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자비, 깨달음의 씨앗인가 열매인가

자비, 깨달음의 씨앗인가 열매인가

한자경, 이정기, 미산, 박찬욱, 박성현, 차상엽, 윤희조, 김재성 (지은이)
운주사
2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9,000원 -5% 0원
600원
18,400원 >
18,000원 -10% 0원
0원
18,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자비, 깨달음의 씨앗인가 열매인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자비, 깨달음의 씨앗인가 열매인가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불교 > 불교사/불교철학
· ISBN : 9788957464403
· 쪽수 : 376쪽
· 출판일 : 2015-11-10

책 소개

밝은사람들 총서 10권. 총서 9권 <깨달음, 궁극인가 과정인가>에서 지혜의 문제를 다루었다면, 여기서는 자비의 문제를 다룬다. 자비의 구체적인 내용은 무엇이고 어떻게 실천되는지, 자비와 깨달음의 관계는 어떤 것인지 등에 대해 성찰한다.

목차

기획자 서문/ 자비를 통해 우리의 삶이 좀 더 따뜻해지길 기원하며/박찬욱, 윤희조·5
편집자 서문/자비의 자각과 실현/한자경·9

{초기 및 부파불교에서의 자비} 붓다가 가르친 자비/김재성·45
1. 지혜와 자비, 어느 것이 먼저인가·45
2. 자비와 사랑과 번뇌·47
1) 자비란 무엇인가?·47
2) 사랑과 관련된 용어·49
3) 왜 자비인가?·52
4) 자비와 번뇌·56
3. 초기불교의 자비 수행·57
1) 분노와 원한, 그리고 잔인함을 다스리는 방법으로서의 자비·57
2) 공덕행으로서의 자애 수행·59
3) 공동체의 화합을 위한 자애 수행·61
4) 선정 수행법으로서의 자애 수행·62
5) 범천에 이르는 길로서의 자애 수행·62
4. 테라와다 불교와 설일체유부의 자비·64
1) 자애 수행과 위빠사나 수행의 관계·64
2) 테라와다 불교의 자비·64
3) 설일체유부의 자비·66
5. 국내에 소개된 테라와다 수행과 자애 수행·69
1) 마하시 전통의 순수 위빠사나에서의 자애 수행·70
2) 우 자나까 사야도의 자애 수행·72
3) 파욱 사야도의 자애 수행법·76
4) 고엔까지 전통의 자애 수행·77
6. 현대 사회에서 붓다의 자비의 의미·78

{인도대승 및 티벳불교에서의 자비} 고통의 구제로서의 자비/차상엽·81
1. 대승의 자비, 무엇이 다른가?·81
2. 자비와 대비大悲·84
1) 자비와 평정, 그리고 보살의 서원·84
2) 자리와 이타, 지혜와 자비·88
3) 자비의 종류와 공성과의 관계·91
4) 대승의 대비大悲사상·98
3. 자비와 보리심·107
1) 보살의 3가지 원인과 붓다의 1가지 원인·107
2) 보리심, 무아無我에서 비悲로·112
3) 비를 근간으로 하는 보살의 보리심과 서원·116
4. 자비 명상법·122
1) 똥렌gtong len: 주고받음 수행·122
2) 관세음보살의 자비 진언과 구루요가·124
5. 마치는 말-현대사회에의 제언·128

{중국대승 및 선불교에서의 자비} 진정한 자비의 실천과 선불교 자비행법의 모색/미산·131
1. 왜 진정한 자비인가?·131
2. 진정한 자비실천의 바탕과 대승보살의 행원·134
1) 자비실천의 불성구원론·135
2) 발보리심과 대비심·138
3) 사홍서원과 선정바라밀·139
3. 대승경론에 나타난 불이중도의 자비수행·143
1) 「대지도론」에 나타난 반야지의 근거로서의 자비·143
2) 「화엄경」에 나타난 보살 행원의 근거로서의 자비·148
3) 「유마경」에 나타난 불이중도의 자비·151
4. 선불교에 있어서 무연자비와 선지식의 역할·154
1) 본래성불에 대한 믿음과 불이중도와 무연자비·155
2) 선지식의 역할과 대기와 대용·156
5. 한국 선지식들의 보현행원과 자비실천관·159
1) 나옹과 용성의 자비실천의 행원·160
2) 성철의 보현행원과 서옹의 참사람 자비실천·165
3) 간화선 수행자의 자비실천에 대한 반성과 성찰·180
6. 대승불교와 선불교의 입장을 바탕에 둔 자애행법의 모델 제안·186
1) 「차제선문」에 나타난 선바라밀 자애행법·187
2) 하트스마일명상의 이론적 토대와 구조 및 행법·189

{서양철학과 신학에서의 자비(사랑)} 현대사회에서 사랑 공동체의 의미/이정기·197
1. 왜 새삼스럽게 “사랑”인가?·197
2. 사랑이란 무엇인가?·201
1) 사랑과 삶의 의미·201
2) 사랑 개념의 역사적 고찰·206
3. 무감각(Apathy)의 시대·222
1) 운명: 고도를 기다리며·222
2) 문화: 정신분열증 사회·224
3) 정서: 무감각(Apathy)과 공허·226
4) 결단: 사랑과 의지·228
4. 사랑의 공동체를 위하여·231
1) 구조(Structure)·233
2) 방향(Direction)·242
5. 함께 기다리며·255

{심리학에서의 자비} 자비는 나와 이웃을 이롭게 하는가?/박성현·259
1. 자비를 키우면 행복해진다?·259
2. 심리학에서 말하는 자비란 무엇일까?·261
1) 자비의 구성 개념·261
2) 자비와 공감·263
3) 자비와 마음챙김·267
3. 자비와 이타주의는 진화의 산물인가?·269
1) 자비는 어떻게 진화되었는가?·269
2) 자비로운 사람은 더 이타적인가?·273
4. 자비는 자신을 이롭게 하는가?·281
1) 자비가 자신의 건강에 도움이 되는가?·281
2) 자기를 향한 자비와 자기에 대한 존중감은 무엇이 다른가?·287
5. 자비는 치료적으로 어떻게 활용되는가?·291
1) 자비명상을 응용한 심리치료 기법·291
2) 자비와 상담자·295
6. 자비의 시대를 열며·296

참고문헌·303
주·327

저자소개

한자경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이화여자대학교 철학과와 동 대학교 대학원을 졸업하였다. 독일 프라이부르크대학교에서 서양철학(칸트)을 공부하고, 동국대학교 불교학과에서 불교철학(유식)을 공부하였다. 계명대학교를 거쳐 이화여자대학교 철학과에서 가르치다가 2025년 2월에 퇴임하여 현재 명예교수로 있다. 저서로 『칸트와 초월철학: 인간이란 무엇인가』 , 『자아의 연구: 서양 근·현대 철학자들의 자아관 연구』, 『자아의 탐색』, 『유식무경: 유식불교에서의 인식과 존재』, 『동서양의 인간 이해』, 『일심의 철학』, 『불교철학의 전개: 인도에서 한국까지』, 『불교의 무아론』, 『칸트 철학에의 초대』, 『나를 찾아가는 21字의 여정』, 『명상의 철학적 기초』, 『한국철학의 맥』, 『불교철학과 현대윤리의 만남』, 『헤겔 정신현상학의 이해』, 『대승기신론 강해』, 『화두: 철학자의 간화선 수행 체험기』, 『선종영가집 강해』, 『심층 마음의 연구』, 『마음은 이미 마음을 알고 있다: 공적 영지』, 『성유식론 강해 I: 아뢰야식』, 『마음은 어떻게 세계를 만드는가: 일체유심조』, 『능엄경 강해 I·II』 등이 있고, 역서로는 피히테의 『인간의 사명』, 『전체 지식론의 기초』와 셸링의 『인간 자유의 본질』, 『철학의 원리로서의 자아』, 『자연철학의 이념』이 있다.
펼치기
이정기 (옮긴이)    정보 더보기
- The Chicago Theological Seminary (Ph.D) - 한국실존치료연구소 대표 - 목회상담 수련감독자(한국목회상담협회) - 목회상담 수련감독자(한국기독교상담심리치료학회) - 교류분석 수련감독자(상담영역, 한국교류분석상담학회) 저서: 『맑은 魂으로 꿈꾸기』, 『존재는 넉넉하다』, 『목회상담 매뉴얼』, 『그리스도 요법 입문』, 논문집 『존재의 바다에 던진 그물』, 『목회상담개론』(공저) 역서: 『돌봄』, 『실존주의상담학』, 『실존주의 상담과 심리치료의 실제』, 『영성과 심리치료』, 『그리스도요법』, 『상담신학』, 『전략적 목회상담』, 『실존주의 심리학』, 『성직자를 위한 건강한 영성』
펼치기
미산 (지은이)    정보 더보기
KAIST 명상과학연구소 소장이자 상도선원 선원장, 하트스마일명상연구회 회장. 1972년 백양사로 출가한 이래 봉암사와 백양사 운문선원 등에서 간화선 수행을 했으며, 인도와 미얀마에서 초기불교 명상 수행을 했다. 동국대학교 선학과를 졸업했으며, 팔리어와 산스크리트어 문헌을 연구하여 인도 뿌나 대학교에서 석사 학위를 받았다. 이후 옥스퍼드 대학교 동양학부에서 〈남방불교의 찰나설의 연구〉로 철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으며, 하버드 대학교 세계종교연구소 선임연구원, 중앙승가대학교 교수를 역임했다. 현대인을 위한 자비 명상 프로그램인 하트스마일명상을 계발하여 누구나 일상에서 자비를 실천할 수 있도록 돕고 있다. 저서로 《미산스님의 초기경전 강의》, 공저로는 《행복, 채움으로 얻는가 비움으로 얻는가》 《자비, 깨달음의 씨앗인가 열매인가》 《마음, 어떻게 움직이는가》 《인생교과서 부처》가 있으며, 역서로는 래리 로젠버그의 《일상에서의 호흡명상, 숨》 《호흡이 주는 선물》(공역) 등이 있다.
펼치기
박성현 (옮긴이)    정보 더보기
가톨릭대학교 일반대학원 심리학 석사(상담심리전공) 가톨릭대학교 일반대학원 심리학 박사(상담심리전공) 전 한국상담심리학회 회장 현 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 상담심리학과 교수
펼치기
차상엽 (지은이)    정보 더보기
금강대학교 HK교수 동국대학교에서 『쫑카빠(Tsong kha pa)의 瑜伽行 修行體系 硏究』로 박사학위 취득 동국대학교 강사, 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 겸임교수,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티벳어 강사 역임 현재 금강대학교에서 티벳불교를 연구하면서, 티벳어와 티벳불교를 강의하고 있다. 논문으로는 「티벳불교에 나타난 구종심주의 수행 체계와 전개 양상」, 「이당뀐시까델(Yid dang kun gzhi'i dka' 'grel)의 心識說에 나타난 圓測의 영향」, 「싸꺄빤디따(Sa skya pa?B?Nita)의 마하무드라(Mah?Nmudr?B) 비판」, 「티벳 문헌에 나타난 淨衆 無相에 대한 연구: 『바셰(sBa bzhed)』 외 티벳 사료 그리고 둔황 사본(Pelliot No. 116)을 중심으로」, The Yog?Nc?Nrabh?Bmi Meditation Doctrine of the 'Nine Stages of Mental Abiding' in East and Central Asian Buddhism, 공저 및 역서로는 『대승불교의 보살』, 『티벳문화입문』, 『티벳밀교 역사와 수행』등이 있다.
펼치기
윤희조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 불교학과 불교상담학 전공지도교수이며, 불교와심리연구원 원장을 맡고 있다. 서울대학교 철학과 학부와 대학원 석사과정을 졸업하고, 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 불교학과 대학원에서 석·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주요 저·역서로 『붓다와 아들러의 대화』, 『유식과 합리적 정서행동치료』, 『불교심리학과 인지행동치료』, 『붓다와 프로이트』, 『붓다의 영적 돌봄』, 『만다라 미술치료』, 『심리치료와 행복추구』, 『자비와 공』, 『불교심리학사전』, 『불교상담학개론』, 『한역으로 읽는 알아차림의 확립 수행』, 『불교심리학 연구』, 『불교의 언어관』 등이 있고, 40여 편의 불교심리학 및 불교상담 관련 논문이 있다.
펼치기
김재성 (지은이)    정보 더보기
능인불교대학원대학교 명상심리학과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