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스마트 쉘터 공간 2

스마트 쉘터 공간 2

(디지털 기술은 어떻게 기여하는가)

고경호, 김덕수, 김언용, 박영욱, 정연심, 지승열, 김주옥, 김병주, 이대철 (지은이)
미진사
16,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6,000원 -0% 0원
카드할인 10%
1,600원
14,400원 >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스마트 쉘터 공간 2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스마트 쉘터 공간 2 (디지털 기술은 어떻게 기여하는가)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예술/대중문화의 이해 > 미학/예술이론
· ISBN : 9788940806098
· 쪽수 : 216쪽
· 출판일 : 2020-07-30

책 소개

연구재단 사업 중 하나인 ‘학제간융합연구지원사업’에 선정되어 2015년 9월부터 현재까지 진행되고 있는 ‘스마트 쉘터(Smart Shelter) 공간 구축을 위한 철학·건축·예술·문화·공학에 대한 융합연구’의 결과물 중 하나이다.

목차

서문

1. 디자인 분야 융합연구의 방법론적 특징 (김덕수)
2. 사진의 인덱스에 대한 재고: 디지털 사진의 존재론을 위한 시론 (박영욱)
3. 아키그램과 프랑수아 달르그레를 중심으로 바라본 ‘이동성’에 대한 1960년대의 건축적 상상력 (정연심)
4. 미디어와 아키텍처가 만났을 때 (김주옥, 고경호)
5. 포스트디지털 시대의 공공미술 (고경호, 김병주)
6. 디지털 사이니지를 활용한 유비쿼터스 공간으로의 확장 (고경호, 이대철)
7. 도시난민을 위한 쉘터의 특성에 대한 인식의 차이: 한국과 말레이시아 학생들의 작품과 설문조사 분석을 중심으로 (김언용, 김덕수, 고경호)
8. 스마트 공간을 위한 생체 정보의 활용 (지승열)

1. Methodological Characteristics of Convergence Research in Design (Duk-su Kim)
2. Reconsidering the Index in Photography for an Ontology of Digital Photography (Young Wook Park)
3. The Architectural Imagination on Mobility in the 1960s: The Cases of Archigram and Francois Dallegret (Yeon Shim Chung)
4. When Media Meets Architecture (Joo-ok Kim, Kyoungho Ko)
5. Public Art in the Post-Digital Era (Kyoungho Ko, Byung Joo Kim)
6. The Expansion of Ubiquitous Space Using Digital Signage (Kyoungho Ko, Dae Chul Lee)
7. Differences in Perception about Shelters for Urban Refugees: Focused on the Analysis of Design Works and Questionnaire Survey
in Case of Korean and Malaysian Students (Eon-yong Kim, Duk-su Kim, Kyoungho Ko)
8. Utilization of Biometric Information for Smart Spaces (Seung Yeul Ji)

후주
Notes
참고문헌
논문 출저
도판 출처
저자 소개

저자소개

정연심 (옮긴이)    정보 더보기
뉴욕대학교에서 예술행정과 근현대미술사, 비평이론을 공부했으며, 뉴욕대학교 인스티튜트 오브 파인 아츠(Institute of Fine Arts, New York University)에서 미술사 박사학위를 받았다. 뉴욕 구겐하임미술관에서 개최된 <백남준 회고전>의 리서처로 일했고 국내외에서 시각예술을 다룬 글을 쓰며 미술이론과 시각예술비평 및 전시기획에 관심을 두고 활동하고 있다. 현재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예술학과 교수이자,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위원이다. 주요 저서와 논문으로 《이인성 탄생 100주년 기념전》《임충섭: 달, 그리고 월인천지》《스페인 문화순례(공저)》《비평가 이일 앤솔로지》《현대공간과 설치미술》《한국동시대미술을 말하다》 등이 있으며, 옮긴 책으로는 《절단된 신체와 모더니티》《고갱의 스커트》《비정형: 사용자 안내서》《미디어 비평용어 21》 등이 있다.
펼치기
박영욱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 숙명여자대학교 교양학부 부교수. 고려대학교 철학과 및 동 대학원 박사 학위를 받았다.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 홍익대학교 예술학과, 한양대학교 작곡과, 한국예술종합학교 음악원 등에서 강의했으며 저서로는 『철학으로 현대음악 읽기: 바흐에서 전자음악까지』(바다출판사, 2018), 『보고 듣고 만지는 현대사상: 예술이 현생해낸 사상의 모습들』(바다출판사, 2015), 『필로아키텍처: 현대건축과 공간 그리고 철학적 담론』(향연, 2009), 『데리다와 들뢰즈: 의미와 무의미의 경계에서』(김영사, 2009), 『매체, 매체예술, 그리고 철학』(향연, 2008), 『스마트 쉘터 공간 2: 디지털 기술은 어떻게 기여하는가』(미진사, 2020) 등이 있다.
펼치기
김주옥 (지은이)    정보 더보기
예술학을 전공한 후 전시기획, 미술비평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다. 자신을 독립 연구자라고 소개하는 그는 교육자, 큐레이터, 비평가 등의 역할을 모두 연구의 일환으로 여기며 예술을 폭넓게 사유하고자 한다. 프랑스 파리-세르지 국립고등예술학교(Ecole Nationale Superieure d'Arts de Paris-Cergy)에서 학사, 석사를 공부하는 동안 프랑스 후기구조주의에 영향을 받았었고 1인 미디어화 되는 다양한 형태의 스크린에 관심이 있었다. 이후 홍익대학교 대학원에서 예술학을 전공하며 석사, 박사를 마칠 때까지 미디어아트, 포스트휴먼, 신유물론 등에 관심을 가졌고 특히 예술과 기술의 관계에 주목했다. 최근 몇 년 동안 관련 주제의 연구 논문을 발표하기도 했으며 2019년에는 『인공지능 시대의 인간과 예술-대칭적 인류학의 해법』이란 제목의 책을 펴내기도 했다. 2014년부터 홍익대, 국민대, 상명대, 삼육대, 파주타이포그라피학교, 동아방송예술대에서 현대미술 이론, 전시기획 방법론, 미디어아트 이론 등을 강의해왔고 현재는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예술학과 겸임교수로 재직 중이다. 대부분 독립으로 전시기획을 하거나 비평 활동을 하였지만, 기관에도 재직하며 전시 관련 업무를 맡기도 했었고 현재는 COVID 19의 삶에 적응하며 이후의 달라질 형태의 예술 활동을 준비 중이다.
펼치기
고경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조소과 교수. 홍익대학교 조소과 및 동 대학원을 거쳐 미국 스쿨 오브 비주얼 아트(SVA, School of Visual Arts)에서 미술학 석사 학위를 받고 국민대학교 건축디자인과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주요 수상 경력으로는 제12회 대한민국미술대전 대상 등이 있다. 15회의 국내외 개인전 및 150여 회의 단체전을 통해 조각, 미디어, 회화, 설치 등 다채로운 작품을 선보이고 있으며 건축, 공학, 미술의 융합연구를 통해 새로운 작품 및 연구를 진행 중이다. 주요 작품으로는 <클레오파트라의 바늘>, <흰 코뿔소 여정>, <리플렉션 시리즈> 등이 있다.
펼치기
김덕수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 한밭대학교 건축학과 교수. 국민대학교 건축학과에서 건축 공부를 시작했다. 미국 미시간대학교(University of Michigan)에서 건축학 석사 학위를 받고 의료 시설 설계에 특화한 건축사무소를 분석의 대상으로 하는 건축 사회학적 연구로 텍사스 에이 앤 엠 대학교(Texas A&M University)에서 건축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연구의 방향성이 산만하고 학문의 깊이가 얕아진다는 단점에 대한 반성은 하고 있지만,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학술지에 논문을 투고하고 있다. 수고에 비해 성과는 별로 없는 편이다.
펼치기
김언용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 한양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연구교수. 명지대학교 건축학과 공학사, 공학 석사 취득 후 호주 시드니대학교(University of Sydney) 건축학부의 디자인 컴퓨팅 및 인지 분야 국가 핵심 센터(Key Centre of Design Computing and Cognition)에서 디자인 컴퓨팅(Design Computing) 전공으로 박사 과정을 수학했다. 한양대학교 건축 환경 공학과에서 건축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CAD/BIM/GIS 융합, 건물 정보 모델링, 공간 및 시설 관리, IoT 기반 시설 관리를 연구하고 있으며, 책임자로 인천국제공항 통합공간관리시스템 개발 프로젝트를 수행했다. 주요 논문으로 「Field Survey System for Facility Management Using BIM Model」(2018), 「Three-dimensional Visualized Space and Asset Management System for Large-scale Airports」(2016), 「Middleware for translating urban GIS information for Building a Design Society via General BIM Tools」(2016) 등이 있다.
펼치기
지승열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 한양대학교 건축학부 연구교수. 목원대학교 건축학과를 졸업하고 한양대학교 건축환경공학과에서 디자인 컴퓨팅 관련 석사 학위 및 박사 학위를 받았다. 건축 분야에서 뇌파와 컴퓨터 언어를 활용한 방법론을 연구하고 있으며, 주요 논문으로는 「스마트 쉘터에서 사용자에 대한 감성 정보와 실내외 환경 정보 표현을 위한 스마트 미러 플랫폼 제안」(2019), 「비주얼프로그래밍 언어를 활용한 뇌파기반 IoT 조도 제어 감성조명 제안」(2019), 「가상현실을 활용한 공간에서의 뇌파 측정과 스트레스 변화량 분석 - 히틀러 총통관저를 중심으로 - 」(2019), 「사용자 생체 정보를 활용한 공간 설계 방법에 관한 연구 - 뇌파를 활용한 파라메트릭 공간 설계를 중심으로」(2019), 「뇌파 정보를 활용한 스마트 쉘터 운용에 관한 연구」(2017) 등이 있다.
펼치기
김병주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대미술작가. 홍익대학교 조소과 및 동 대학원을 거쳐 영국 런던예술대학교(UAL, University of the Arts London[Chelsea])에서 미술학 석사 학위를 받고 홍익대학교 박사 과정을 수료했으며, 유수의 대학에 출강 중이다. 서울시립미술관 난지창작스튜디오, 국립현대미술관 고양스튜디오 입주작가로 활동했으며, 국내외 11회의 개인전과 다수의 단체전을 통해 건축적 조각, 다시점 부조 조각의 작품 활동을 이어 가고 있다. 국, 공립 미술관과 인천국제공항 제2터미널 등 다수의 기관에 작품이 소장되어 있으며 주요 작품으로는 〈Void Space〉, 〈From the Spot〉, 〈Ambiguous Wall〉 시리즈 등이 있다.
펼치기
이대철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대미술작가. 설치, 조각 위주의 작품을 선보이고 있으며 홍익대학교 조소과 및 동 대학원을 졸업한 후 영국 런던예술대학교(UAL, University of the Arts London[Chelsea])에서 미술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 6회의 국내외 개인전 및 100여 회의 단체전을 통해 설치, 조각, 미디어, 회화 등의 작품을 선보이고 있으며 국내외 기업들과의 콜라보레이션을 바탕으로 새로운 형태의 전시 및 공연 기획을 하고 있다. 형상 언어, 사운드 아트, 공공 미술 분야에 중점을 두고 지속적으로 새로운 작품 및 연구를 진행 중이며 예술을 통한 사회적 문제해결과 방안 등을 제시하고 있다. 주요 작품으로는 <Love-side of Love>, <You Make Me>, <Comfort Woman>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셰릴 샌드버그와 나는 서점에 자기계발서는 있지만 타인계발서(help-others) 코너는 없다는 사실을 안타까워하곤 했다. 《빌 캠벨, 실리콘밸리의 위대한 코치》는 타인계발서 코너에 어울리는 책이다. 이 책은 사람들을 도와주는 동시에 도전하고, 립 서비스 식의 응원이 아니라 진정으로 그들을 우선시하면서 그들의 잠재력을 발현시키는 지침서로 활용될 것이다.


빌은 우리와 모든 사람에게 코칭을 해주면서, ‘제자’들에게 다른 사람들과 팀을 코칭하는 방법을 보여주었고, 이를 통해 이들은 더 훌륭한 리더가 되었다. 그 후 몇 번이고 새로운 상황에 맞닥뜨릴 때마다 우리는 “빌이라면 뭘 했을까?”라고 스스로 물어봤다. 코치는 이 상황에 어떻게 대처할까?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