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한국인과 영어

한국인과 영어

(한국인은 왜 영어를 숭배하는가)

강준만 (지은이)
인물과사상사
14,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2,600원 -10% 2,500원
700원
14,400원 >
12,600원 -10% 2,500원
카드할인 10%
1,260원
13,84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19개 3,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9,800원 -10% 490원 8,330원 >

책 이미지

한국인과 영어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한국인과 영어 (한국인은 왜 영어를 숭배하는가)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학 > 사회학 일반
· ISBN : 9788959062546
· 쪽수 : 280쪽
· 출판일 : 2014-04-16

책 소개

한국은 영어 예찬론과 영어 망국론이 공존하는 사회다. 꼭 그런 것은 아니지만 일반적으로 보수주의자들은 영어를 예찬하고 있고 진보주의자들은 영어 망국론을 이야기한다. 둘 사이에 타협은 불가능한가? 그렇지 않다.

목차

머리말 한국인의 영어 전쟁 · 5

제1장 영어는 처음부터 ‘권력’이었다 : 개화기~일제강점기
1816년 최초의 영어 교육 · 17 김대건, 최한기, 개신교 선교사들 · 19 ‘영어 천재’ 윤치호 · 22 1883년 보빙사 미국 파견 · 23 알렌·아펜젤러·언더우드의 입국 > 26 육영공원·배재학당·이화학당 개교 · 28 1888년 주미 한국공관 설립 · 31 영어로 출세한 이하영과 이완용 · 33 배재학당의 영어 교육 · 35 ‘영어의 달인’ 이승만 · 37 출세 도구로서의 영어 · 39 『대한매일신보』의 활약 · 43 이상설의 영어와 이완용의 영어 · 44 ‘삼인칭’의 뜻을 알게 된 양주동의 ‘미칠 듯한 기쁨’ · 46 『동아일보』·『조선일보』의 영문란 설치 · 48 “이제 영어 모르면 패배자됩니다” · 50 사교권 장악 수단으로서의 영어 · 52 진주만 폭격 이후 영어는 복음의 소리 · 53

제2장 영어는 ‘시대정신’이었다 : 해방 정국~1950년대
해방 정국의 공용어가 된 영어 · 59 ‘통역정치’의 전성시대 · 61 영어는 최대의 생존 무기 · 64 ‘사바사바’의 성행 · 66 6·25전쟁과 영어 · 67 ‘샌프란시스코’는 마력적인 상징 · 70 미국 지향성은 시대정신 · 72 AFKN과 YMCA의 활약 · 75

제3장 영어는 ‘선택’이 아닌 ‘필수’였다 : 1960~1980년대
미군과 영어로 통해야 권력을 잡는다 · 79 “조국을 버린 자들”? · 81 수출 전쟁 체제하에서의 영어 · 84 박정희의 ‘문화적 민족주의’ · 87 1970년대의 ‘조기 영어 교육’ 논쟁 · 89 “빠를수록 좋다” VS “주체적 인간” · 90 영어는 ‘선택’이 아닌 ‘필수’ · 92

제4장 세계화 시대에 영어 광풍이 불다 : 1990년대
‘영어 격차’의 소외감 · 99 조기 유학 붐 · 102 〈톰과 제리〉논쟁 · 104 국제화 바람 · 106 어머니 90퍼센트가 찬성한 조기 영어 교육 · 108 세계화 바람 · 111 ‘카투사 고시’와 ‘토익 신드롬’ · 114 ‘바람난 조기 영어 교육’ · 117 “이대 신방과 94학번들이 절반도 안 남은 까닭은” · 119 세계화의 파국적 결과 · 121 복거일의 영어 공용화론 · 123 박노자의 ‘영어 공용화론의 망상’ · 125 기업이 선도한 ‘영어 열풍’ · 126

제5장 “한국에서 영어는 국가적 종교다” : 2000~2002년
“토플과 토익만 잘해도 대학에 갈 수 있다” · 133 “영어 하나만 제대로 배워오면 성공이지요” · 135 “민족주의자들이여! 당신네 자식이 선택하게 하라” · 137 ‘영어 자본-영어 권력 시대’ · 139 영어와 대중문화 · 141 “영어! 영어! 영어!……요람에서 무덤까지 ‘영어 스트레스’” · 144 ‘영어 열풍 이렇게 본다’ · 147 영어 시장은 연간 4~5조 원 규모 · 149 “한국 영어 배우기 국가적 종교방불” · 151 ‘우리에게 영어는 무엇인가’ · 154 토익 산업의 팽창 · 155

제6장 영어, 정치와 유착하다 : 2003~2007년
영어캠프·영어마을 붐 · 149 거리로까지 뛰쳐나간 영어 · 163 ‘대한민국은 그들의 천국인가?’ · 166 ‘영어가 권력이다’ · 169 ‘2006, 대한민국 영어 보고서’ · 171 ‘영어 인증 시험 열풍’ · 173 계속되는 ‘토플 대란’ · 176 ‘영어에 홀린 한국’ · 178 ‘스파르타식 학원 성황’ · 181 ‘영어 사교육 부추기는 빗나간 대선 공약’ · 183

제7장 ‘영어 망국론’이 등장하다 : 2008~2014년
영어로 회의하는 ‘뚱딴지’ 서초구청 · 189 “영어 잘하면 군대 안 간다” · 191 ‘오렌지와 아린지’ 파동 · 194 ‘신해철’인가, ‘박진영’인가 · 196 영어 몰입교육 파동 · 198 ‘영어 망국론’ · 200 “한국에선 영어가 ‘종교’나 다름없죠” · 202 ‘영어에 미친 나라’ · 205 ‘복지 예산 깎아 영어 교육’ · 208 “영어가 입에 붙은‘아륀지 정권’” · 210 “영어에 ‘고문’ 당하는 사회” · 212 ‘토익 계급사회’ · 215 ‘공포 마케팅’과 ‘탐욕 마케팅’ · 218 ‘근본적 개선 방안’이 존재할 수 있는가? · 221

맺는말 영어 광풍에 너그러워지자
근본적 개선 방안은 있을 수 없다! · 225 ‘이웃 효과’와 ‘서열주의’ · 228 ‘영어 광풍’의 기회비용 · 230 “영어 교육, 진보의 콤플렉스를 깨라” · 233 ‘SKY 소수 정예화’는 안 되는가? · 235 진보적 근본주의자들의 보수주의 · 237 삼성 입사 경쟁이 치열해지면 안 되는가? · 239 ‘학벌 공정거래법’은 안 되는가? · 241 학벌주의를 긍정하는 언론의 보도 프레임 · 243 학벌만 좋은 ‘천민 엘리트’ · 246 진정한 경쟁을 위해 · 249

저자소개

강준만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전북대학교 신문방송학과 명예교수로 재직하고 있는 강준만은 탁월한 인물 비평과 정교한 한국학 연구로 우리 사회에 의미 있는 반향을 일으켜온 대한민국 대표 지식인이다. 전공인 커뮤니케이션학을 토대로 정치, 사회, 언론, 역사, 문화 등 분야와 경계를 뛰어넘는 전방위적인 저술 활동을 해왔으며, 사회를 꿰뚫어보는 안목과 통찰을 바탕으로 숱한 의제를 공론화해왔다. 2005년에 제4회 송건호언론상을 수상하고, 2011년에 한국출판마케팅연구소 ‘한국의 저자 300인’, 2014년에 『경향신문』 ‘올해의 저자’에 선정되었다. 저널룩 『인물과사상』(전33권)이 2007년 『한국일보』 ‘우리 시대의 명저 50권’에 선정되었고, 『미국사 산책』(전17권)이 2012년 한국출판인회의 ‘백책백강(百冊百講)’ 도서에 선정되었다. 그동안 쓴 책으로는 『법조공화국』, 『MBC의 흑역사』, 『공감의 비극』, 『정치 무당 김어준』, 『퇴마 정치』, 『정치적 올바름』, 『좀비 정치』, 『발칙한 이준석』, 『단독자 김종인의 명암』, 『부족국가 대한민국』, 『싸가지 없는 정치』, 『권력은 사람의 뇌를 바꾼다』, 『부동산 약탈 국가』, 『쇼핑은 투표보다 중요하다』, 『강남 좌파 2』, 『바벨탑 공화국』, 『오빠가 허락한 페미니즘』, 『손석희 현상』, 『박근혜의 권력 중독』, 『전쟁이 만든 나라, 미국』, 『정치를 종교로 만든 사람들』, 『지방 식민지 독립선언』, 『개천에서 용 나면 안 된다』, 『싸가지 없는 진보』, 『감정 독재』, 『미국은 세계를 어떻게 훔쳤는가』, 『갑과 을의 나라』, 『증오 상업주의』, 『강남 좌파』, 『한국 현대사 산책』(전28권), 『한국 근대사 산책』(전10권), 『미국사 산책』(전17권) 등 300권이 넘는다.
펼치기

책속에서

영어는 고학령층 사이에서는 ‘인정 투쟁’의 주요 도구가 되었다. 1920년대와 1930년대를 풍미하던 모더니즘의 바람을 타고 영어가 자기 과시의 수단으로 자리 잡게 된 것이다. 이른바 ‘모던 보이’와 ‘모던 걸’은 영어나, 일본어를 대화에 곧잘 섞어 사용하면서 시대의 소비와 유행을 이끌었다. 「사교권 장악 수단으로서의 영어」


미군이 새로운 지배자로 등장한 해방 정국에서 가장 강력한 생존 무기는 단연코 영어였다. 영어를 할 수 있는 통역관들이 막강한 권력을 휘두르기 시작했다. 일제시대 때 해외 유학을 했거나 국내에서 고등교육을 받은 사람이 영어를 잘하는 건 당연한 일이었다. 그런데 그런 사람들은 대지주 집안 출신으로 해방 전에는 친일파, 해방 후에는 친미파 노선을 걸었다. 정당으로 보자면 바로 한국민주당(한민당)이 그런 사람들로 구성되었는데, 한민당은 사실상 해방 정국을 지배한 이른바 ‘통역정치’의 주역으로 부상한 것이었다. 「‘통역정치’의 전성시대」


1970년대 내내 수출이 국가 제1의 목표가 되면서 각 회사마다 자체 영어 교육을 실시하는 건 물론 사설 영어 학원들이 학생과 직장인들로 문전성시를 이루었다. 이런 영어 붐을 타고 문교부는 1971년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조기 영어 교육을 실시하겠다고 공청회까지 열었지만 반대가 워낙 심해 철회하고 말았다. 개인적 차원에서는 영어가 생존의 무기였지만, 집단적 차원의 대중 정서는 조기 영어 교육을 용납할 수 없었던 것이다. 그런 민심을 의식한 걸까? 박정희 정권은 영어를 최대의 무기로 삼는 수출 드라이브 정책을 펴면서도, 아니 그렇기 때문에 더욱, 때때로 강력한 ‘문화적 민족주의’를 내세우기도 했다. 박정희 정권은 1970년 한글날을 국경일로 지정했으며, 1975년에 건립한 민족문화의전당을 세종문화회관으로 명명했고, 어린이회관 앞에 세종대왕의 동상을 세웠다. 동시에 한글 전용 정책을 추진했다. 「수출 전쟁 체제하에서의 영어」「박정희의 ‘문화적 민족주의’」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889590634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