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몽골의 체제전환과 동북아 평화지정학

몽골의 체제전환과 동북아 평화지정학

백지운, 오르트나상, 크리스토프 블루스, 엥흐사이항, 올람바야르, 시스미식, 김학재, 이평래, 이문영, 김병로, 바트바야르, 김성철, 윤순진, 쿨란, 주윤정 (지은이)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34,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4,000원 -0% 0원
1,700원
32,3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34,000원 -10% 1700원 28,900원 >

책 이미지

몽골의 체제전환과 동북아 평화지정학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몽골의 체제전환과 동북아 평화지정학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학 > 사회학 일반
· ISBN : 9788952130464
· 쪽수 : 474쪽
· 출판일 : 2021-10-10

책 소개

탈냉전과 함께 국제사회에 문을 연 사회주의 국가들의 역사·문화·사회적 맥락과 정치경제적 쟁점들을 이해함으로써, 북한을 보는 다각도의 참조 체계를 세우고, 한반도의 미래를 사고하는 데 좀 더 폭넓고 유연한 시야를 제공할 것이다.

목차

발간사
머리말

서장 대륙의 섬에서 평화의 연결자로 • 백지운
1. 소환되는 유목 DNA
2. 내륙국가에서 연결국가로
3. 소국의 원대한 꿈

제1부 몽골 체제전환의 패러다임
제1장 ‌전환기 몽골의 외교정책 변화 • 엥흐사이항
1. 서론
2. 몽골과 몽골인
3. 제국에서 소국으로
4. 몽골의 현재
5. 몽골과 남북한의 관계
6. 몽골 비핵지위의 제도화
7. 결론
제2장 몽골의 ‘제3의 이웃 정책’ 패러다임 • 올람바야르
1. 몽골 외교정책의 새로운 패러다임
2. ‘제3의 이웃 정책’: 목적과 성격
3. 몽골에 대한 두 이웃 국가의 입장
4. 결론
제3장 민주주의로의 전환: 1992년 몽골 헌법과 국가 안보 • 시스미식
1. 서론
2. 헌법과 국가 존립의 안보
3. 국내 안보
4. 경제 안보
5. 국가 안보 기구와 법률적 규제
6. 국가 안보를 위한 비국가 시스템
7. 결론
제4장 ‌‘평화로운 격변’은 어떻게 가능했나?: 몽골의 체제전환과 신엘리트의 성격 • 김학재
1. 서론: 평화로운 변화는 가능한가?
2. 사회주의 엘리트와 비교 사회주의 연구
3. ‌포용적 레닌주의와 당의 유연화: 인사제도와 신흥 엘리트의 기원
4. 교육제도의 변화와 엘리트의 지향
5. 엘리트 그룹의 특성: 기술관료와 지식인들
6. 북한에 대한 함의

제2부 몽골과 그 이웃 나라들
제5장 몽중관계의 과거와 현재 • 이평래
1. 위험한 중국과 나쁜 중국인
2. 역사 속의 몽중관계
3. 체제전환 이후 몽중관계
4. 현재의 몽중관계
5. 결론
제6장 ‌몽골의 체제전환과 러시아: 러․몽 관계사를 중심으로 • 이문영
1. 러시아, 고마운 형님 혹은 저주스런 정복자
2. 최초의 조우: ‘몽골-타타르의 멍에’와 범몽골주의의 공포
3. 근대 몽골 독립의 보증자, 러시아
4. 몽골과 스탈린: 몽골 주권의 국제적 인정과 소련의 전략
5. 몽골의 소비에트화: ‘아시아의 작은 소련’
6. 몽골의 탈사회주의 체제전환과 러시아 요소
7. 21세기 몽골의 미래와 러시아
제7장 몽골의 체제전환 모델과 북한 • 김병로․바바르
1. 약소국 몽골의 생존력
2. 몽골과 북한의 전통적 우호
3. 탈냉전 이후 몽골·북한 관계
4. 탈사회주의 체제전환 경험과 몽골·북한 관계
5. 평화의 중재자
6. 몽골 모델과 북한의 미래

제3부 비핵화로 가는 먼 길
제8장 몽골 안보의 도전: 생존안보와 경제안보를 중심으로 • 김성철
1. 서론
2. 국가 안보의 개념과 ‘다원적 연루전략 ’의 발전
3. 생존안보: 단독국가 비핵지대화 노력을 중심으로
4. 중국의 부상과 경제안보 리스크
5. 결론
제9장 핵의 세계에서 몽골의 국익 추구하기 • 엥호사이항
1. 서론
2. 몽골의 지정학적 현실
3. 핵무기에 대한 몽골의 도전
4. 자국 영토를 비핵지대로 선언하다
5. 비핵지대화에 대한 광범위한 정치적 지원
6. 합법적 비핵지대 지위를 얻기 위한 UN총회 참가
7. 결론
제10장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안보 위기: 강대국 사이에 위치한 몽골 • 크리스토퍼 블루스
1. 서론
2. 동북아시아 지정학의 변화된 역동성
3. 떠오르는 안보문제
4. 한반도의 위기
5. 일본
6. 동북아시아의 안보 환경과 몽골

제4부 발전인가 환경인가, 체제전환 이후의 새 도전
제11장 몽골 환경운동의 역사와 특성 • 쿨란․윤순진
1. 서론
2. 사회주의 시대(19111990년)의 정치경제와 환경운동
3. 자본주의 시대 정치경제와 환경운동
4. 몽골 환경운동의 현재: 시민환경운동의 좌절
5. 결론
제12장 ‌‘지속가능성’의 딜레마: 포스트사회주의 몽골 유목경제와 양모산업 • 주윤정1. 포스트사회주의 몽골의 사회변화
2. 포스트사회주의 몽골의 유목경제와 유목문화
3. 몽골의 양모산업과 시장화
4. 포스트사회주의 몽골의 양모 및 공예 산업의 특성
5. 지속가능성의 딜레마

찾아보기

저자소개

김병로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성균관대학교 사회학과를 졸업하고, 인디애나주립대학교에서 사회학 석사학위를, 럿거스대학교에서 사회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통일연구원 선임연구위원 및 북한연구실장을 거쳐, 아신대학교 교수 및 북한연구소 소장, 제22대 북한연구학회 회장, 통일부·국방부·국가정보원·KBS 자문위원, 민주평화통일자문회 상임위원, 민족화해협력범국민협의회 정책위원을 역임하였다. 주요 저서로는 『한반도발 평화학』, 『북한, 조선으로 다시 읽다』, Two Koreas in Development, 『다시 통일을 꿈꾸다』 등이 있고, 공저서로는 『김정은 집권 10년 북한주민 통일의식』, 『평화의 여러 가지 얼굴』, 『용서와 화해 그리고 치유』, 『문서로 보는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 『한국형 발전모델의 대외관계사』 등이 있다.
펼치기
이평래 (지은이)    정보 더보기
몽골 과학아카데미 역사연구소에서 몽골 근대사로 역사학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한양대와 한국외대 강사를 역임하고 한국외국어대 중앙아시아연구소 연구교수로 재직 중이다. 한국의 대표적인 몽골 연구자로 최근에는 몽골 역사뿐 아니라 신화와 종교 등 몽골의 정신문화에도 많은 관심을 기울이며 활발한 연구 활동을 펼치고 있다. 《실크로드의 삶과 종교》, 《중앙아시아의 역사와 문화》, 《중국 역사가들의 몽골사 인식》, 《오류와 편견으로 가득한 세계사 교과서 바로잡기》, 《중국 학자들의 소수민족 역사 서술》, 《아시아의 죽음 문화: 인도에서 몽골까지》 등 20여 권을 공동 저술하고, 《몽골 민간 신화》, 《몽골의 종교》, 《중앙유라시아의 역사》, 《몽골 신화의 형상》, 《몽골의 역사》 등을 우리말로 번역했으며, 몽골 및 중앙아시아사에 관한 논문 40여 편을 발표했다.
펼치기
윤순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사회학과를 졸업하고 숙명여고에서 정치경제와 사회문화를 가르쳤습니다. 4년의 교사 생활 이후 미국 델라웨어대학교에서 도시행정과 공공정책 석사학위, 환경에너지정책 박사학위를 받았습니다. 그리고 서울시립대 행정학과를 거쳐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과 협동과정 환경교육 전공에서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습니다. 환경부 지속가능발전위원회 위원장과 대통령 직속 2050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 초대 위원장을 역임하였습니다.
펼치기
크리스토프 블루스 (지은이)    정보 더보기
영국 브래드퍼드대학(University of Bradford) 평화학과 국제개발 학부의 외교안보학과 교수이다. 런던 킹스칼리지(King’s College London)에서 로렌스 프리드먼(Lawrence Freedman) 교수 지도하에 「흐루쇼프 휘하의 소련 전략적 무기 정책(Soviet Strategic Arms Policy under Khrushchev)」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리즈대학(Uni-versity of Leeds) 국제학 교수, 리딩대학(University of Reading) 국제 및 유럽학 교수로 재직했으며, 연세대학교 객원교수를 지냈다. 현재 국내외 다양한 기관과 학술 교류를 이어가고 있다. 동북아 안보와 핵무기 정책, 핵 비확산 정책, 무기통제 분야의 전문가로서 국제 안보에 관한 13권의 학술 저서와 다수의 연구 논문을 집필했다. 대표저작으로 Britain, Germany and Western Nuclear Strategy(1995), Hotspot Korea(2008), Crisis on the Korean Peninsula(2011), US Foreign Policy in the Caucasus and Central Asia: Politics, Energy and Security(2014), Shadows of War: Arms Control and the Military Con-frontation in Central Europe during the Cold War(2020) 등이 있다.
펼치기
김성철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전(前)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교수로, 핵비확산, 동맹, 북한 등을 연구해 왔으며, 중국-주변국 관계를 정치경제학 관점에서 분석한 저서의 출판을 준비하고 있다. 근년의 저서로는 Partnership within Hierarchy: The Evolving East Asian Security Triangle, 『평화의 여러 가지 얼굴』(공편), North Korea and Nuclear Weapons: Entering the New Era of Deterrence(공편) 등이 있다. 아시아 최초의 평화연구저널 『Asian Journal of Peacebuilding』 의 에디터를 맡고 있다.
펼치기
바트바야르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경영학과에 재학중인 몽골에서 온 유학생이다. 한국말의 ‘한’자도 모른 채 한국에 유학 왔었던 그가 지금은 한국어로 글을 쓰고,  한국에서 베스트셀러 작가가 되는 게 꿈이다. 과연 그가 한국에서 Korean Dream을 이루어낼 수 있을까? 페이스북: http://facebook.com/ibatbayar 트위터: http://twitter.com/ibatbayar 인스타그램: http://instagram.com/ibatbayar
펼치기
바트바야르의 다른 책 >
이문영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HK부교수. 러시아와 한반도, 인문학과 평화학을 결합하는 연구를 하고 있으며, (사)외교광장 이사를 맡고 있다. 대표 저서로 『전쟁과 폭력의 시대에 다시 읽는 톨스토이 평화론』(2024), 대표 논문으로 “North Koreans in Russia Between Migrants and Refugees”(2024) 등이 있다.
펼치기
주윤정 (지은이)    정보 더보기
부산대 사회학과 조교수로 재직 중이다. 인권사회학과 생태평화, 재난 등을 연구하고 있다. 현재는 ‘느린 재난’이라는 국제 공동연구를 통해 재난과 폭력 이후의 회복력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주요 논저로 《보이지 않은 역사: 한국 시각장애인의 저항과 연대》(대한민국학술원 우수 도서), 〈법 앞에서: 형제복지원 피해생존자들의 해방과 기다림의 정치〉, 〈과거사 회복의 새로운 흐름―아동, 소수자, 소수민족의 변형적 정의〉, 〈상품에서 생명으로: 가축 살처분 어셈블리지와 인간-동물 관계〉 등이 있다.
펼치기
오르트나상 (지은이)    정보 더보기
몽골인문대학(University of Humanities in Mongolia) 빌릭연구소(Billig Institute)의 언어학 교수이다. 몽골인문대학에서 언어학과 외국어학을 전공했고 “Expression of Requests in Mongolian, Russian and French”(2005)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연세대학교 한국어학당에서 수학했으며, 한국어 외에도 러시아어·프랑스어·영어 등을 구사한다. 국립농경대(State Agricultural University), 오르홍대학(Orkhon University)에서 언어학 및 번역 이론을 가르쳤고, 몽골대학원대학(Graduate University of Mongolia) 외국어대학원 교수를 역임했다. 몽골인문대학 학위위원회 위원을 역임했으며, 현재 오르홍대학 학위위원회 위원이다. 번역 실무와 알타이어족 및 인도유럽어족에 대한 비교언어학, 사회언어학, 그리고 문화학에 관한 다수의 저서와 논문을 집필했다.
펼치기
엥흐사이항 (지은이)    정보 더보기
몽골의 비핵지대화를 추진하고 전 세계 핵확산 방지와 핵무기 감축을 추동하는 비정부기구 블루배너(Blue Banner)의 설립자이자 의장이다. 모스크바국립대 국제관계연구소에서 국제변호사 자격을 취득하고 동 대학원에서 국제회의에서의 의사결정에 관한 국제법 문제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1993년 설립된 몽골국가안보위원회 사무총장을 역임하였으며, 1994년 몽골 국가대호랄에서 「국가 안보의 개념」, 「외교정책의 개념」, 「군사 독트린의 기초」 세 기본 문서를 검토하고 채택하는 과정을 주관했다. 몽골의 민주화와 체제 개혁, 인권과 안보, 특히 몽골의 비핵지위와 아시아 대국외교에 관련된 다수의 논문과 평론을 집필했으며, 상당수가 몽골, 러시아, 일본, 한국, 미국에서 출판되었다. 몽골 최초의 국제법 교과서 집필의 편집장을 역임했으며, UN 인권 관련 문서를 비롯하여 레빈(Lia Levin)의 Human Rights: Questions and Answers, 비탐(David Beetham)과 보일(Kevin Boyle)의 Introducing Democracy: 80 Questions and Answers,와이엇(Marilyn Wyatt)의 NGO Governance를 번역하였다. 최근의 대표 저작으로는 “Lessons from Mongolia: Reinvigorating the Approach to Nuclear-Weapon-Free Zones”(Global Asia, 2020), 몽골어로 저술한 저서 『몽골의 핵 미래』(2015)가 있다.
펼치기
올람바야르 (지은이)    정보 더보기
몽골과학원(Mongolian Academy of Sciences) 국제학부 교수이자 몽골인문대학 외교사회대학장으로 재직 중이다. 국립안보연구원 외교안보학부 교수(2009~2012), 몽골인문대학 외교학부 교수(2007~2008), 몽골국립대학(National University of Mon-golia) 국제경제학 부교수(1998~2005)와 외교학 부교수(1994~1996), 사회학 조교수(1986~1990)를 역임했다. 몽골국립대 외교학과를 졸업하고 1994년 단국대학교 경제학과에서 석사학위를 받았다. 1995년 네덜란드 클링헨달 국제관계연구소(Clingen-dael, the Netherlands Institute of International Relations)에서 수학했으며, 1998년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모스크바국립대 아시아-아프리카연구소(1988), 뉴델리 외교부 외교연구원(2000), 서울 외교안보연구소(2005), 카이로 국제정치연구소와 타이베이 동아시아연구소(2012)의 방문학자를 지냈다.
펼치기
시스미식 (지은이)    정보 더보기
몽골법학원(Legal Academy of Mongolia)의 원장이다. 1972년 모스크바 국제관계연구소(Moscow State Institute for International Relations)에서 박사학위를 받았고 그해 외교통상부에서 근무하기 시작했다. 1997년 변호사 자격을 취득한 이래 몽골변호사협회 회원이다. 2009년부터 2013년까지 주한몽골대사관에서 무역투자참사관으로 근무했으며, 경제 및 무역, 비즈니스 관련 법적 문제, 투자 등의 업무를 담당하였다. 체제전환기 몽골의 시장과 민주주의, 지정학에 관한 연구를 하고 있다. 관련한 국제학술회의 발표 논문으로 “National Security and Two Neighbors”(2016), “The Constitu-tion of Mongolia of 1992 and the National Security Issues”(2017), “Competitiveness, Investment Issues, and Economic Security Policy and Legal Envir onment of Mon-golia”(2016), “National Standardized Test Workbook”(2018), “The United Nations Regulations(published in 6 languages)”(2018) 등이 있고, 편저로 Attorney’s Material(2018)이 있다.
펼치기
쿨란 (지은이)    정보 더보기
몽골국립대학 한국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에서 도시계획 전공(심화전공: 환경관리)으로 석사학위를 취득했으며, 동 대학원 박사(심화전공: 환경관리) 과정을 수료했다. 대표 저작으로 「멸종위기종 보호를 위한 환경거버넌스 모색: 몽골 고비곰 보호 사례를 중심으로」(2021, 공저)가 있다. 현재 몽골 환경문제와 시민사회, 공동자원(Common-Pool Resources), 맨손·소규모광업(Artisanal Small-Scale Mining)에 관심을 가지고 연구하고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889521330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