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과학 > 천문학 > 우주과학
· ISBN : 9788934410379
· 쪽수 : 208쪽
· 출판일 : 2009-11-24
책 소개
목차
1장 고도로 발달된 초기 문명
1. 선사 시대의 유럽 - 11
2. 바빌로니아 - 14
3. 중국 - 16
4. 이집트 - 17
5. 중남미 아메리카 - 18
2장 고대 천문학
1. 고대 그리스의 천문학 - 23
1) 피타고라스학파 - 24
2) 지구 중심설을 바탕으로 본 세계 - 26
3) 그리스식 달력 계산법 - 28
2. 로마제국의 천문학 - 29
1) 로마력 - 29
3장 중세 천문학
1. 중세의 학문 - 35
2. 최초의 관측기구 - 37
3. 포이어바흐와 레기오몬타누스 - 39
4. 니콜라우스 코페르니쿠스 - 41
4장 근세와 근대
1. 달력의 개정 - 47
2. 티코 브라헤 - 50
3. 갈릴레오 갈릴레이 -52
4. 요하네스 케플러 - 55
5. 아이작 뉴턴 - 57
6. 에드먼드 핼리 - 59
7. 프레더릭 윌리엄 허셜 - 63
8. 샤를 메시에 - 66
5장 19세기와 20세기
1. 근대 천체 물리학 - 71
1) 스펙트럼 분석 - 72
2) 천체 물리학의 기본 - 핵물리학, 원자 이론, 양자 역학 - 74
3) 알베르트 아인슈타인과 상대성 이론 - 79
2. 별들의 세계 - 84
1) 생명의 별, 태양 - 84
2) 우주의 반짝이는 구슬, 별 - 98
3) 먼지에서 태어난 별들 - 101
4) 별의 일생 - 106
5) 별은 혼자 오지 않는다 - 115
6) 변광성 - 119
7) 성간 물질 -121
3. 은하 - 124
1) 위대한 논쟁 - 125
2) 에드윈 허블과 ‘성운의 세계’ - 125
3) 은하에 관한 연구 - 128
4) 은하의 발달사 - 135
5) 준성 - 136
6) 신비한 감마선 폭발 - 138
4. 현대 우주학 - 141
1) 대폭발 모델 - 141
2) 인플레이션 - 142
3) 우주 마이크로파 배경 - 143
4) 암흑 물질 - 146
5) 암흑 에너지와 아인슈타인이 저지른 ‘최대의 실수’ - 148
6) 최초 원소의 탄생 - 149
7) 물질과 반물질 - 151
8) 우주의 구조 형성 - 152
9) 우주의 조직망, 은하단과 우주 공동 - 153
10) 최초의 별들 - 155
5. 태양계 - 156
1) 태양에서 가장 가까운 수성 - 157
2) 신비에 싸인 행성, 금성 - 161
3) 지구와 달 - 163
4) 붉은 행성, 화성 - 167
5) 소행성 - 171
6) 가장 큰 행성인 목성 - 174
7) 목성 주위의 4대 위성 - 178
8) 고리의 제왕, 토성 - 181
9) 천왕성 - 184
10) 해왕성 - 186
11) 지하세계의 신, 명왕성 - 188
12) 혜성의 고향 - 190
13) 태양계의 탄생 - 193
14) 태양계 밖 행성의 발견 - 195
* 부록 - 천문학 발달의 역사 - 197
* 찾아보기 - 2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