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고대~고려시대 > 한국고대사 > 한국고대사 일반
· ISBN : 9788950942427
· 쪽수 : 440쪽
· 출판일 : 2022-11-08
책 소개
목차
『삼국유사』 제목과 그 뜻 11
1편 기이, 정치 현실과 신성한 환상 (상) 19
2편 기이, 정치 현실과 신성한 환상 (하) 109
3편 흥법, 불교의 전래 197
4편 탑상, 탑과 불상 223
5편 의해, 불교의 뜻 303
6편 신주, 밀교의 신통력 363
7편 감통, 여러 세상의 공감과 소통 375
8편 피은, 숨은 은자들 405
9편 효선, 효도와 선행의 실천 425
발문 437
리뷰
책속에서
『삼국유사』는 여러모로 『삼국사기』와 비교되곤 하였다. 이를테면 『삼국사기』가 왕권의 강약과 귀족 세력의 부침에 따른 정치사를 바탕으로 서술되었다면, 『삼국유사』는 불교와 고유 신앙의 대립과 화해, 향가를 비롯한 문학과 미술 작품, 건축물의 조성 등 종교를 중심으로 한 문화사의 영역을 해명하고 있다. 이에 따라 『삼국사기』가 본기와 열전에 수록된 현실 세계의 역사를 지향하는 것과는 대조적으로, 『삼국유사』는 기이편과 감통편을 비롯한 여러 대목에서 비현실적인 존재들을 만나고 체험하는 과정에 관심을 기울여 왔다.
_『삼국유사』 제목과 그 뜻
다섯 가야 - 『가락기찬駕洛記贊』을 살펴보면 자줏빛 끈 하나가 내려와 둥근 알 6개를 주었다고 한다. 다섯 알은 각각 작은 나라들로 떠났지만, 하나는 성에 남았다. 그리하여 하나는 수로왕首露王이 되고, 남은 다섯은 각각 다섯 가야의 군주가 되었다. 그러므로 금관가야는 다섯에 들어가지 않아야 마땅하다. 그러나 고려의 『사략史略』은 금관가야까지 합쳐 세었고, 창녕까지 함부로 보태었으니 잘못되었다.
_1편 기이, 정치 현실과 신성한 환상(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