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역사학 > 역사학 일반
· ISBN : 9788958620143
· 쪽수 : 302쪽
· 출판일 : 2004-10-04
책 소개
목차
엮은이의 말
1. 고구려사의 딜레마 - '국가 주권'과 '역사 주권'의 사이에서 ㅣ 임지현
1. '국가 주권'의 개념적 개입
2. '역사 주권'의 대항 논리
3. '국가 주권'과 '역사 주권'의 자태 전환
4. 영토순결주의
5. 기원주의
6. 시대착오주의
7. '재국민화'
2. 변경에서 바라보다 - 근대 서유럽의 국경과 변경 ㅣ 크리스 윌리엄스
1. 두 학자의 경계
2. 변경 연구의 역사
3. 역사.문화.인간학적 공간으로서의 '변경'
4. 근데 세계의 '변경' - 갈등과 공존, 분리와 통합
5. 잉글랜드와 웨일스 사이의 경계
6. 창조적 공간으로서의 변경 연구
3. 동유럽 역사적 변경과 종족.민족 논쟁 - 제1차 세계대전 이후의 국경들 ㅣ 리나스 에릭소나스
1. 종족.민족에 관한 연구 논의
2. 언어적 경계들
3. 지리학과 전쟁의 목적
4. 전도된 민족체의 원칙들
5. 폴란드의 역사적 국경들
6. 폴란드-리투아니아 논쟁
7. 서유럽과 동유럽의 차이
4. 동북아시아 변경의 역사 - 발해사의 배타적 점유를 둘러싸고 ㅣ 이성시
1. 변경사로서의 발해사
2. 자국사로서의 발해사
3. 근대 프런티어로서의 동북아시아 역사
4. 변경과 근대국가의 모순
5. 일본 고대에서의 '우리'와 '그들'의 경계 - 이적론의 과거와 현재 ㅣ 다나카 사토시
1. 일본 고대사 연구의 공간 인식
2. 세 가지 틀 - '이적' 연구의 기본적 문제 구성
3. 국경을 넘어선 '지역'응시
6. 근대 일본의 국경 만들기 - 일본사 속의 변경과 국가.국민 이미지 ㅣ 테라 모리스-스즈키
1. '지리적 신체(geo-body)'로서의 국가.국민
2. '일본'은 언제부터?
3. 변경으로부터의 비전
4. 시간과 공간 속의 변경들
5. '조몬시대'는 어디에 있었나?
6. 누가 과거를 소유하는가?
7. 영웅, 변경을 가다 - 중국 전근대.근대의 상상된 변강 l 왕밍커
1. '기반역사'로 만들어진 중국사
2. 역사심성-형제조상과 영웅조상
3. 중국 고대의 영웅조상 심성과 확산 과정
4. '영웅사변기'에서 상상된 고대 화하의 공간과 혈연
5. 한대 이후의 '신화', '역사'의 역사
6. '영웅사변기'와 근대 중국의 민족사
7. 탈영역화된 '역사 지식' 체계
8. 중국과 중화인민공화국 사이 - 요동과 티베트 역사공동체의 역사정 위상 ㅣ 김한규
1. 역사공동체와 국가
2. 티베트 논쟁
3. 고구려사 논쟁
4. 티베트 역사공동체
5. 요동 역사공동체
6. 다양한 역사공동체들에 대한 이해와 통찰
책속에서
'고구려사가 중국사냐 한국사냐'라는 물음은 비역사적일 뿐만 아니라 반역사적이다. 이 물음을 통해 생면부지의 먼 과거에 대한 기억이 한국과 중국의 국가권력이 의도하는 국민적 정체성을 강화하는 정치적 기제로 작동하는 것이다. 이 물음에 대한 정답을 놓고 싸울 것이 아니라, 질문의 구도 자체를 정치적으로나 인식론적으로 의심하고 해체해야 하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변경사'의 시각에서 고구려사 논쟁을 되짚어보려는 것은 바로 그러한 작업의 일환이다. 고구려사 논쟁에 관한 한 '변경사'는 한국과 중국의 국가권력이 먼 과거를 전유하는 기제로서의 '국사' 패러다임에 대한 훌륭한 학문적 대안이자 정치적 대안인 것이다.
고구려의 역사와 고구려의 옛 사람들을 현대 국민국가의 정치적 전유 구도에서 해방시킨다는 것은 곧 국가권력이 주도하여 의심의 여지도 없이 자명한 것으로 만들어온 '우리'라는 집단적 정체성을 해체하고, 다양한 정체성들이 자유롭게 '해쳐 모여' 할 수 있는 소통적 네트워크를 동아시아에 뿌리내리는 작업인 것이다. -- 본문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