움베르토 에코 (지은이)
정보 더보기
20세기를 대표하는 기호학자이자 미학자, 그리고 세계적 인기를 누린 소설가. 1932년 이탈리아 알레산드리아에서 태어났다. 토리노 대학교에서 중세 철학과 문학을 공부했고 학위 논문을 발전시켜 1956년 첫 번째 저서 『토마스 아퀴나스의 미학 문제』를 펴냈다. 이후 이탈리아는 물론 미국, 브라질, 아르헨티나 등 여러 나라의 대학에서 강의를 하고 왕성한 저술 활동을 펼쳤다. 1971년에는 볼로냐 대학교 부교수로 임명되었고 이때부터 그의 기호학 이론들이 본격적으로 자리를 잡기 시작했다. 정교수로 승진해 2007년까지 볼로냐 대학교에 재직했으며 국제기호학회 사무총장을 맡기도 했다.
1980년 첫 소설 『장미의 이름』을 출간했고, 이 작품은 곧바로 <백과사전적 지식과 풍부한 상상력의 결합>이라는 찬사를 받으며 전 세계에서 3천만 부 이상 판매되었다. 이후 『푸코의 진자』, 『전날의 섬』, 『바우돌리노』, 『로아나 여왕의 신비한 불꽃』, 『프라하의 묘지』, 『제0호』 등 역사와 허구, 해박한 지식과 놀라운 상상력이 교묘하게 엮인 소설들을 발표했다.
소설 외에도 그의 저서는 철학과 미학, 역사와 정치, 대중문화 비평 등 인문학 전체라고 해도 좋을 정도로 방대한 영역을 포괄한다. 독선과 광신을 경계하고 언제나 명석함과 유머를 잃지 않았던 그는 2016년 이탈리아 밀라노의 자택에서 암으로 별세했다. 『미친 세상을 이해하는 척하는 방법』은 에코가 잡지 『레스프레소』에 <미네르바 성냥갑>이라는 제목으로 연재하던 칼럼 중 2000년 이후에 썼던 것을 모은 책으로, 그가 세상을 떠난 직후 출간되었다.
펼치기
김성도 (옮긴이)
정보 더보기
1963년생으로 고려대학교 불어불문학과를 졸업하고 파리10대학교에서 언어학과 기호학으로 석사 학위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고려대학교 언어학과 교수 및 영상문화학 협동과정 참여교수이다. LG연암재단 교수 해외 연수 프로그램에 선정되어 옥스퍼드대학교 미술사학과 및 언어학 연구소 방문교수, 풀브라이트 펠로 자격으로 하버드대학교 방문교수, 케임브리지대학교 방문교수, 프랑스국립과학연구소CNRS 및 파리대학 공동 초청으로 방문교수를 지냈으며, 현재는 로마교황청립 그레고리안대학교의 초청을 받아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한국기호학회 및 한국영상문화학회 회장, 국제인문언어학회 편집위원장, 세계기호학회 집행위원과 기호학 분야 세계 최고 권위지인 「세미오티카」 편집위원, 세계기호학회 부회장을 역임했으며, 현 세계아시아기호학회 회장이다. 「세미오티카」 최우수논문상을 수상한 바 있으며, 「드그레」 「랑가쥬」 「코디카스」 「시그나타」 「기호시스템 연구」 등 국제 기호학, 매체학, 언어학 분야 학술지에 다수의 논문을 게재했다. 데리다, 그레마스, 소쉬르, 아리베, 에코, 퍼스, 플로슈 등의 저서를 번역했으며, 1996년 한국일보 출판문화상(번역 부문)을 수상했다. 지은 책으로 『소쉬르의 『일반언어학 강의』 읽기』『구조에서 감성으로』『도시 인간학』『호모 모빌리쿠스』『기호, 리듬, 우주』『디지털 언어와 인문학의 변형』『로고스에서 뮈토스까지』『현대 기호학 강의』 등 다수가 있다. 2024년 벨기에 인문학 전문 출판사 아카데미아Editions Academia에서 운영하는 유럽 최고의 언어 이론 총서에 동양인 최초로 프랑스어 단독 저서 『비교 그라마톨로지 시론: 상호매체성의 인류 기호학Essais de grammatologie comparee: Pour une anthroposemiotique de l’ intermedialite 』을 출간했다.
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