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학교 밖의 조선여성들

학교 밖의 조선여성들

(젠더사로 고쳐 쓴 식민지교육)

김부자 (지은이), 김우자, 조경희 (옮긴이)
  |  
일조각
2009-06-10
  |  
26,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인터파크 로딩중
11st 로딩중
G마켓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학교 밖의 조선여성들

책 정보

· 제목 : 학교 밖의 조선여성들 (젠더사로 고쳐 쓴 식민지교육)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사 일반
· ISBN : 9788933705667
· 쪽수 : 404쪽

책 소개

재일조선인 2세인 저자는 1990년대부터 ‘우리여성네트워크’, ‘전쟁과 여성폭력 일본네트워크VAWW-NET' 등을 만들고 일본군성노예전범국제법정을 열어 일본 정부의 책임 판결을 받아내는 등 위안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활발하게 활동해왔다.

목차

한국의 독자들에게

서장 젠더사에서의 물음
1. 연구 과제와 젠더사의 방법론
2. 선행 연구와 이 책의 분석시각

제1장 식민지 조선의 초등교육과 새로운 시기구분론
1. 식민지 시기 초등교육기관의 특징
2. 보통학교 취학동향에 따른 남녀별 시기구분론

제2장 ‘교육의 학교화’와 취학구조의 젠더화 과정
1. 보통학교 취학을 둘러싼 상황과 젠더편차
2. 취학 규정 요인―민족?계급?젠더

제3장 ‘취학의 제도화’와 조선인 남성의 취학 요인
1. 제2차 보통학교 취학열과 ‘취학의 제도화’
2. 보통학교를 둘러싼 계급?민족 요인의 변화
3. 보통학교를 둘러싼 동상이몽

제4장 조선인 여성의 보통학교 취학
1. 조선인 여성의 보통학교 취학열과 출신계급
2. 젠더 요인의 변화Ⅰ―학교교육을 둘러싼 젠더규범의 변용
3. 젠더 요인의 변화Ⅱ―결혼을 통한 계층 내 이동
4. 젠더 요인의 변화Ⅲ―총독부의 여성교육확충정책
5. 서당.사설학술강습회 취학과 젠더
'소괄' 제Ⅱ기 여성취학 급증에 관한 가설

제5장 조선인 여성의 보통학교 불취학
1. 조선인 여성의 보통학교 불취학 구축
2. 생애사에 나타나는 조선인 여성의 불취학

종장 식민지교육과 젠더
1. 결론
2. 이 책의 의의

참고문헌
부표
책을 마치며
옮긴이의 글
그림, 표 차례
찾아보기

저자소개

김부자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58년 일본 아오모리靑林 현에서 재일조선인 2세로 태어났다. 홋카이도北海道대학과 도쿄학예東京學藝대학 대학원을 졸업하고 오차노미즈お茶の水여자대학에서 젠더사gender history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신대학교 일본지역학과 조교수를 거쳐 현재는 도쿄외국어대학 대학원 종합국제학연구원 교수이다. 위안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재일동포 여성들의 모임 ‘우리여성네트워크’에서 활동하였고 일본인 여성들과 함께 ‘전쟁과 여성폭력 일본네트워크VAWW-NET Japan'를 만들고 초대 사무국장과 기소팀장을 역임했으며 현재 운영위원으로 참여하고 있다. 2000년에 한국정신대문제대책위원회 등 피해 6국과 함께 일본군성노예전범국제법정을 열고 “천황에 유죄, 일본 정부에 책임” 판결을 받았으며 이 과정에서 마난 피해자들과 그들의 증언은 이 책을 집필하게 된 직접적인 계기가 되었다. 주요 저서로는 주요 저서로는 『裁かれた戰時性暴力』(공저, 白澤社, 2001), 『歷史と責任』(공저, 靑弓社, 2008) 등이 있으며, 이 책의 원저 『植民地期朝鮮の?育とジェンダ?』(世織書房, 2005)로 제1회 일본 여성사학상을 받았다.
펼치기
김우자 (옮긴이)    정보 더보기
재일조선인 3세. 전공분야는 사회학이며, 식민주의, 젠더 연구, 소수자 연구이고 한국의 국민/민족주의와 재외 '동포'를 둘러싼 문제에 관심이 있다. 『異鄕の身?-テレサ·ハッキョン·チャをめぐって』(人文書院、2006), 『?きながら問う―?究空間「スユ+ノモ」の??』(インパクト出版?, 2008)을 썼고, 『폭력의 예감』을 공역했다.
펼치기
조경희 (옮긴이)    정보 더보기
1973년 일본에서 재일조선인 3세로 태어났다. 사이타마埼玉대학 교양학부를 졸업하고 도쿄대학 대학원 석사과정과 박사과정을 수료했다. 현재 성공회대학교 외래강사로 재직 중이며 전공분야는 역사사회학, 식민지 사회사업, 재일조선인론 등이다. 주요 논저로 『ポスト東アジア論』(공저, 作品社, 2006), 「한국사회의 재일조선인 인식」(『황해문화』 2007년 겨울호)이 있으며 김동춘의 『전쟁과 사회』를 일본어로 번역했다(『朝鮮戰爭の社會史』, 공역, 平丹社, 2008).
펼치기

책속에서

젠더사 방법론의 핵심은 종래의 여성사와 같은 여성의 ‘실태 해명’이 아니라 ‘남성, 여성’이라는 성별 구분과 서열화, 여성 간 혹은 남성 간의 서열화, 또는 ‘여성이라는 젠더의 ’구축 과정 분석‘에 있으므로 젠더를 분석축의 중심에 두고 민족이나 계급과의 연관 속에서 연구 대상을 분석하는 것이라고 정의할 수 있으며, 이것이 이 글의 방법론이다.
따라서 필자는 이 글의 성격을 ‘젠더사 연구’라고 규정한다. 이 글의 지향점은 식민지 시기 보통학교 취학구조의 젠더화 과정을 분석하면서 동시에 젠더화된 취학구조를 분석하는 것이다. 그리고 그러한 구축 과정의 역사성을 분석함으로써 그 가변성을 드러내는 것, 페미니즘 역사학의 입장에서 식민지교육사를 젠더화하고 ‘역사를 다시 쓰는’ 영위營爲에 미력하나마 공헌하는 데 있다.
- 31쪽


조선인들이 학교에 원한 여성교육이란 첫째, 조선인 남성과 다른 교육내용, 즉 “졸업 후 가정생활을 꾸리는” 것을 전제로 삼은 여성특성교육이었으며 둘째, 그것은 일본인 여성과 다른 교육내용으로 조선의 고유한 생활양식과 문화에 알맞은 가사 능력과 부도, 즉 기존의 젠더규범을 이어받는 여성의 육성이었다. 그렇지만 천황에게 헌신하는 요시다 쇼인의 어머니와 같은 일본인 여성을 이상적인 여성상으로 상정하고 그것과 동화하기를 요구한 보통학교 여성교육의 내용은 조선민족이 이어받아온 (그렇게 상정된) 유교적 젠더규범과 전혀 다른 것으로 여겨졌다.
이처럼 여성교육을 둘러싸고 식민지권력과 조선사회?가정의 가부장권력은 각각의 민족주의를 배경으로 조선인 남성취학의 경우와 다른 규범(조선사회)과 정책이념(총독부)을 전개하였다. 이와 동시에 양쪽의 젠더규범이 서로 갈등하면서 조선인 여성의 취학에 대해 부정적으로 작용하여 학교교육에서 여성을 배제하게 되면서 여성교육 부진 상황을 만들어냈다. 바꿔 말해 제Ⅰ기에는 식민지권력과 가부장권력의 의도하지 않은 공범관계가 조선인 여성들의 불취학을 가져왔다고 할 수 있다.
- 128쪽


일본의 식민지배를 겪은 조선인들에게 조선총독부가 설립한 초등교육기관인 보통학교에 ‘취학’하는 것은 주어진 것이 아니라 ‘획득’해야 하는 것이었다. 종주국 일본과 달리 식민지 교육정책 아래 놓여 있던 조선에서는 원칙적으로 보통학교 수업료를 징수하지 않는 의무교육제도가 시행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취학의 가부는 조선인 내부의 계급, 젠더gender 등의 차이에 의해서도 좌우되었다. 이것을 전제로 문제 삼아야 할 것은 식민지 시기 동안 보통학교가 증가한 것은 사실이지만 학교에 입학하지 않은, 이른바 ‘불취학不就學’이 오히려 일반적이었다는 점이다. 식민지배 말기인 1942년 당시에도 조선인 남성 3명 중 1명, 여성 3명 중 2명이 불취학이었다. 취학이 식민지 교육기관으로의 ‘포섭’이라면 불취학은 ‘배제’를 의미했다. 포섭과 더불어 배제 역시 식민지교육에서 빼놓을 수 없는 한 측면이었다.
- 「머리말」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