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중국철학
· ISBN : 9791166842467
· 쪽수 : 448쪽
· 출판일 : 2025-05-15
책 소개
목차
명유학안 권32, 태주학안1 明儒學案 卷三十二, 泰州學案 一·한정길
처사 심재 왕간 선생處士王心齋先生艮 33
포정 파석 서월 선생布政徐波石先生樾 82
교유 일암 왕동 선생教諭王一菴先生棟 108
문선 동성 임춘 선생文選林東城先生春 148
명유학안 권33, 태주학안2 明儒學案 卷三十三, 泰州學案 二·한정길
문숙 대주 조정길 선생文肅趙大洲先生貞吉 153
명유학안 권34, 태주학안3 明儒學案 卷三十四, 泰州學案 三·이봉규
참정 근계 나여방 선생參政羅近溪先生汝芳 201
시랑 복소 양기원 선생侍郎楊復所先生起元 356
□ 인명·개념어·서명/편명 색인_ 381
책속에서
동명은 경천대耿天臺에게서 수업을 받았고, 수십만 어의 글을 지었는데 대체로 유교와 불교를 끌어모아 합하여 그 성대함을 견줄 것이 없었다. 그래서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건원乾元에 머리가 없는 취지는 『화엄경』의 성해性海와 혼연하여 차별이 없으며, 『주역』의 도는 천지와 더불어 준거가 되기 때문에 불교나 노자와 조합을 기약하지 않고도 저절로 합하게 된다. 그리고 공교孔敎는 (불교와 도교의) 이교二敎와 대치되기 때문에 불교나 도교 무리와 다투기를 기약하지 않아도 저절로 다투게 된다.
왕간은 자가 여지汝止요, 호는 심재이며, 태주泰州 안풍장安?場 사람이다. 칠 세에 고향에 있는 글방에서 글을 배웠으나 가난하여 학업을 마칠 수 없었다. 부친을 따라 산동山東에서 장사를 했는데, 『효경』·『논어』·『대학』을 늘 품속에 지니고 다니면서 사람을 만나면 의심나던 것을 물었다. 오래되자 입에서 나오는 대로 담론하고 해석하니, 마치 누군가 그를 열어 준 듯했다. 그 아버지가 부역을 하느라 추운 날에 일어나 차가운 물로 세수를 하니, 선생이 그것을 보고 통곡하며 말했다. “사람의 자식으로 부친을 이렇게 만들고서야 또 사람이 될 수 있겠는가?” 이에 일이 있으면 자신이 그것을 대신했다. 선생은 비록 학문을 전공하지는 못했지만 묵묵히 참구參究하되, 경전을 가지고 깨달음을 증험하고, 깨달음을 통해 경전을 해석하였는데, 여러 해가 지나자 사람들은 그 한계를 엿볼 수 없었다.
내 주신 편지에서 말씀하시기를 “도는 천지만물에 통하니 옛날과 지금, 타인과 나 사이의 구별이 없다.”고 하셨는데, 참으로 그렇습니다. 다만 “말아 감추고자 하지만 자기가 서 있는 곳에서 아직 충분하지 못하여 천지만물을 분명히 이해하지 못한다.”고 하셨는데, 이 말씀은 아직 명료하지 못한 점이 있는 듯합니다. 내 생각으로는 “자기의 힘이 아직 충분하지 못하기 때문에 때로 고집하는 곳이 있고, 때로 막히는 곳이 있으니, 여기에서 단지 훈수薰修를 점차 익히는 것을 빌려 오래도록 쉬지 않는다면 서서히 통하게 될 것이다.”라고 말해야 할 듯합니다. 통한 곳을 “하늘보다 먼저 행하더라도 하늘이 어기지 않는다.”고 하고, 아직 통하지 못한 곳을 “하늘보다 뒤에 행하더라도 천시天時를 받든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