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유교철학/주역 > 양명학
· ISBN : 9788957337189
· 쪽수 : 680쪽
· 출판일 : 2020-12-31
책 소개
목차
‘규장각 고전 총서’ 발간에 부쳐
해제 본심이 감통하는 따뜻한 세상을 위하여
1. 이 글을 쓰게 된 까닭
01 양명학 논술의 동기
2. 양명학이란 무엇인가?
02 양명학의 학문 종지
03 명명덕과 친민
04 실심 환성과 양명학
05 양명학은 심학이다
06 마음이 바로 리다
07 앎과 행위는 본래 분리되지 않는다
08 본심의 애틋함과 천지만물일체설
09 일진무가(一眞無假)의 양지와 치양지
3. 왕양명의 전기
10 젊은 날의 학문 변천과 경세에 대한 관심
11 용장오도
12 산중의 도적을 깨뜨림
13 신호(宸濠)의 반란 진압
14 양광 지역의 변란 평정과 오심광명
4. 「대학문」과 발본색원론
15 대인지학과 명명덕 및 천지만물일체의 인(仁)
16 친민에 대한 새로운 해석
17 명덕과 친민의 최고 준칙으로서의 지선(至善)
18 ‘물유본말(物有本末)’에 대한 해석
19 ‘격물·치지·성의·정심·수신’에 대한 새로운 해석
20 발본색원론
5. 양명의 제자들과 양명학을 계승한 여러 현인들
21 양명 후학의 학파 분류와 서애 및 기원형의 사상
22 전덕홍과 왕용계의 사구교 논쟁
23 왕간의 안신설에 기초한 경세사상
24 태주학파의 강학과 각민행도
25 나홍선의 무욕주정(無欲主靜)과 경세치용
26 유종주의 신독설과 절의 정신
27 손기봉의 불굴의 정신, 황종희의 개혁론, 이옹의 지기(知幾)론
6. 조선양명학파
28 최명길의 양명학 공부와 경세사상
29 장유의 조선 학술에 대한 비판과 양명학 옹호
30 정제두, 조선양명학파의 대종
31 이광신의 주자학과 양명학의 보합(保合)
32 김택수의 직지본심(直指本心)
33 이진병의 주자학 비판
34 이광사의 실리(實理) 보존
35 이영익과 이충익의 양명학 이해와 평가
36 홍대용의 실학
7. 후기
37 정인보의 마음속 깊은 울분과 본심감통
주석
참고문헌
찾아보기
책속에서
본심이란 감통에서 살고 간격에서 죽는다. 만일 백성의 아픔을 곧 내 아픔으로, 백성의 괴로움을 곧 나의 괴로움으로 느끼는 그 감통이 내 몸에 있는 것과 같다면 스스로 분주하게 돕고 구제하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니, 그 몸은 거꾸러졌을지라도 본심은 살아 있는 것이다. 이것은 한두 사람만 특수하게 타고난 것이 아니요, 사람이면 다 같이 감통되는 것이지만, 옹졸한 한 개인의 사사로운 계산이 제석망처럼 골고루 돌아 얽히어 이 감통이 중단된 것이다. 이 감통의 중단은 곧 양지가 가리고 막힌 것이요, 양지의 가리고 막힘은 곧 생명이 끊어진 것이니, 어느 때든지 한 점 양지가 잠깐 반짝하는 곳에는 여전히 백성과 사물을 한 몸으로 여기는 감통이 있는 것이다.
「발본색원론」
누구나 ‘내 본밑 마음이 선천적으로 가진 앎’을 찾으려고 한다면, 스스로 속일 수 없는 곳을 조용히 살펴보라. 스스로 속일 수 없는 그곳의 참된 체[眞體]를 찾으려고 한다면 민중과 감통하는지 아니면 간격이 있는지를 스스로 증명해 보라. 이 밝음은 어디에서든 한순간이라도 멈춤이 없으니, 뜻이 있는 사람이 한번 깊고 멀리 생각해 보면 결코 그럭저럭 대충하고 말 것이 아니다.
「후기」
양명은 본심 양지는 다른 사람의 아픔과 괴로움을 자신의 아픔과 괴로움으로 여기는 감통 능력을 지닌 것으로 본다. 다른 사람이나 사물에 감통하여 그것을 애틋하게 여기는 데서 양지가 살아난다. 이 양지의 감통 기능을 발휘하면 만인이 자기 재능을 실현하고 서로 화락(和樂)하게 지내는 대동사회에 도달할 수 있다.
「해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