⅳ. 한국 신종교사에 있어서 증산계 신종교운동의 특징
Ⅴ. 맺음말
일제하 기독교 종파의 형성과 유형(이진구/차옥숭)
Ⅰ. 들어가며
Ⅱ. 개신교의 제도화와 반선교사 운동
Ⅲ. 기독교 종파의 출현과 유형
Ⅳ. 나가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