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인간이란 무엇인가

인간이란 무엇인가

(오성.정념.도덕 本性論)

데이비드 흄 (지은이), 김성숙 (옮긴이)
동서문화동판(동서문화사)
2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9,800원 -10% 0원
1,100원
18,700원 >
19,800원 -10% 0원
0원
19,8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6개 18,04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5,000원 -10% 750원 12,750원 >

책 이미지

인간이란 무엇인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인간이란 무엇인가 (오성.정념.도덕 本性論)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서양철학 > 근대철학 > 흄
· ISBN : 9788949715780
· 쪽수 : 810쪽
· 출판일 : 2016-11-30

책 소개

동서문화사 세계사상전집 63권. 데이비드 흄이 1739~40년 출판한 대표적인 철학서로, 오성·정념·도덕의 3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흄은 3부작에서 인간본성을 밝혀내고 그 본성에 바탕을 두어 ‘인간이란 무엇인가?’ 곧 ‘인간학’체계를 세우려 한다.

목차

제1편 오성

머리글 … 11

1부 관념과 그 기원, 구성・연관・추상
1 관념의 기원에 대하여… 22
2 주제의 구분… 30
3 기억 관념과 상상 관념에 대하여… 31
4 관념들의 연관 또는 그 연합에 대하여… 33
5 관계들에 대하여… 37
6 양태와 실체에 대하여… 39
7 추상 관념들에 대하여… 41

2부 시간과 공간 관념
1 시간과 공간 관념의 끝없는 분할 가능성에 대하여… 51
2 시간과 공간의 끝없는 분할 가능성에 대하여… 54
3 시간 관념과 공간 관념의 다른 성질들에 대하여… 58
4 반론들에 대한 이해… 64
5 이어지는 같은 주제… 79
6 존재와 외부 존재의 관념에 대하여… 92

3부 지식과 개연성
1 지식에 대하여… 95
2 개연성 및 인과의 관념에 대하여… 100
3 어째서 원인은 항상 필연적일까… 105
4 인과에 관한 추론의 구성 요소에 대하여… 109
5 감관 인상과 기억 인상에 대하여… 111
6 인상에서 관념을 추론하는 것에 대하여… 114
7 관념 또는 신념의 본성에 대하여… 122
8 신념의 모든 원인들에 대하여… 126
9 인과 관계 외의 다른 관계와 다른 습관의 결과에 대하여… 135
10 신념의 영향에 대하여… 146
11 우연들의 개연성에 대하여… 153
12 원인들의 개연성에 대하여… 159
13 비철학적 개연성에 대하여… 171
14 필연적 연관의 관념에 대하여… 181
15 원인과 결과를 판단하는 규칙… 199
16 동물의 이성에 대하여… 202

4부 회의적 철학 체계와 그 밖의 철학 체계
1 이성에 관한 회의론에 대하여… 207
2 감관들에 관련된 회의론에 대하여… 214
3 고대 철학에 대하여… 246
4 근대 철학에 대하여… 252
5 영혼의 불멸성에 대하여… 259
6 인격의 동일성에 대하여… 278
7 본편의 결론… 291
부록
신념에 대하여… 302
인격의 동일성에 대하여… 306

제2편 정념


1부 긍지와 소심
1 주제의 구분… 313
2 긍지와 소심에 대하여 : 그 대상과 원인… 315
3 이 대상과 원인은 어디서 유래하는가?… 319
4 인상과 관념들 사이의 관계에 대하여… 322
5 이 관계들이 긍지와 소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324
6 이 체계의 조건에 대하여… 329
7 덕과 부덕에 대하여… 333
8 아름다움과 흉에 대하여… 337
9 외적 장단점에 대하여… 342
10 소유와 재산에 대하여… 348
11 명예욕에 대하여… 355
12 동물의 긍지와 소심에 대하여… 362

2부 사랑과 미움
1 사랑과 미움(증오)의 원인과 대상… 367
2 이 체계를 확증하기 위한 실험… 371
3 해소되는 어려움… 385
4 혈연에 대한 사랑에 대하여… 390
5 부유하고 권력 있는 사람에 대한 우리의 부러움에 대하여… 396
6 자비와 분노에 대하여… 404
7 연민에 대하여… 407
8 심술과 질투에 대하여… 411
9 자비나 분노를 연민이나 심술과 혼합하는 것에 대하여… 420
10 존경과 경멸에 대하여… 429
11 연모의 정 또는 이성 간의 사랑에 대하여… 433
12 동물의 사랑과 미움에 대하여… 436

3부 의지와 직접 정념
1 자유와 필연에 대하여… 439
2 이어지는 같은 주제… 448
3 의지의 유력한 동기에 대하여… 453
4 격렬한 정념의 원인에 대하여… 459
5 습관의 영향력에 대하여… 464
6 상상력이 정념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하여… 466
7 공간과 시간 등에서의 인접과 거리… 469
8 이어지는 같은 주제… 474
9 직접 정념에 대하여… 480
10 호기심 또는 진리에 대한 사랑에 대하여… 490

제3편 도덕


1부 일반적인 덕과 부덕
1 도덕적 구별의 원천은 이성이 아니다… 499
2 도덕감에서 유래된 도덕적 구별… 516

2부 정의와 불의
1 정의는 자연적 덕인가 인위적 덕인가… 523
2 정의와 소유권의 기원… 531
3 소유권을 결정하는 모든 규칙에 대하여… 548
4 동의에 따른 소유권 양도에 대하여… 561
5 약속의 책임에 대하여… 563
6 정의와 불의에 대한 몇 가지 성찰… 572
7 정부의 기원에 대하여… 580
8 충성의 기원에 대하여… 585
9 충성의 척도에 대하여… 595
10 충성의 대상에 대하여… 600
11 국제법에 대하여… 615
12 순결과 정숙에 대하여… 617

3부 그 밖의 덕과 부덕
1 자연적 덕과 부덕, 그 기원에 대하여… 622
2 마음의 위대함에 대하여… 640
3 선과 자비에 대하여… 651
4 자연적 역량에 대하여… 656
5 자연적 덕에 대한 몇 가지 반성을 덧붙이며… 664
6 이 책의 결론… 667

흄의 생애와 사상
Ⅰ 흄의 시대와 생애 … 675
Ⅱ 흄의 사상 … 711
흄 연보 … 808

저자소개

데이비드 흄 (지은이)    정보 더보기
1711년 스코틀랜드 에든버러에서 둘째 아들로 출생하여 나인웰스라는 지역에서 유년을 보냈다. 형을 따라 이른 나이에 에든버러 대학에 입학한 그는 역사, 문학, 철학과 더불어 자연과학에 관한 지식을 두루 섭렵했다. 이후 법조계로 나가리라는 가족들의 기대를 저버리고, 키케로 등 고대 작가들의 작품을 읽으면서 학자의 길을 걷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1734년 프랑스로 떠나 1735년 오래전 데카르트 등이 수학했던 예수회 대학으로 잘 알려진 프랑스 서부의 라플레슈에 정착했다. 그곳에서 그는 주로 프랑스와 대륙 사상가들의 작품을 읽으면서, 자신의 첫 대작인 『인간 본성에 관한 논고』(전 3권)를 집필했다. 영국으로 돌아와 1739년에 첫 두 권을, 1740년에 마지막 권을 출판했지만, 반응은 극도로 차가웠다. 이듬해 출판한 『도덕과 정치에 관한 논문』은 어느 정도 반향을 불러일으켰다. 1745년 공석이 된 에든버러 대학의 윤리학 및 정신철학 교수직에 지원했으나, 무신론자이자 회의론자라는 평판이 그의 발목을 잡았다. 흄은 『인간 본성에 관한 논고』의 실패 원인이 내용보다는 스타일에 있다고 판단하여, 그것의 중심 사상을 재구성한 『인간 지성에 관한 철학적 논문』(1748)과 『도덕 원리에 관한 탐구』(1751)를 차례로 출판했다. 1752년 글래스고 대학의 논리학 교수직에도 지원했으나 결국 낙방했고, 평생 교수직을 얻는 데는 실패했다. 대신 그는 에든버러에 있는 변호사 도서관의 사서로 임용되어 비로소 독서와 집필에 전념할 시간을 얻었는데, 이때 집필한 것이 『영국사』이다. 이 책은 1754년부터 1762년까지 총 6권으로 출간되어 큰 성공을 거두었다. 1763년에는 하트퍼드 프랑스 주재 영국대사의 보좌관이 되어 프랑스로 다시 건너가 여러 유럽 지식인과 교류하면서 파리 살롱가의 유명 인사가 되기도 했고, 임기가 끝나 1766년에 영국으로 돌아와 런던 북부의 국무차관으로 임명되기도 했다. 모든 공직을 내려놓고 1769년 고향인 에든버러로 낙향하여 자신의 기존 저서들을 교정하거나 개작하고 자서전을 저술하다가, 1776년 장암으로 사망하였다.
펼치기
김성숙 (옮긴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영문학과 졸업. 「율리시스학회」 창학 50년 강의. 1955년 최재서 지도받아 제임스 조이스 「율리시스」 연구번역에 평생 바치기로 결심. 1960년 「율리시스학회」를 창학, 오늘도 조이스 연구 강의를 하고 있다. 2011년 55년 열정을 바쳐 옮긴 제임스 조이스 《율리시스》 한국어판 간행. 옮긴책 존 듀이 《민주주의와 교육》 《철학의 개조》, 데이비드 흄 《인간이란 무엇인가(오성•정념•도덕)》, 아우렐리우스 《명상록》, 키케로 《인생론》.
펼치기

책속에서

우선 기억을 상상과 구별해 주는 특성을 살펴보면, 우리는 곧 기억이 우리에게 제시하는 단순 관념에는 그러한 특성이 있을 수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 두 기능들은 모두 자신들의 단순 관념을 인상으로부터 빌려 오며, 인상이라는 근원적 지각을 절대 넘어설 수 없기 때문이다. 또한 이 기능들의 복합 관념들의 배열을 통해서도 이 기능들은 서로 구별되기 어렵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확실히 기억 나름의 속성은 그 관념 본연의 근원적 질서와 위치를 보존하는 것이며, 반대로 상상은 그 관념들 본연의 질서와 위치를 마음대로 바꾼다. 그러나 이런 차이는 그 두 기능들의 그 작용을 구별하기에는 충분하지 않다. 바꿔 말하면, 그것은 우리가 기억과 상상을 알아볼 수 있도록 하는 데에는 충분하지 않다. 현재 관념과 과거 인상들을 비교해서 그 배열이 정확하게 비슷한가를 살펴보기 위해, 과거 인상들을 되돌아본다는 것 자체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기억이 가진 복합 관념들의 질서나 단순 관념들의 본성에 의해 우리가 기억을 알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기억과 상상의 차이는 기억이 갖는 뛰어난 힘이나 생동성에 있다고 결론 지을 수 있다.


따라서 술을 너무 과하게 마신 탓에 죽은 친구를 본 술고래는 그 일로 충격을 받고 얼마간은 자신에게도 유사한 사건이 일어나지 않을까 염려한다. 그러나 그 기억이 점점 희미해짐에 따라, 사건 발생 전의 방심이 되살아나면서 그가 느끼는 위험은 흐릿해지고 덜 실재적인 것으로 여겨진다.


노(櫓)로 움직이는 갤리선이 새로운 추진력이 전혀 없어도 계속 나아가듯이, 상상력은 연쇄적 사고 과정을 따라 작용할 때는 그 대상이 없어지더라도 계속 작용하는 경향이 있다. 나는 이것이 우리가 대등함에 대한 몇 가지 어렴풋한 기준들을 숙고하여 서로 바로잡은 뒤, 오류나 편차가 전혀 없을 정도로 바르고 정확한 대등함이라는 관계의 기준들을 상상해 가는 이유라고 했다. 우리는 바로 이 원리에 근거하여 물체의 지속적 존재라는 앞에서 말한 의견을 쉽게 품을 수 있다. 대상들은 감관에 나타날 때에도 일정한 정합성을 지니지만, 우리가 대상들이 지속적 존재를 갖는다고 가정한다면 이 정합성은 더욱 크고 한결같아진다. 정신이 한번 대상들 사이의 제일성(齊一性)을 연쇄적으로 관찰하기 시작하면, 정신은 자연스럽게 그 관찰을 계속하고 마침내 제일성이 미치는 한 완전무결해진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88949719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