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동양철학 일반
· ISBN : 9788956370507
· 쪽수 : 911쪽
· 출판일 : 2004-07-01
책 소개
목차
제1편 개종명의(開宗明義)
1. 원본 <대학>의 본래 모습
2. 하버드대 교수의 방문
어려서부터 읽으면 유익한 점이 많다
기풍을 열기는 하되 스승이 되지는 않는다
3. 오랜 억울함을 풀 길 없는 사서(四書)
과거에 합격하여 공명을 얻는데 잘못 사용되다
예전보다 더 심해진 신팔고(新八股)
4. 서생의 대부분은 농촌 출신
전통적인 농촌 생활
농촌의 자발적인 교육
5. 계몽 교육에 관해 분석하다
하룻밤 사이에 백발이 되었다는 <천자문>
먼저 사람 노릇을 배운 다음에 정치를 논하다
6. 까마귀식의 독서법
편지나 쓰고 장부나 기록할 줄 알면 된다
학동들은 일제히 소리 질러대니 목청도 좋구나
7. 먼저 몇 개의 네모나 진(陣)을 치다
도(道)자의 다섯 가지 의미
덕(德)자의 여러 가지 의미
천(天)자의 다섯 가지 의미
8. 대인의 학문에 관해 살펴보다
어떤 사람을 대인이라고 하는가?
'건괘' <문언>의 새로운 해석
본래의 모습을 돌려주다
9. 중원문화의 정품
북방과 남방의 문학 풍격
<대학>의 첫 단락으로 병을 치료하다
제2편 칠증(七證)의 수양
10. <대학> 수양의 순서
사강, 칠증, 팔목
자기 자신이 서고 다른 사람도 세움으로써 지선에 도달하다
자기 자신이 깨닫고 다른 사람을 깨닫게 함으로써 깨달음이 완전해지다
11. 주희가 주제넘게
<대학>을 고쳤다
'친민'을 '신민'으로 고치다
마음대로 <대학>의 순서를 개편하다
한 글자의 잘못과 관련된 이야기
12. "밝은 덕을 밝힌다"는 무엇을 "밝힌다"는 것인가?
송대에 이학이 일어난 배경
주자의 허령불매(虛靈不昧)설의 탐구
13. 천고에 밝히기 어려운 것은 오직 자기 자신을 아는 것
설파해 주지 않으셔서 감사합니다
혼돈은 끝내 좋은 보답을 얻지 못했다
14. 끊임없이 흘러 멈추지 않으니 어째서 그러한가?
지(知)와 지(止)의 상호 관계
털 한 올을 불어서 사용했어도 빨리 갈아야 하리
15. 정말로 말하기 어려운 것은
정(定)이다
지(止)와 (定)의 인과 관계
구차제정(九次第定)의 수증(修證) 공부
각(覺)과 관(觀)의 네 단계
제3편 내명(內明)의 학문
16. "평온하여 먼데까지 이른다"란 도대체 어떤 것인가?
중점은 담박(淡泊)에 있다
동(動)과 정(靜)의 현상
형이상적인 도(道)의 고요함
천 근 만큼이나 무거운 능(能)자
17. 어디에도 없는 마음을 편안하게 해 주다
먼저 몸과 마음의 경안(輕安)에 이르러야 한다
철저히 마음을 편안하게 해 주다
18. 많은 사람 속에서 그를 찾고자 오래도록 헤아리다
려(慮).사(思).상(想)의 뜻
"생각한 뒤에야 얻을 수 있다"는 이치
19. 영원한 제왕의 학문
대(大)문필가 증자의 내성외왕(內聖外王)
장자와 견해가 비슷하다
성왕은 반드시 덕(德)과 술(術)을 겸비해야 한다
20. 먼저 할 바와 나중에 할 바를 아는 지성(知性)
태아는 지(知)를 지니고 있을까?
왕양명은 어떻게 치지(致知)하였는가?
능지(能知)와 소지(所知)를 명확히 판별하라
"나면서부터 신령스럽다"에 관해서는 <내경(內經)>을 참고하라
21. 치지(致知)와 격물(格物)
지인(知人)에서 지물(知物)에 이르는 성(性)
<역경> '계사전'은 참조할 만하다
이치를 밝히고 본성을 실현하여 그것으로써 천하를 구제하다
22. 지혜가 만물은 알되 자기 자신을 알기는 어렵다
만물을 어떻게 분류하였는가?
백성에게 인하고 만물을 사랑하면 천하는 태평해질 것이다
23. 물욕은 스스로를 가엾게 만들 뿐이다
인류 발전의 역사를 되돌아보다
동서양이 나뉘게 된 관건
소비 추종의 위기
24. 신심정지(身心情智)와 물화(物化)
사람의 몸은 오로지 사용권만 있다
<내경>을 통해 수신의 의미를 살펴보다
심물일원(心物一元)은 물화를 막는다
25. 성의(誠意).정심(正心).수신(修身)과 지지(知至)
성(性)으로부터 성리(性理)의 학문에 이르다
자성(自性)은 어떻게 "지극히 선한 데 머무르게" 하는가?
의(意)에서 생겨난 각종 심리상태
심(心).의(意).식(識)의 차이
생명의 형성에서부터 이야기를 시작하다
대부분의 행위는 정서의 영향을 받는다
26. 요순(堯舜)은 오지 않고 주공(周孔)은 멀기만 하다
요.순.주공이라는 훌륭한 모범
공자는 백성에게 인하고 만물을 사랑할 것을 중시하였기 때문에 존왕(尊王)을 주장하였다
제4편 외용(外用)의 학문
27. 삼대 이후의 제왕과 평민
제가(齊家)하는 여성은 참으로 위대하다
제왕의 가정에는 문제가 많았다
관중과 제 환공의 정채로운 대화
28. 제왕의 표본이 되었던 제 환공
진정한 정치가란 어떤 것인가?
제 환공은 어떤 인물이었나?
관중은 어떻게 포숙아에게 보답하였나?
오늘날에도 여전히 관중을 거울삼아야 한다
29. 가련한 신세의 패군(覇君)
중국 통일의 역사적 배경
여불위의 기화(奇貨) 투자 계획
진시황이 제일 먼저 착수한 일은 궁궐의 정돈이었다
진시황의 성격은 어떻게 형성되었나?
진시황의 친필 서신
여섯 나라를 멸망시킨 자는 여섯 나라이다
30. 진시황의 치국의 도를 공평하게 논의하다
진 효공 이래의 법치를 받들어 행하다
분서갱유 사건의 진상
군현은 중앙의 지사(支社)
장량의 절대절명의 계산
31. 역대로 수신제가 했던 제왕이 몇이나 되는가?
수신은 자아비판에서 시작한다
순임금의 효는 천지를 감동시키고 천하를 평정하였다
제5편 내외겸수지도(內外兼修之道)
32. 천하를 평정한 유방도 집안을 다스리지는 못했다
유방의 용안(龍顔)에서부터 이야기를 시작하다
활달의 배후에 감춰진 신세와 성격
교만하고 방자한 여후는 녹록치 않았다
유방에 대한 역사서의 단평(短評)
유방과 여후 간의 암투
후대의 비극을 위한 서곡을 연주하다
33. 다른 사람에게 자애로웠던 한 문제
어머니의 가르침에서 힘을 얻다
두 통의 편지로 두 차례의 병란을 막다
가의에게는 오직 귀신에 관해 물어볼 만했다
무제와 원제의 문화 정책의 병폐
34. 그 의(意)를 깨끗이 하는 데서 시작하다
성의를 해석해 놓은 원본 <대학>의 여덟 가지 정지(正知)
자기 자신 속이기.남 속이기.남에게 속아 넘어가기
신독(愼獨)이란 어떠한 독(獨)을 삼가라는 것인가?
"안에서 성실하면 밖으로 나타난다"는 심원한 이치
학문수양은 모름지기 일상 행위를 거쳐야
역사적 인물들의 경험을 자명(自明)으로 총괄하다
군자는 왜 "그 최선을 다하지 않는 바가 없는가?"
성의(誠意)는 외용(外用)에 있어서 모름지기 지지(知止)해야 한다
35. 수신(修身)과 정심(正心)
사람의 몸으로 얻기 어려우니 소중하게 여겨야 한다
마음이 몸으로 전화되는 이치
신심(身心)에 관한 관자의 학설
장자는 장애인을 응원하였다
중국과 인도의 성현은 모두 무(無)를 법으로 삼았지만 차이가 있었다
수신의 중점은 그 마음을 바르게 하는 데 있다
36. 중국 전통문화의 가(家)
사당은 일찍이 사회 안정의 초석이었다
사회복지는 그 유래가 이미 오래되었다
장공백인(張公百忍)의 고사로 이야기를 시작하다
요임금은 자손이 많기를 원하지 않았다
37. 집집마다 읽기 어려운 경이 있다
수신제가에 있어서 다섯 가지 심리문제
"친애함"으로 인한 심리적 편향에 관한 고사
"천히 여기고 미워함"으로 인한 심리적 편향에 관한 고사
귀신을 "두려워하고 존경함"에서부터 근대의 인조신(人造神)에 이르기까지
역사적 진실로부터 "두려워하고 존경함"의 이치를 깨닫다
역사적 진실로부터 "가엾게 여기고 불쌍히 여김"의 작용을 체험하다
역사적 진실로부터 "거만하고 게으른" 심리의 배경을 이해하다
자기 자신.부모.지도자에게 주는 계시
제6편 집안을 가지런히 하고 나라를 다스리다
38. 나라를 다스림이 반드시 그 집안을 바로잡음에 있다는 것에 대하여
중국 상고 사회는 예치(禮治)를 위주로 하였다
민주(民主)를 이야기하려면 자기 자신부터 시작해야 한다
39. 주나라 왕실의 치국.제가에 관한 고사
세 어머니들의 훌륭한 자태
태백이 왕위를 양보한 유풍
주나라 말기의 최고 문화 대사 계찰
효(孝).제(弟).자(慈)의 도리
왕위 양보와 천하 통일
40. 나라를 다스리는 주인이 되는 원칙
자신을 아는 것과 남을 아는 것
서장(西藏)에 사신으로 간 선종 대사
청 조정으로부터 얻은 역사적 교훈
41. 법치와 치법
어째서 "천하를 포악함으로써 거느리는데도 백성들이 그를 따랐는가"
법령 제정의 기본 원칙
좋은 일을 얼마나 많이 해야 진짜 수행이고, 진짜 학문인가?
42. 먼저 <시경>은 어떻게 말하고 있는지 보자
"그 집안 식구에게 마땅하네"의 깊은 뜻
부드러우면서도 많은 내용을 담고 있는 시의 가르침
43. 돌을 깎아 하늘을 받친 것은 모성(母性) 때문이었다
"어머니가 있는 것만 알다"에서 "여자는 집안을 주관하다"로 변하다
삼종사덕(三從四德)의 시대적 의의
44. 나라를 다스리고 집안을 바로잡으려면 모름지기 여보(女寶)가 있어야 한다
부덕에서 모의천하에 이르기까지
위정(爲政)은 정치(政治)와 같지 않다
제7편 나라를 다스리고 천하를 화평하게 하다
45. 인간 세상은 화평하게 하기 어렵다
먼저 '천하'의 원래 의미를 이해하다
무엇을 "혈구의 도"라고 하는가?
46. 저울은 스스로 오르내리지 않는다
위정자가 부중부정(不中不正)한 결과
먼저 "덕을 세워야만" 비로소 민심을 얻을 수 있다
위정자는 언행에 각별히 유의해야 한다
재(財).화(貨)의 원래 의미
유방.이연.주원장의 솔직한 말
47. 무대에 오르기는 쉬워도 내려오기는 어렵다
아두와 손호의 대비
유의의 대담한 직언
48. 위진남북조 시대
당시의 세 가지 관건을 이해해야 한다
오랑캐와 중화민족의 혼합
호한(胡漢) 문화의 또 다른 일면
석륵과 불도징의 고사
구마라집을 만나지 못한 부견
유가는 잠잠하고 불가는 창성했던 시대
49. 연속 공연된 남조의 권위희(權位戱)
유준.소연.소역.진숙보의 고사
양견과 양광 부자의 고사
그 누가 형체도 없는 인과율을 피할 수 있는가?
50. 소치(所治)는 법(法)에 있고 능치(能治)는 인(人)에 있다
증자는 '진서'를 가지고 설명했다
진 목공이 백리해를 중용하다
"건숙이 군사를 위해 울었다"는 고사
유여가 문화와 문명을 논변하다
이웃 나라의 성인을 어떻게 대했는가?
세 가지 방면에서 진 목공을 보다
51. 의리지변(義利之辨)의 재정 경제 학설
백성의 부유함이 곧 나라의 부유함이고 나라가 부유해지면 백성이 강해진다
재정(財政)에 치중했던 명재상과 명신
증자가 의(義)와 이(利) 사이에 처했던 고사
공자의 제자 가운데 자공이 없었더라면
'화식열전'의 훌륭한 이론과 탁월한 식견
제8편 유학의 변화와 국가 발전
52. '정성서'를 선택한 송유 정명도
불교의 전래로부터 이학의 흥기까지
'정성서'를 잘 배웠던 강희제
53. 사서오경과 중국문화
오경박사의 시작
현학과 현담의 시대
문예가 휘황찬란했던 당대의 운치
유불도선(儒佛道禪)과 당대 문화
백장선사와 여순양의 심원한 영향
'원도'와 '복성서'의 출현
54. 유가 경학과 이당 오대
오대는 제2차 남북조의 시작이었다
하늘을 향한 이사원의 축수
55. 송의 수문약주(守文弱主)의 유래
어머니로서의 예의범절이 가히 위엄스러웠던 두태후
"촛불 그림자와 도끼 소리"라는 의심스러운 사건
귀신이나 미신을 믿는 것을 이용해 백성을 우롱했던 송 진종의 우민정책
56. 송초의 문운(文運)과 송유의 이학
문운 전성의 원인
전약수의 기개 있는 말
진정한 유종(儒宗)이요 유행(儒行)이었던 범중엄
송초의 대(大)유학자들을 길러내다
북송 후기의 유림 도학 현상
신종에게 했던 소동파의 건의
57. 남송 왕조와 사서장구
송 고종의 모순된 조서
주자의 소위 "제왕의 학문"을 평하다
학이치용(學以致用)을 주장했던 이름난 유학자들
58. 몽고의 서방원정과 서양인의 오해
징기스칸은 왜 서방원정에 나섰는가?
티베트 밀교 하의 유가
제9편 서양문화와 중국
59. 명청의 과거제도와 송유의 이학
주원장의 심리를 분석하다
과거로 선비를 뽑는 제도의 이로움과 폐단
양명학의 흥기
명 왕조의 정치 문화를 총결하다
60. 겉으로는 유학을 표방하고 안으로는 불로를 사용했던 청 왕조
청이 천하를 얻은 것은 거의 이수(異數)에 가까웠다
치학(治學)에 근면했던 강희제
중국의 근심은 변방에 있었다
61. 옹정제에서 건륭제까지
주야로 부지런히 노력하여 "일을 반듯하게 처리하다"
옹정제는 어떻게 평천하 했는가?
대선사가 불교를 정리하다
천하를 장악한 채 가업을 발전시켰던 뛰어난 인재
완벽한 노인 건륭제
62. 서양문화의 연변을 조감하다
명청 무렵의 중서문화교류
청초 이래 서양 국가의 중대한 변혁
미국문화와 미국식 맹주
63. 반성하고 검토해야 할 세 가지 큰 문제
64. 결론:중국은 평화 공존의 세계를 희망한다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