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고대~고려시대 > 고려시대
· ISBN : 9788991508026
· 쪽수 : 526쪽
· 출판일 : 2005-03-15
책 소개
목차
책머리에
<선화봉사고려도경> 해제(解題)
<선화봉사고려도경> 서문(序文)
<선화봉사고려도경> 권1 건국(建國)
책봉의 연원
<선화봉사고려도경> 권2 세차(世次)
왕의 계보 / 세계 / 고려국왕 인종
<선화봉사고려도경> 권3 성읍(成邑)
영토 / 지형 / 국성 / 누각 / 민가 / 시장 / 교역 / 군읍
<선화봉사고려도경> 권4 궁궐문
선의문 / 외문 / 광화문 / 승평문 / 동덕문 / 전문
<선화봉사고려도경> 권5 궁전(宮殿) 1
왕부 / 회경전 / 건덕전 / 장화전 / 원덕전 / 만령전
<선화봉사고려도경> 권6 궁전(宮殿) 2
장령전 / 장경전 / 연영전각 / 임천각 / 장경궁 / 좌춘궁 / 별궁
<선화봉사고려도경> 권7 관복(冠服)
왕의 복식 / 영관의 복식 / 재상의 복식 / 근시의 복식 / 종관의 복식 / 경과 감의 복식 / 조관의 복식 / 서관의 복식
<선화봉사고려도경> 권8 인물(人物)
이자겸 / 윤언식 / 김부식 / 김인규 / 이지미
<선화봉사고려도경> 권9 의례용품[儀物] 1
반리선 / 쌍리선 / 수화선 / 우선 / 곡개 / 청개
<선화봉사고려도경> 권10 의례용품[儀物] 2
화개 / 황번 / 표미 / 금월 / 구장 / 기패
<선화봉사고려도경> 권11 의장대[仗衛] 1
용호좌우친위 기두 / 용호좌우친위 군장 / 신호좌우친위군 / 흥위좌우친위군 / 상육군좌우위 장군 / 상육군위 중검랑장 / 용호중맹군 / 금오장위군 / 공학군
<선화봉사고려도경> 권12 의장대[仗衛] 2
천우좌우장위군 / 신기군 / 용호상초군 / 용호하해군 / 관부 문위 교위 / 육군 산원 기두 / 좌우위 견롱군 / 영군 낭장 기병 / 영병상기장군
<선화봉사고려도경> 권13 병기(兵器)
행고 / 활과 화살 / 관혁 / 등장 / 의극 / 호가 / 수패 / 패검
<선화봉사고려도경> 권14 기치(旗幟)
상기 / 응준기 / 해마기 / 봉기 / 태백기 / 오방기 / 소기
<선화봉사고려도경> 권15 수레와 말[車馬]
채색 가마 / 어깨로 메는 가마 / 소가 끄는 수레 / 왕이 타는 말 / 사절이 타는 말 / 기병이 타는 말
<선화봉사고려도경> 권16 관부(官府)
주요 관부 / 국자감 / 곡식창고 / 부고 / 약국 / 감옥
<선화봉사고려도경> 권17 사우(祠宇)
복원관 / 정국안화사 / 광통보제사 / 흥국사 / 국청사 / 왕성 안팎의 여러 사찰 / 숭산묘 / 동신사 / 합굴룡사 / 오룡묘
<선화봉사고려도경> 권18 도교(道敎)
도사 / 불교 / 국사 / 삼중화상대사 / 아도리대덕 / 사미비구 / 재가화상
<선화봉사고려도경> 권19 백성
진사 / 농민과 상인 / 장인 / 민장 / 주인
<선화봉사고려도경> 권20 부인(婦人)
귀부인 / 비첩 / 천사 / 귀녀 / 여자 / 지는 것 / 이는 것
<선화봉사고려도경> 권21 하급 관리
이직 / 산원 / 인리 / 정리 / 방자 / 소친시 / 구사
<선화봉사고려도경> 권22 풍속 1
궁정의 화톳불 / 초롱을 잡는 관리 / 시간을 알려주는 관리 / 고려의 연회 / 공무 수행 / 답례 / 급사 / 말을 타는 부인
<선화봉사고려도경> 권23 풍속 2
목욕과 세탁 / 농업 / 고기잡이 / 땔감 / 기록 / 도축 / 무료 급식 / 특산물
<선화봉사고려도경> 권24 사절의 행렬
맨앞 신기대 / 그 다음 기병 / 그 다음 요고군 / 그 다음 천우위 / 그 다음 금오위 / 그 다음 백희소아대 / 그 다음 악부 / 그 다음 예물 / 그 다음 조여 / 그 다음 보충된 하절 / 그 다음 무위를 드러내는 하절 / 그 다음 정사와 부사 / 그 다음 상절 / 마지막 중절
<선화봉사고려도경> 권25 조서를 받는 절차
조서의 영접 / 조서의 인도 / 조서 받을 때의 의례 / 사절의 영접 / 예종 제례 / 조문
<선화봉사고려도경> 권26 연회 의례
사신단 접견 / 주연 / 주연의 절차 / 상절의 좌석 / 중절의 좌석 / 하절의 좌석 / 객관의 모임 / 표문을 올리는 의례 / 환송연 / 서교에서의 환송
<선화봉사고려도경> 권27 관사(館舍)
순천관 / 순천관 건물 / 조서를 봉안하는 곳 / 청풍각 / 향림정 / 정사와 부사의 거처 / 도할관과 제할관의 거처 / 서장관의 거처 / 서교정 / 벽란정 / 객관
<선화봉사고려도경> 권28 장막류 1
염색비단 천막 / 수놓은 천막 / 수놓은 그림 / 의자 / 연회상 / 광명대 / 붉은 칠 소반 / 검은 칠 소반 / 침상 / 무늬 있는 돗자리 / 문 위에 씌우는 휘장
<선화봉사고려도경> 권29 장막류 2
수놓은 베개 / 잠옷 / 모시치마 / 모시상의 / 화탑선 / 삼선 / 백접선 / 송선 / 짚신
<선화봉사고려도경> 권30 생활용기 1
짐승 모양의 향로 / 물병 / 반잔 / 박산로 / 술통 / 검은 꽃 장식 물동이 / 면약호 / 부용준 / 휴대용 병
<선화봉사고려도경> 권31 생활용기 2
기름 동이 / 정병 / 꽃병 / 물솥 / 물항아리 / 보온병 / 백동 물동이 / 정로 / 화로 / 거종
<선화봉사고려도경> 권32 생활용기 3
찻상 / 질그릇 술독 / 등나무 술독 / 도기 술병 / 도기 향로 / 식탁보 / 등나무 광주리 / 죽솥
<선화봉사고려도경> 권33 배
순라선 / 관선 / 송방 / 막선 / 식사 접대 / 식수 제공
<선화봉사고려도경> 권34 바닷길[海道] 1
신주 / 객주 / 초보산 / 호두산 / 심가문 / 매잠 / 해려초 / 봉래산 / 반양초 / 백수양 / 황수양 / 흑수양
<선화봉사고려도경> 권35 바닷길[海道] 2
협계산 / 오서 / 배도 / 백산 / 흑산 / 월서 / 난산도 / 백의도 / 궤섬
<선화봉사고려도경> 권36 바닷길[海道] 3
춘초섬 / 빈랑초 / 보살섬 / 죽도 / 고섬섬 / 군산도 / 횡서
<선화봉사고려도경> 권37 바닷길[海道] 4
자운섬 / 부용산 / 홍주산 / 아자섬 / 마도 / 구두산
<선화봉사고려도경> 권38 바닷길[海道] 5
당인도 / 쌍녀초 / 대청서 / 화상도 / 우심서 / 섭공서
<선화봉사고려도경> 권39 바닷길[海道] 6
소청서 / 자연도 / 급수문 / 합굴 / 분수령 / 예성항
<선화봉사고려도경> 권40 동일한 문물[同文]
역법제도 / 유학 / 음악 / 도량형
<선화봉사고려도경> 행장(行狀)
<선화봉사고려도경> 발문(跋文)
찾아보기
저자소개
책속에서
왕이 머무는 거물에 있어서도 둥근 두공에 각진 정수리를 그대로 사용하면, 꿩이 나는 듯한 화려함에 용마루는 잇달아 있고 붉고 푸른 빛으로 장식하였다. 멀리서 보면 맛이 있으며 숭산 등성이에 의지하고 있다. 꾸불꾸불한 길은 울퉁불퉁한데다 고목 그늘은 서로 겹쳐 있는 것이 마치 높은 산의 사사와 흡사하다 -- 본문 99쪽에서
백성들은 16세 이상이면 군역에 충당되는데, 6군의 상위는 항상 관부에 머무르며 나머지 군인들은 모두 토지를 지급맏고 자신의 생업을 부여받는다. 전쟁이 나면 무기를 들고 적에게 돌진하고, 일을 맡으면 역에 따라 보굼하며, 일이 끝나면 토지로 되돌아간다. -- 본문 158쪽에서
이자겸은 풍채가 단정하고 거동이 온화하며 어진 이를 좋아하고 선을 즐겁게 여겼다. 국정을 잡고서도 자못 왕씨를 높일 줄 알아서, 고려의 신하 중에서는 왕실을 보호하고 융성케 하니 현신이라 할 만하다. 그러나 참소를 믿고 이득을 즐겼다.
다스리는 농장에는 전답이 이어졌고 저택의 규모는 사치스러웠다. 사방에서 선물하여 썩는 고기가 수만 근이었는데, 다른 것도 모두 이와 같았다. 고려 사람들이 이 때문에 더럽게 여겼으니 애석한 일이다. -- 본문 137쪽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