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한국 신종교 지형과 문화

한국 신종교 지형과 문화

(종교운동의 역사적 전개와 사상의 시대적 변화)

박광수, 윤승용, 남춘모, 박승길, 노길명, 김재영, 한재훈, 이경원, 백경언, 이병욱, 이진구, 차옥숭 (지은이), 원광대학교 종교문제연구소 (기획)
집문당
2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5,000원 -0% 0원
250원
24,7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한국 신종교 지형과 문화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한국 신종교 지형과 문화 (종교운동의 역사적 전개와 사상의 시대적 변화)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문화/문화이론 > 종교문화
· ISBN : 9788930316705
· 쪽수 : 428쪽
· 출판일 : 2015-02-17

책 소개

한국종교연구총서. 원광대학교 종교문제연구소에서는 박광수 교수를 비롯하여 다양한 분야의 학자들이 한국 신종교의 지형과 종교문화에 대한 종합적인 비교분석을 통해 보편성과 특수성을 찾아내는 작업을 시도하였다.

목차

책을 발간하며

한국 신종교의 지형과 종교문화연구 서설(박광수)
Ⅰ. 서론
Ⅱ. 한국 신종교 어떻게 연구할 것인가?
1. 연구의 목적
2. 연구방법론
Ⅲ. 신종교 연구 현황과 과제
1. 일제강점기(1910~1945) 선행연구에 대한 분석
2. 일제강점기 한국인 학자들의 선행연구 현황과 분석
3. 해방 이후 남북한 분단 시기(1945~2013) 연구 현황
Ⅳ. 결론-신종교 연구에 대한 제언

한국 신종교에 대한 종교사적 연구와 과제(윤승용)
Ⅰ. 들어가는 말
Ⅱ. 한국 신종교의 종교사적 전개
1. 한말 개화기
2. 일제강점기
3. 해방 이후 산업화 이전 시기
4. 산업화.도시화 시기
5. 사회 민주화 이후 시기
Ⅲ. 한국 신종교의 종교사적 의의(意義)
1. 근대 신종교의 종교사적 의의
2. 현대 신종교의 종교사적 의의
Ⅳ. 결론: 신종교에 대한 종교사적 연구와 과제

종교집단에 대한 양적 조사의 의의 및 방법-한국 신종교 교단 및 집단에 대한 조사를 중심으로-(남춘모/박승길)
Ⅰ. 머리말
Ⅱ. 종교집단에 대한 사회학적 조사
Ⅲ. 종교연구에서 양적 조사의 의의와 한국 신종교 연구 동향
1. 종교조사와 신종교에 대한 양적 연구의 현황
2. 종교집단에 대한 양적 조사의 의의와 한계
Ⅳ. 종교 교단 및 신자에 대한 양적 조사
1. 종교집단에 대한 관찰조사
2. 종교집단에 대한 설문조사
3. 종교 신자들에 대한 인터뷰
Ⅴ. 맺음말

한국 신종교에 대한 사회학적 연구와 과제(노길명)
Ⅰ. 서론
Ⅱ. 한국 신종교에 대한 사회학적 연구의 성과
Ⅲ. 연구대상으로서의 ‘신종교’ 정의상의 문제
Ⅳ. 한국 신종교 연구에서의 기존 이론의 활용 방안
Ⅴ. 신종교 실태조사방법상의 문제
Ⅵ. 결론

신종교 연구 방향에 대한 종교학적 성찰-‘종교심리학’ 논의를 중심으로-(김재영)
Ⅰ. 머리말
Ⅱ. 맥스 뮐러의 신종교 인식
Ⅲ. 윌리엄 제임스와 신종교
Ⅳ. 그 이후, 개종과 세뇌 논쟁
Ⅴ. 상담치료와 편견
Ⅵ. 다시, ‘종교심리학’으로
Ⅶ. 맺음말

동학계 종교운동의 역사적 전개와 사상의 시대적 변화-동학과 천도교를 중심으로-(박맹수)
Ⅰ. 동학 성립의 종교사상적 배경
Ⅱ. 동학 성립과 그 사상적 특성
Ⅲ. 해월 최시형과 동학농민혁명
Ⅳ. 천도교의 성립과 ‘근대’의 수용

‘유교계’ 종교운동의 역사적 전개와 갱정유도의 ‘유도시대’(한재훈)
Ⅰ. 서론
Ⅱ. 유교계 종교운동의 역사적 전개
1. 유교계 종교운동의 배경
2. 유교계 종교운동의 전개
Ⅲ. 유교계 신종교의 관점에서 본 갱정유도의 좌표
1. 갱정유도에 대한 계통분류
2. 신종교로서 갱정유도의 좌표
Ⅳ. 갱정유도가 염원하는 ‘유도시대’
1. 갱정유도 교리에 나타난 ‘유도’
2. ‘도덕해원’과 ‘도덕문명’의 유도시대
Ⅴ. 결론

한국 근ㆍ현대 불교개혁론의 전개와 유형(이병욱)
Ⅰ. 서론
Ⅱ. 불교개혁론의 1단계
1. 권상로의 「조선불교개혁론」: 추상적 개념분석에 치중함
2. 한용운의 『조선불교유신론』: 구체적 대안으로까지 전개되지 못함
3. 이영재의 「조선불교혁신론」: 혁신의 이상적 청사진을 제시함
Ⅲ. 불교개혁론의 2단계: 구체적 개혁안의 제시
1. 한용운의 「조선불교의 개혁안」
2. 백용성의 대각교 운동
3. 백학명의 불교개혁에 관한 견해
4. 손규상의 진각종 창종
Ⅳ. 결론: 구체적 개혁안의 유형 구분

증산계 신종교운동의 역사와 사상적 변천에 대한 조명(이경원/백경언)
Ⅰ. 머리말
Ⅱ. 증산계 신종교 운동의 역사
Ⅲ. 증산계 신종교의 사상적 변천
Ⅳ. 한국 신종교사에 있어서 증산계 신종교운동의 특징
Ⅴ. 맺음말

일제하 기독교 종파의 형성과 유형(이진구/차옥숭)
Ⅰ. 들어가며
Ⅱ. 개신교의 제도화와 반선교사 운동
Ⅲ. 기독교 종파의 출현과 유형
Ⅳ. 나가며

저자소개

노길명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사회학 박사 고려대학교 사회학과 명예교수 『한국의 종교운동』(2012), 『민족사와 천주교회』(2005), 「개벽사상의 전개와 성격」(2008)
펼치기
차옥숭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이화여자대학교 기독교학과 및 대학원을 졸업하고 독일 프랑크프르트 대학에서 종교학으로 철학박사학위를 받았다. 한일장신대학교 교수와 이화여자대학교 HK 연구교수를 역임했으며 현재는 이화여자대학교에서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다. 저서로 『한국인의 종교 경험 : 巫敎』, 『한국인의 종교 경험 : 천도교 대종교』 등이 있고, 공저서로는 『한국인의 생명 사상의 뿌리』, 『동아시아의 여신 신화와 여성 정체성』 등이 있다. 편저서로 『기독교사 자료집』 I~IV, 역서로 『오늘의 신학 무엇인가』(위르겐 몰트만) 등이 있으며, 논문으로 「전쟁 폭력 여성 : 오키나와 전장의 기억을 중심으로」, 「오키나와 전쟁의 국가 폭력에 대한 분석」, 「동서 교섭의 관점에서 본 몸과 마음 이해 : 동학과 스피노자를 중심으로」, 「인간과 자연의 소통 불가능성의 가능성 : 멕페이그와 해월 사상을 중심으로」 등 다수가 있다.
펼치기
박광수 (지은이)    정보 더보기
원광대학교 원불교학과 졸업, 미국 아이오와 대학 비교종교학 문학석사 위스콘신 매디슨대학 불교학 철학박사. 웨스트버지니아 대학 조교수 역임 원광대학교 원불교학과 교수·종교문제연구소 소장 -주요업적 『한국 신종교의 사상과 종교문화』(2012) (2013년대한민국학술원우수도서) 『근대 한국과 일본의 공공성』1, 2(2015, 공저) 『한국신종교 지형과 문화: 종교운동의 역사적 전개와 사상의 시대적 변화』(2015, 공저) The Won Buddhism (Wonbulgyo) of Sot'aesan: A Twentieth-Century Religious Movement in Korea(1997) The Role of Religious and Philosophical Traditions in Promoting World Peace - An Asian Perspective (2007, 공저) Religion in Korea, Ministry of Culture and TourismㆍKorean Conference on Religion & Peace(2003,공저)
펼치기
이병욱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천태학 박사 고려대, 중앙승가대학교 강사 「천태지의 철학사상 논구」(1995), 『한국불교사상의 전개』(2010), 『한권으로 만나는 인도』(2011)
펼치기
이경원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성균관대학교 유학대학원, 동국대학교 불교대학원,서강대학교 신학대학원에서 각각 석사학위를 취득하였으며, 성균관대학교 동양철학과에서 한국철학으로 박사학위를취득하였다. 현재 대진대학교 대순종학과에서 교수로재직중이다. 저서로는 『동방사상과 인문정신』(공저, 2007),『한국철학사』(공저, 2009), 『한국의 종교사상』(2010, 대한 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종교산책』(공저, 2015), 『An Introduction to New Korean Religions』(2016),논문으로는 「한국민족종교의 시운관과 한류」(2023), 「초연결사회의 윤리적 지향과 상생담론」(2024) 등이 있다.
펼치기
윤승용 (지은이)    정보 더보기
(사)한국종교문화연구소 이사, (사)민족종교협의회 민족문화대사전편찬위원회 위원장, 한국신종교학회 회장 역임, 한국문예진흥원 문화발전연구소 전문위원 역임. 주요 관심사는 한국종교문화사이며, 한국의 근현대종교, 한국불교, 한국신종교 등이다. 저서로는『한국인의 종교(1984-2014)』(한국갤럽, 2015. 책임연구원),『한국종교문화사강의』(한국종교문화연구소, 청년사, 책임편집),『현대 한국종교문화의 이해』(한울, 1997)『Korea Religious Culture』(Ministry of Culture & Sports, 1996) 등이 있으며, 논문으로는 「민간신앙과 사회변혁」, 「한국종교의 이상세계론, 그 연구를 위한 시론」, 「한국 신종교에 대한 종교사적 연구와 과제」, 「현대 한국불교의 개혁운동과 그 한계」 등이 있다.
펼치기
박승길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북대학교 문학박사 동대학원 사회학과 명예교수 『현대 한국사회와 SGI』(2008), 『현대신종교의이해』(1994, 공저) 『21세기종교사회학』(사회학총서 2, 2013, 공저) On Secularization: Towards a Revised General Theory (현대세속화이론, 2008, 공역)
펼치기
김재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캐나다 오타와 대학교 인문대학 종교학과 박사 한국 종교학회 회장 역임 국제 종교학 저널 편집위원 현재 서강대학교 국제인문학부 종교학 전공 교수
펼치기
김재영의 다른 책 >
한재훈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한국유가철학 박사 연세대학교 연구교수 「퇴계 예학사상 연구」(2012), 『서당공부, 오래된 인문학의 길』(갈라파고스, 2014)
펼치기
백경언 (지은이)    정보 더보기
대진대학교 대순종학과 석사 동대학원 박사과정 「대순진리회 교화에 관한 연구」(2012), 「대순진리회 교화의 역사적 전형에 관한 연구」(2014)
펼치기
이진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 종교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한국종교문화연구소 연구원 및 서울대 강사로 활동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 『한국 근현대사와 종교자유』, 『한국개신교의 타자인식』, 『한국종교의 민족의식』(공저), 『한국 기독교사 탐구』(공저) 등이 있다.
펼치기
원광대학교 종교문제연구소 (기획)    정보 더보기
‘한국을 위시한 동북아 및 세계 각 민족의 종교문화에 관한 현상을 조사·연구함으로써 종교에 대한 바른 이해와 바람직한 정신문화 창조를 모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본 연구소는 『한국신종교 실태조사보고서』, 『한중일삼국 신종교실태의 비교연구』, 『근·현대문화유산 종교(민족종교)분야 목록화 조사연구 보고서』(문화재청, 2016) 등 살아있는 종교현장에 대한 보고서를 지속적으로 발간하였고, 다양한 한국종교 관련 연구사업을 진행함으로써 그 연구성과를 ‘한국종교연구총서’로 발간함과 동시에 지식지도의 형태로 다가올 미래사회에 대한 학문의 디지털 작업 역시 중점을 두었다. 또한 본 연구소 설립 이후 『한국종교』 학술지 발간(2020년 48집 발간, 등재후보학술지)를 이어왔다. 53년의 역사를 만들어 온 종교문제연구소는 이러한 연구성과를 통해서 우리 앞에 놓인 지구화시대를 맞이하여 한국과 동아시아를 넘어 세계 속의 종교와 사상, 그리고 그 평화적 역할을 모색하는 중심 센터로 발돋움하고자 한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