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조선사 > 조선중기(임진왜란~경종)
· ISBN : 9788949966465
· 쪽수 : 272쪽
· 출판일 : 2022-05-20
책 소개
목차
개회사 _ 차인배, 한국역사민속학회 회장
축 사 _ 문찬인, (사)충의공정기룡장군기념사업회
제1부 임진왜란과 충의공 정기룡
임진왜란 초기 육전사를 바라보는 새로운 시각 _ 노영구, 국방대학교 교수
Ⅰ. 머리말
Ⅱ. 임진왜란 초기 양상(1592년 4월~6월)
Ⅲ. 임진왜란의 국면 전환과 조선군의 반격(1592년 7월~8월)
Ⅳ. 일본군의 새로운 전략의 모색과 좌절(1592년 9월~10월)
Ⅴ. 맺음말
정기룡 장군의 出仕와 임진왜란 중의 활약 검토 _ 이상훈, 육군박물관 부관장
Ⅰ. 머리말
Ⅱ. 정기룡의 성장과정과 출사
Ⅲ. 임진왜란의 발발과 참전
Ⅳ. 임진왜란기 활동의 평가
Ⅴ. 맺음말
정유재란 시기 정기룡의 활동과 역사적 평가 _ 제장명, 순천향대학교 이순신연구소장
Ⅰ. 머리말
Ⅱ. 정유재란 초기 전황과 정기룡의 활동
Ⅲ. 사로병진작전과 정기룡의 조명연합 활동
Ⅳ. 정기룡의 활동에 대한 전쟁사적 의미와 평가
Ⅴ. 맺음말
제2부 후대의 역사해석과 기억
영조대 이순신 사적 현창의 정치사적 의미 _ 윤정, 진주교육대학교 교수
Ⅰ. 머리말
Ⅱ. 영조대 사적정비의 양상과 특징
Ⅲ. 戊申亂에 따른 忠逆의리의 재정비
Ⅳ. 맺음말
임진왜란 역사인물 현창에 관한 연구 _ 이대화, 한국학중앙연구원 교수
| 하동지역 충의공 정기룡의 사례를 중심으로
Ⅰ. 머리말
Ⅱ. 조선후기 정기룡 현창사업과 의미
Ⅲ. 일제강점기 정기룡 현창사업의 양상
Ⅳ. 일제강점기 현창사업의 의미: 역사지식 대중화
Ⅴ. 맺음말
지역 역사인물 기념사업의 방향과 과제 _ 이해준, 공주대학교 명예교수
| 하동 정기룡 장군 선양사업과 관련하여
Ⅰ. 머리말
Ⅱ. 하동의 역사인물 충의공 정기룡
Ⅲ. 지역 역사인물 선양의 기본 방향
Ⅳ. 역사인물 연구·계승·활용 방안
Ⅴ. 맺음말
토론
개인 토론문
Ⅰ. 토론문 _ 김성채, 하동군청 학예연구사
Ⅱ. 토론문 _ 김회룡, (사)정기룡장군기념사업회학술홍보위원장
Ⅲ. 토론문 _ 문찬인, (사)충의공정기룡장군기념사업회장
Ⅳ. 토론문 _ 박경하, 중앙대학교 역사학과 명예교수
Ⅴ. 토론문 _ 임학성, 인하대학교 사학과 교수
종합 토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