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인공지능, 문학과 예술을 만나다

인공지능, 문학과 예술을 만나다

강영근, 강우규, 김바로, 김민영, 김성규, 김성문, 박경하, 박소영, 유원준, 유형동, 이대화, 이명현, 조수남, 한미라 (지은이)
연경문화사(연경미디어)
1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8,000원 -0% 0원
카드할인 10%
1,800원
16,200원 >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인공지능, 문학과 예술을 만나다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인공지능, 문학과 예술을 만나다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인문학 일반
· ISBN : 9788982981951
· 쪽수 : 224쪽
· 출판일 : 2021-04-30

책 소개

한국문화융합학회에서 발간한 두 번째 총서이다. 최근 ‘인공지능(AI, artificial intelligence)’에 대한 학술담화는 다양한 분야에서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한국문화융합학회의 총서발간 위원회는 인공지능이라는 주제를 ‘문학과 예술’을 통해 조명해보고자 하였다.

목차

1부 인공지능과 포스트휴먼
근대 철학으로 바라본 오토마타와 인공지능의 가능성
1930년대 식민지조선의 ‘인조인간’ 인식
인공 물품과 결합하는 인간, 포스트휴먼과 인공지능

2부 인공지능과 문학 및 기술
인공지능 시대 인간의 신체와 문학적 형상화
인공지능을 활용한 <소현성록> 연작의 대화 네트워크 및 감정
디지털 분석 기법을 활용한 인공지능(AI) 제재 창작 시조 연구
인공지능 시대의 고전서사 리텔링을 통한 창의적 표현 교육

3부 인공지능과 대중문화
인공생명과 인공지능, 예술 작품의 생산자는 누구인가?
SF영화 인공지능 캐릭터의 시대별 변화양상
영상매체에서 재현되는 인공지능의 특징
인공지능을 활용한 음악창작과 음악교육의 새로운 방향

저자소개

박경하 (지은이)    정보 더보기
중앙대학교에서 한국사(조선후기사)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고, 현재 중앙대학교 역사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중앙대학교 문화컨텐츠기술연구원 원장, 인문콘텐츠학회 회장, 대통령자문 정책기획위원, 중앙대학교 다빈치교양대학 학장을 역임하였다. 주요 저서로 『한국 역사속의 문화적 다양성』(공저), 『한국전통문화론』(공저), 『역사속의 다문화』(공저) 등이 있다. 논문으로 「21세기 해양 생활사 방향과 동향」, 「역사민속콘텐츠의 창출 현황과 대중화의 과제」, 「귀화인 金忠善(沙也可)의 생애와 역사문화콘텐츠로의 재현 사례」, 「한국의 다문화 연구 현황과 과제」 등이 있다.
펼치기
유원준 (지은이)    정보 더보기
영남대학교 트랜스아트/미학미술사학과 교수다. 홍익대학교에서 예술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과학-기술 매체와 예술 융합의 다양한 지점에 관하여 연구하고 있다. 영화와 게임, 만화와 공연 예술 등 전통적인 시각예술의 범주를 넘어 문화예술 콘텐츠 전반에 관심이 있다. 한국콘텐츠진흥원 만화비평 대상(2019), 월간미술 학술비평 부분 대상(2022)을 수상했다. 2004년 미디어문화예술채널 앨리스온을 설립하였으며 문화관광부 광복 60주년 IT 프로젝트 팀장(2005), 아트센터 나비 교육팀장(2006∼2008)을, 주안미디어페스티벌(2011), 과학예술 융복합 프로젝트 GAS(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16, 2017) 및 광주미디어아트페스티벌(2018), 아시아문화의전당 ‘아세안의 빛, 하나의 공동체’(2019) 총감독 등을 역임했다. 주요 저서로는 『매체미학, 예술과 기술 사이에서』(2022), 『뉴 미디어아트와 게임예술』(2014)이 있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 경계적 주체성에 관한 예술작품 연구”(2023), “인간-기술 네트워크에 의한 지각 및 기억의 외재화 연구”(2022), “인터넷 아트의 미학적 가능성 연구 : 인터넷과 포스트-인터넷 환경을 중심으로”(2020) 등의 논문이 있다.
펼치기
이대화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학중앙연구원 민속학전공 교수 중앙대학교 역사학과를 졸업하고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민속학전공으로 석사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중앙대학교 강사, 원광디지털대학교 강사, 일본 京都大學 人文科學硏究所 外國人共同硏究者, 중앙대학교 다빈치교양대학 교수를 거쳤다. 번역서로 『한국 근대의 역사민족지: 경북 상주의 식민지 경험』(혜안, 2015, 공역), 논저로 『한국인 어떤 집에서 살았나』(한국학중앙연구원, 2017, 공저), 『한국인 어떤 옷을 입고 살았나』(한국학중앙연구원, 2017, 공저), 「조선총독부의 조선 취락 조사에 관한 연구」(『문화와 융합』 43-3, 2021, 「근대 호적제도의 변화가 종중촌락의 관습에 미친 영향」(『한국민속학』 66, 2017), 「전시체제기 식민지 조선의 선전매체, 종이연극」(『사회와 역사』108, 2015) 등이 있다.
펼치기
조수남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에서 서양과학사로 박사학위를 받고 현재 서울대학교 기초교육원 강의부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욕망과 상상의 과학사』 등이 있다. 논문으로는 「풍자 잡지 「펀치」 속 과학 풍자: 자연 과학과 수리 과학에 관한 풍자 비교를 중심으로」, 「드 모르간이 위대한 수학 교육자가 되기까지: UCL의 사회적, 제도적, 간학문적 맥락 속에서 순수 수학 교육 바라보기」, 「수학교육의 의의 및 교육 방식에 관한 역사적 고찰: 케임브리지대학과 UCL의 사례를 중심으로」, 「서유럽 중세 수학의 기원: 백과사전적인 저술들을 중심으로」 등이 있다.
펼치기
이명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중앙대와 같은 학교 대학원을 졸업하였고, 한국 고전문학을 전공하여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중앙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로 있다. 전공인 고전서사문학의 가치 확장을 위해서 ‘고전서사와 문화콘텐츠 스토리텔링’, ‘생성 AI와 고전서사’, ‘고전서사와 서브컬처’ 등으로 연구 분야를 넓히고 있다. 고전문학은 연구실에 박제된 화석이 아니라는 믿음으로 다양한 글쓰기를 시도하고 있다. 쓴 책으로는 ≪우리이야기와 문화콘텐츠≫(공저, 2008), ≪고전서사와 문화콘텐츠 스토리텔링≫(2017), ≪생각하는 힘을 기르는 동화 스토리텔링≫(공저, 2020), ≪고전서사와 웹툰 스토리텔링≫(공저, 2021) 등이 있다.
펼치기
강영근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희대학교에서 인공지능 음악연구로 박사학위를 받고 현재 백석예술대학교 실용음악학부에서 강의를 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실용음악 낯선 이야기가>(지식과 감성)가 있다. 논문으로는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활용한 코드 구성법 개발연구」, 「인공지능을 활용한 화성 생성 연구」, 「인공지능을 활용한 음악 편곡 교육콘텐츠 개발 연구」 등이 있다.
펼치기
유형동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신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중앙대학교 대학원에서 고전문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옛날이야기가 좋아서 공부를 시작하여, 그 속에 삶의 진리가 숨겨져 있음을 확인하고 있다. 생활 속에서 옛날이야기를 즐겼던 어르신들의 삶을 살피는 현장 답사 활동도 이어오고 있다. 강원대학교 산촌문화연구센터 전임연구원, 건국대학교 서사와문학치료연구소 박사후연수 연구원, 전남대학교 국어국문학과 BK 학술연구교수 등을 지냈고 현재 한신대학교 한국어문학 전공주임 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저서로 ≪역동적 소통의 현장 이야기판≫(공저), ≪이야기꾼과 이야기의 세계≫(공저), ≪정선의 세시풍속≫(공저), ≪생각하는 힘을 기르는 동화 스토리텔링≫(공저) 등이 있다.
펼치기
강우규 (지은이)    정보 더보기
강원대학교 국학연구소 학술연구교수다. 중앙대학교에서 고전문학 전공 “삼대록계 국문장편소설 연구”로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중앙대학교 인문콘텐츠연구소에서 인공지능인문학을 연구하며, 고전문학과 디지털인문학을 융합하는 연구를 수행했다(2018∼2023). 국제어문학회 총무이사, 우리문학회 편집이사, 중앙어문학회 편집위원, 동아시아고대학회 편집위원 등으로 활동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 『인공지능 데이터해석학』(2024), 『더 나은 AI, 더 나은 삶』(2023), 『포스트 챗GPT』(2023), 『AI가 내려온다』(2022), 『고전서사와 웹툰 스토리텔링』(2021), 『미래는 AI의 것일까?』(2020) 등이 있다. “국문장편소설 데이터 모델링의 현실적 방안 고찰”(2024), “생성형 AI를 활용한 고전소설 교육방안 모색”(2023), “고전문학과 디지털인문학 융합연구의 경향과 관계”(2023), “국문장편소설의 디지털 큐레이션 방안 고찰”(2022), “딥러닝 분석을 통한 영웅소설 유형론 재고찰”(2022), “인공지능 시대 스토리텔링과 이야기 향유방식”(2021) 등 41편 이상의 논문을 KCI에 게재했다.
펼치기
김민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중앙대학교에서 현대문학으로 박사학위를 받고 현재 중앙대학교 교양대학에서 강의하고 있다. 논문으로는 「김은희의 추리극에 나타난 기억과 폭력의 양상 연구」, 「TV드라마 『풍문으로 들었소』에 나타난 정보의 헤게모니 투쟁 양상 연구」, 「환상서사에 나타난 시각적 정신병리 구현 양상 연구」, 「플랫폼의 확장과 좀비 서사의 구현 연구」, 「TV드라마에 나타난 인공지능 재현 양상 연구」 등이 있다.
펼치기
김바로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디지털인문학 연구로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현재 한국학중앙연구원 디지털인문학연구소 학술연구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디지털 기술와 인문학의 융합에 관한 탐색을 지속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디지털 인문학 입문』(한국외국어대학교 지식출판원), 『시멘틱 데이터 아카이브의 구축과 활용』(보고사)가 있다. 논문으로는 「빅데이터와 고전문학 연구방법론」, 「딥러닝을 활용한 경판 방각본 소설의 유형 고찰」, 「부끄러움/창피함/쑥스러움/수치스러움/수줍음간의 관계 고찰」 등이 있다.
펼치기
김성규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동국대학교 영어영문학과에서 공부했으며 영어문화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박사학위 세부전공은 죽음심리학과 영화비평이며, 주로 영화를 통해 인간의 몸과 마음을 연구하고 있다. 현재는 모교인 동국대학교에서 교수로 재직 중이며, 최우수강의상・최우수연구상 등을 받았다. 그가 교양서를 쓰는 이유는 어려운 공부를 쉽게 풀어서 대중과 이야기해보기 위함이다. 이를 통해 더 많은 이들이 쉽게 지식을 쌓기를 희망한다. 강의실에서 학생을 만나는 일, 각계각층의 사람과 만나서 강연하고 이야기 나누는 일을 귀하게 여기기에, 책을 통한 만남이라면 언제든지 환영하고 성심껏 준비한다. 주요 저서로는 인간이 지닌 악에 대한 심리를 다룬 『인간의 악에게 묻는다』가 있다. 마음을 탐구한 데 이어 몸을 탐구한 이 책 『사피엔스의 몸』은 몸을 바라보는 13가지 주제를 영화·드라마·소설 등의 문화/문학 콘텐츠로 소개한 책으로, ‘2023년 중소출판사 출판콘텐츠 창작 지원 도서’에 선정되었다. 인스타그램 @rkensin
펼치기
김성문 (지은이)    정보 더보기
중앙대학교에서 “시조의 문체 연구”로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현재 중앙대학교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학부와 대학원에서 [국문학개론], [고전작가론], [고전문학콘텐츠론], [고시가의 정서와 미학], [전통문화와 문화콘텐츠연구], [인문융합콘텐츠기획론] 등의 과목을 담당하면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 분야에 관심을 갖고 강의와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주요 논문으로는 「프로조디 분석을 통한 시조의 가락 고찰 시론」, 「사대부 시조에 나타난 사회적 소통 양상 고찰」, 「다문화 시조의 사회적 소수자 수용 양상 고찰」, 「디지털 분석 기법을 활용한 시조 연구 방법 탐색」 등이 있다.
펼치기
박소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중앙대학교에서 영문학으로 박사학위를 받고 현재 중앙대학교 인문콘텐츠연구소 HK+ 연구단의 연구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번역서로 『루이비통이 된 푸코』(난장, 공역)가 있다. 최근 논문으로 「인간의 마음과 상호주체성: 『댈러웨이 부인』에 대한 인지적 고찰」, 「인간과 인공지능의 공존 가능성에 대한 탐색: 책임의 윤리와 문학적 상상력」, 「인공지능의 역사」, 「인공지능시대 인간의 신체와 문학적 형상화」, 「맨스필드의 「희열」에 그려진 여성의 불안과 소외, 그리고 자유간접화법의 효과」, 「셰익스피어 VS. AI-셰익스피어: 소네트 분석을 통한 인간과 인공지능의 창조성 비교」 등이 있다.
펼치기
한미라 (지은이)    정보 더보기
중앙대학교에서 향촌 사회사로 박사학위를 받고 현재 중앙대학교 다빈치교양대학 조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아카이브로 읽는 흑석동의 어제와 오늘』(공저), 『바다 사람들의 생애사 1』(공저) 등이 있다. 논문으로는 「19세기 후반 경상도 함양 栢吐里鄕約의 구성과 재정운영」, 「1930년대 향약 단체 운영과 단체장의 성향」 등이 있다.
펼치기

추천도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