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중국사 > 중국고대사(선사시대~진한시대)
· ISBN : 9788936810979
· 쪽수 : 440쪽
· 출판일 : 2016-12-15
책 소개
목차
1장 어룬춘족 개관
1. 분포
2. 인구
3. 언어
4. 민족 관계
2장 기원과 역사
1. 기원
2. 역사
3장 사회조직과 지도자의 역할
1. 씨족공동체, 무쿤
2. 가족공동체, 우리린
3. 지역공동체, 촌락
4. 1950년대 이후 정착 생활
4장 수렵 중심의 생산 활동
1. 수렵 생산 활동
2. 어렵 생산 활동
3. 채집 생산 활동
5장 수피 중심의 의생활
1. 어룬춘족 복식문화의 특징
2. 수피 문화의 역사적 배경
3. 어룬춘족 복식의 종류
4. 어룬춘족 복식의 실물 조사
5. 어룬춘족 복식의 조형적 특징
6. 샤먼복식의 특징과 상징
7. 결언
6장 육류 중심의 음식문화
1. 고기와 물고기를 주식으로 하는 음식문화
2. 음식문화의 특징
3. 음식문화의 구성 요소
4. 조리도구와 식기
5. 각종 음식재료의 조리법
6. 의례와 음식
7. 현재의 변화
7장 이동식 가옥 셰런주와 가정생활
1. 가족의 범위와 성원 구성
2. 정착지의 선택 조건
3. 이동식 가옥 위주의 주거형태
4. 가족의 일상생활과 규칙
5. 가신신앙
6. 현재의 주거생활
8장 수렵민의 일생
1. 피부정과 출산의례
2. 데릴사위제와 형사취수
3. 수장과 말을 순장하는 습속
9장 샤먼과 샤머니즘
1. 신의 세계와 인간계를 교통하는 샤먼
2. 샤먼복의 각 부위 명칭과 기능
3. 샤먼의 북과 채찍
4. 샤먼의 직능과 역할
5. 다양한 점복 방식
10장 자연신 위주의 민간신앙
1. 천체 관련 신앙
2. 자연현상과 관련된 신앙
3. 동물과 관련된 신앙
4. 씨족보호신, 아조루보루칸
5. 인격신 숭배
11장 어룬춘족의 곰 신화와 신앙
1. 곰에 대한 양가감정
2. 곰 신화
3. 곰 의례
4. 곰 관련 민속춤
5. 곰 신앙의 성격
12장 1950년대 이후 어룬춘 사회의 변화
- 주석
저자소개
책속에서
- 3장 (2) 가족공동체, 우리린
무쿤이 어룬춘족의 가장 기본적인 사회세포는 아니며 가장 기본적인 생산과 소비 단위도 아니다. 무쿤은 여러 개의 우리린烏力隣으로 조성되어 있다. 우리린은 어룬춘어를 번역한 것으로 ‘후대’, ‘자손들’이라는 뜻이다. 즉, 가족공동체를 말한다. 같은 조부의 후예로 사촌 형제를 포함하는 3~4대 사람으로 구성되며 자급자족하는 독립적인 경제단위이다. 그들은 함께 생산하고 소비하고 생산자원을 공유하며 가족을 이끄는 리더가 있어 통일적으로 관리된다.
우리린의 가장을 어룬춘어로 타탄다塔坦達라고 하는데 ‘하나의 모닥불의 수령’이라는 의미이다. ‘타탄塔坦’은 ‘하나의 불더미’라는 뜻이고 ‘다達’는 ‘수령’이라는 뜻이다. 타탄다라는 칭호는 가족장의 형상을 잘 나타내는 단어로 우리린의 모든 성원은 함께 이동하고 하나의 모닥불을 둘러싸고 휴식을 취한다. 타탄다는 우리린에서 항렬이 가장 높고 연령이 가장 높은 사람이 담당한다. 만약 가장 높은 항렬의 사람이 수렵기술이 부족하고 능력이 없어 타탄다를 담당하지 못할 때는 동생에게 양보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직권은 같은 항렬의 사람에게 양보할 수는 있으나 절대로 항렬을 넘어설 수는 없다. 첫 번째 세대 사람이 사망한 후에는 두 번째 세대에서 타탄다를 선출한다.
타탄다는 주로 우리린 내의 생산 분배, 생활 관리, 제사와 혼인을 주관하며 내부의 갈등을 처리하고 대외 교류와 무쿤다가 무쿤을 관리하는 데 협조한다. 만약 우리린 내에서 중대한 사건이 발생하거나 다른 우리린과 심각한 다툼이 있어 타탄다가 스스로 해결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무쿤다에게 처리하도록 한다.
타탄다의 아내는 일반적으로 우리린 전체를 관리하는 안주인으로 채집과 일체의 가사와 관련된 일들을 관리한다. 그녀는 다른 여자들을 지도하고 지배할 권리를 가지고 있다. 다른 여성들을 손아랫사람으로 부릴 수 있으며 다른 여성들은 무조건 그녀의 지휘와 분배를 따라야 한다.
생산력이 계속적으로 발전함에 따라 우리린 내의 일부일처제를 기본으로 하는 소규모 가정은 중층의 혈연관계에 의한 속박을 원하지 않게 되었으며 점점 우리린에서 이탈하여 독립 생산, 독립 소비의 개체 경제단위가 되었다. 말, 총 등의 생산 재료와 생산용품은 각 가정의 사유재산이 되었으며 무쿤 혹은 우리린의 공동 소유가 아니게 되었다.
일부일처제 가정에서 가장은 아버지가 담당한다. 아버지가 나이가 들어 노동력을 상실하게 되면 가정의 지배권은 점차 장자에게 넘어가나 부친이 사망하기 전까지 장자는 중요한 일을 결정할 때 반드시 아버지의 동의를 얻어야 한다. 아버지가 사망한 후에 장자는 진정한 가장이 된다. 만약 아버지가 일찍 돌아가시고 아들이 아직 어려서 집안일을 담당할 수 없으면 어머니가 잠시 대리를 하며 아들이 성년이 된 후에 권력을 아들에게 넘겨준다.
가사는 분업을 하는데 일반적으로 남자는 주로 외부에서 일하고, 여자는 내부에서 일한다. 남자는 수렵과 어렵 등 생산 활동을 하거나 건물을 짓는 등 비교적 체력을 필요로 하는 일을 하며 각종 생산 공구를 수리하는 일도 한다. 외부와의 교류와 교역 등은 반드시 남자가 주관하며 여자는 물어볼 권리가 없다. 남성 노인은 시간이 있으면 부녀자를 도와 채집을 하고 말을 돌보는 일을 한다. 부녀자는 일체의 가사노동을 책임진다. 나무를 하고 물을 길어와 음식을 만들어야 한다. 자작나무를 벗겨 각종 그릇을 제작하고 가죽으로 각종 복식을 제작해야 한다. 뿐만 아니라 야생 과일이나 나물을 채집하고 남자가 수렵을 가기 전에 말의 고삐를 매고 안장을 설치하는 것도 여자의 책임이다. 어떤 경우 부녀자는 남편과 함께 수렵을 떠나 음식을 만들고 말을 먹이며 고기를 말리는 일을 하기도 한다.
만약 아버지가 일찍 사망하거나 노동력을 상실하였고 이 가정에 다른 남자가 없는 경우 한 명의 여자에게 수렵에 종사할 수 있는 권리가 주어진다. 여자가 수렵조직을 따라 나간 경우 남자들과 동등하게 분배를 받는다.
한 가정의 생활수준의 높고 낮음은 남자의 수렵기술에 달려 있기 때문에 남자는 가정경제의 유일한 지주이다. 따라서 가정에서 통치자의 지위에 있다. 그들은 아내를 말 예물과 바꿔 온 것으로 생각하여 마음대로 때리거나 욕을 하기도 하는데 아내는 남편에게 절대적으로 복종해야 한다. 특히 젊은 여자는 남편이 때리는 것을 맞을 뿐만 아니라 어떤 경우에는 시부모의 학대를 당하기도 한다. 실제 생활에서 이와 같이 학대를 받는 상황은 많이 보이지는 않으나 이러한 상황을 접하게 돼도 그녀의 친정식구들은 기본적으로 묻지 않는다. 그 이유는 출가한 딸은 다른 집안사람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부부 사이 혹은 고부 사이에 불화가 있고 싸움이 있어도 다른 집안일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다른 사람은 간섭할 수 없다. 이와 같은 남존여비 사상은 중국의 봉건예교의 영향 외에도 유렵생산 중 남성이 가정경제에서 중요한 결정권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발생한 것이다.
자녀는 결혼한 이후 일반적으로 독립생활을 하며 부모는 신변에 아들 하나를 남긴다. 분가할 때 일부 어룬額倫 혹은 톄커사鐵克沙를 나눠준다. 모닥불을 피우고 부모는 불신이 보호하기를 기도한다. 아들은 모닥불 안에서 불이 붙은 나무를 꺼내는데 이는 정식으로 분가하였음을 의미하며 독립된 생활을 시작한다. 이후 점점 말과 총 등 생산 공구와 기타 생활용품을 나누어 준다. 분가한 이후에 경제는 각각 독립적이나 생활에 있어 서로 돌봐준다.
아들이 없는 가정에서는 양자를 삼는데 일반적으로 같은 씨족 내에서 양자를 구하며 주로 근친 중에서 구한다. 다른 씨족의 고아를 양자로 삼는 경우도 있으나 반드시 양쪽 씨족 성원과 무쿤다의 동의를 얻어야 한다.
부모가 사망한 후에 재산은 부모와 같이 생활했던 아들이 계승한다. 만약 친아들이 없으면 재산은 양자, 데릴사위, 친형제, 사촌 형제가 계승하게 된다. 남편이 사망한 후 아내에게는 계승권이 없으며 과부는 재가할 때 자신이 시집갈 때 가져간 것 외에 어떠한 물건도 가져갈 수 없다. 남편의 재산은 남편의 씨족 중 가장 가까운 친척이 계승한다. 부부가 한 번에 사망하였는데 아들이 아직 어린 경우 씨족의 친척이 기르며 아이를 기르는 사람이 재산도 가지고 간다. 결론적으로 재산은 같은 씨족 내에 남겨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