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요가수행자의 불교적 바탕

요가수행자의 불교적 바탕

(유가사지론의 인도.티벳.동아시아 전파)

안성두, 김성철, 람버트 슈미트하우젠, 박창환, 차상엽, 울리히 팀메 크라우, 알렉산더 폰 로스팟, 판 데어 퀘입 (지은이), 최진경, 방정란, 함형석, 이상민, 최성호, 손영산, 임주영 (옮긴이)
CIR(씨아이알)
3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3,250원 -5% 0원
1,750원
31,5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7,500원 -10% 870원 14,880원 >

책 이미지

요가수행자의 불교적 바탕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요가수행자의 불교적 바탕 (유가사지론의 인도.티벳.동아시아 전파)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불교 > 불교사/불교철학
· ISBN : 9791156102366
· 쪽수 : 476쪽
· 출판일 : 2016-06-20

책 소개

시대적으로는 <유가사지론>에 대한 고전적 수용 양상부터 최신 연구 성과에 이르기까지, 지역적으로는 인도에서 티벳, 동아시아를 아우르는 방대한 시간과 공간에서 이루어진 연구를 싣고 있는 <유가사지론> 연구의 결정판이다.

목차

I. 『유가사지론』의 배경과 상황
ㆍ선(kuśla)과 불선(akuśla): 불교 정신과 윤리에 관련한 한 쌍의 기초 용어의 고유 의미와 초기 유가행파에 이르는 발전에 대한 재검토

II. 『유가사지론』 �본지분
ㆍ<수소성지>와 그 수행의 서술 방식에 대하여

Ⅲ. 인도에서 유가행파의 수용
ㆍ『구사론』 3.28ab에 등장하는 궤범사(śācśārya) 혹은 유가사지론사들은 어떤 위상을 지니는가?

Ⅳ. 동아시아에서 유가행파의 수용
ㆍ동아시아와 중앙 아시아 불교 속『유가사지론』의 명상 이론: ‘아홉 단계 마음의 머묾’(九種心住)
ㆍ『유가사지론』의 견도 이론과 그에 대한 중국적 해석
ㆍ한국 유식학 연구사

V. 티벳에서 유가행파의 수용
ㆍ‘유심무서’(唯心無書) 그리고 ‘유서무심’(唯書無心): 닥포의 초기 카귀 문헌에서 유가행파 흔적 찾기
ㆍ『아비달마집론』에 대한 즈냐나미트라의 주석에 관한 주해

저자소개

안성두 (옮긴이)    정보 더보기
한국외국어대학 독어교육학과 졸업, 한국학대학원에서 한국불교철학 전공으로 석사. 이후 독일 함부르크대학 인도학연구소에서 Schmithausen 교수의 지도로 인도 초기유식사상에 관한 연구로 석사와 박사학위. 귀국 후 금강대학교 교수와 서울대학교 철학과 교수로 활동. 인도불교 유식학 관련 다수 논문과 『보성론』, 『보살지』, 『성문지』, 『유가사지론』 등 산스크리트어 불전의 번역이 있다. 퇴직 후 『중변분별론』과 『대승장엄경론』에 관심을 갖고 연구 중이다.
펼치기
김성철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동국대 인도철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 대학원에서 석사와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현재 금강대학교 불교문화연구소 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논문으로 「초기 유가행파의 ‘여래장’ 개념 해석」 I, II, 「종성의 본질에 대한 유가행파와 여래장사상의 해석」, 「종성무위론의 기원에 관한 한 고찰」 등이 있고, 저 · 역서로 <유식과 유가행>(씨아이알), <섭대승론 증상혜학분 연구>(씨아이알), <초기불교의 이념과 명상>(씨아이알), <무성석섭대승론 역주>(씨아이알), <천친조 진제역 불성론>(씨아이알), The Foundation for Yoga Practitioners(Harvard Univ.) 등이 있다.
펼치기
람버트 슈미트하우젠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독일 함부르크대학 명예교수 저서로 ?layavij??na: On the Origin and Early Development of a Central Concept of Yog?c?ra Philosophy(1987)와 The Genesis of Yog?c?ra-Vij??nav?da : Responses and Reflections(2014) 등이 있다.
펼치기
박창환 (지은이)    정보 더보기
미국 캘리포니아 버클리대학에서 불교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일본 오타니大谷대학에서 연구원으로 있었다. 현재는 금강대학교 불교학부 교수로 재직중이다. 박사학위 논문은 「경량부종자설의 재검토」이다. 인도 불교철학은 구사론주 세친 이전과 이후로 나뉠 정도로 그의 역할이 지대하다. 따라서 현재는 세친 사상의 전모를 밝히는 작업에 집중하고 있다. 논문으로는 「구사론주 세친의 극미paramanu 실체론 비판과 그 인식론적함의」 등이 있다.
펼치기
차상엽 (지은이)    정보 더보기
금강대학교 HK교수 동국대학교에서 『쫑카빠(Tsong kha pa)의 瑜伽行 修行體系 硏究』로 박사학위 취득 동국대학교 강사, 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 겸임교수,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티벳어 강사 역임 현재 금강대학교에서 티벳불교를 연구하면서, 티벳어와 티벳불교를 강의하고 있다. 논문으로는 「티벳불교에 나타난 구종심주의 수행 체계와 전개 양상」, 「이당뀐시까델(Yid dang kun gzhi'i dka' 'grel)의 心識說에 나타난 圓測의 영향」, 「싸꺄빤디따(Sa skya pa?B?Nita)의 마하무드라(Mah?Nmudr?B) 비판」, 「티벳 문헌에 나타난 淨衆 無相에 대한 연구: 『바셰(sBa bzhed)』 외 티벳 사료 그리고 둔황 사본(Pelliot No. 116)을 중심으로」, The Yog?Nc?Nrabh?Bmi Meditation Doctrine of the 'Nine Stages of Mental Abiding' in East and Central Asian Buddhism, 공저 및 역서로는 『대승불교의 보살』, 『티벳문화입문』, 『티벳밀교 역사와 수행』등이 있다.
펼치기
울리히 팀메 크라우 (지은이)    정보 더보기
덴마크 코펜하겐 대학교 교수 저서로서 Early Buddhist Theories of Action and Result: A Study of Karmaphalasambandha in Candrak?rti’s Prasannapad?(2006)와 Tibetan Yoga and Mysticism(2015) 등이 있다.
펼치기
알렉산더 폰 로스팟 (지은이)    정보 더보기
미국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교수 저서로 The Buddhist Doctrine of Momentariness. A Survey of the Origins and Early Phase of this Doctrine up to Vasubandhu(1995)와 The Svayambhu? Caitya of Kathmandu and its Renovations(2013) 등이 있다.
펼치기
판 데어 퀘입 (지은이)    정보 더보기
미국 하버드 대학교 교수 저서로서 Contributions to the Development of Tibetan Buddhist Epistemology from the Eleventh to the Thirteenth Centuries(1983)와 The Kalacakra and the Patronage of Tibetan Buddhism by the Mongol Imperial Family(2004) 등이 있다.
펼치기
최진경 (옮긴이)    정보 더보기
독일 뮌헨 대학 박사
펼치기
방정란 (옮긴이)    정보 더보기
독일 함부르크 대학교에서 고전인도학으로 박사학위를 받고, 현재 일본 다이쇼(大正) 대학의 종합불교연구소 소속 강사로 있다. 후기인도의 대표적 탄트라 전통인 샤이바와 밀교의 사상을 산스크리트 사본과 문헌학 중심으로 연구하고 있다.
펼치기
함형석 (옮긴이)    정보 더보기
한국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펼치기
이상민 (옮긴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 동양철학 전공으로 석사와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현재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연구교수로 재직 중이다. 대표 연구로는 『6세기 북조불교 연구』, 「地論學派の四量說について」, 「“삼법인(三法印)”과 동아시아 불교」, 「누가 경전을 지었는가? 법상(法上, 490-580) 찬 「교적의(敎迹義)」의 경전관(觀)」 등이 있다.
펼치기
최성호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사회학과 학부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철학과 석사를 받았다. 독일 뮌헨대학교(LMU)에서 불교학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서울대학교, 덕성여자대학교, 독일 라이프치히대학교 강사를 거쳐 현재 경남대학교 교양교육연구소 연구교수로 근무 중이다. 인도불교철학 및 언어를 전공하고 있다. 마쓰나미 고도의 『백팔번뇌 이야기』를 번역하고, 『철학과 현실 현실과 철학』(공저), 『고전티벳어문법』 (공역)를 비롯한 다수의 저작이 있다.
펼치기
손영산 (옮긴이)    정보 더보기
독일 하이델베르크대 박사과정
펼치기
임주영 (옮긴이)    정보 더보기
독일 함부르크 대학 박사과정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561049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