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사회문제를 보는 새로운 눈

사회문제를 보는 새로운 눈

(한국사회의 33가지 쟁점)

조희연, 오수길, 김광남, 이창언 (엮은이)
도서출판선인(선인문화사)
2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사회문제를 보는 새로운 눈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사회문제를 보는 새로운 눈 (한국사회의 33가지 쟁점)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학 > 사회학 일반
· ISBN : 9788959336005
· 쪽수 : 502쪽
· 출판일 : 2013-02-28

책 소개

아직 제대로 실행에 옮겨진 적이 없는 사회문제론의 한국적 이론화화 적용이라는 새로운 기획으로 집필했다. 이 책의 또 다른 의미는 한국사회의 33가지 주제를 여러 연구자와 현장 활동가가 참여하여 만든 공동작업의 결과물이라는 점이다.

목차

PART1 사회문제의 이해 15
01. 사회문제의 이해: 사회문제의 성격, 접근, 학문적 관심 17

PART2 사회구조와 사회문제 37
02. 노 동: 21세기 한국사회에서 노동자로 살아남기 39
03. 토 지: 토지정의 실현과 복지재원 조달의 해법, 지대조세제 52
04. 빈 곤: 양극화와 사회안전망 67
05. 교 육: 교육문제의 핵심, 한국의 대학 81
06. 종 교: 한국사회와 종교의 문제 95
07. 농업과 먹을거리: 먹을거리 위기의 대안, 로컬푸드 110
08. 신자유주의와 지구화: 신자유주의적 금융세계화와 지구 위기 121
09. 역사 왜곡과 과거 청산 135
10. 재외동포: 디아스포라와 트랜스내셔널 148

PART3 세대와 사회문제 159
11. 청소년: 청소년 문제를 보는 두 가지 시각 161
12. 청년과 대학생: 청춘의 절망과 분노 175
13. 중 년: 풍요와 갈등의 이중주 188
14. 노 인: 한 세대가 아닌 사회 공동의 문제 201

PART4 차별과 사회문제 213
15. 여 성: 편견과 차별을 넘어 양성평등으로 215
16. 다문화: 이해와 배려를 통한 공존 227
17. 소수자: 배려 VS. 인권 241

PART5 삶의 질과 사회문제 255
18. 환 경: 환경문제와 지속가능발전 257
19. 범죄와 일탈 271
20. 자 살: 사회적 살인 284
21. 스트레스: 침묵의 살인자 297
22. 건강불평등: 의료이용과 의료산업의 불평등 308
23. 소비문화와 여가: 자본의 유혹과 계층분리 321
24. 정보사회의 명과 암 333
25. 식문화: 구제역, 과잉 육식관이 초래한 재앙 348

PART6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실천 : 공생공락 359
◆신뢰와 민주주의
26. 정치사회와 신뢰: 시민과의 약속, 매니페스토 361
27. 시민사회와 신뢰 377
28. 민주주의와 사회운동 391

◆◆지역에서 희망 찾기
29. 지방자치: 야누스의 두 얼굴 410
30. 의료생협: 제3의 의료대안, 인간주의 의료 423
31. 도시농업: 생명과 환경을 위한 선택 435
32. 지역화폐: 지역화폐 운동의 성과와 한계 447
33. 대안 에너지: 탈핵과 마을의 대안 에너지 462

저자소개

조희연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특별시교육감. 전북 정읍 출생. 전주 북중학교와 서울 중앙고를 거쳐, 서울대 사회학과를 졸업하고 연세대 사회학과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미국 남가주대(USC)에서 한국학 객원교수와 일본 케이센대, 대만 국립교통대, 영국 랑카스터대,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대(UBC)에서 교환교수를 지냈고 비판사회학회장, 학술단체협의회 공동대표 등을 역임했다. 성공회대 사회과학부 교수이자 민주주의연구소장, 시민사회복지대학원장을 지냈으며 제20·21대 서울특별시교육감이다. 주요 저서로는 『계급과 빈곤』, 『현대 한국 사회운동과 조직』, 『한국의 민주주의와 사회운동』, 『한국의 국가·민주주의·정치변동』, 『비정상성에 대한 저항에서 정상성에 대한 저항으로』, 『지구화 시대의 국가와 탈국가』 등이 있다. 민주화운동, 시민운동, 교수운동, 학술운동의 경험을 종합하여 한국정치와 사회운동의 역동적 상호관계를 다룬 『투트랙민주주의: 제도정치와 운동정치의 병행 접근(전 2권)』을 출간한 바 있다. 교육 관련 저서로는, 『병든 사회, 아픈 교육』, 『태어난 집은 달라도 배우는 교육은 같아야 한다』, 『일등주의교육 넘어』, 『교육감의 페이스북: 특별하지 않은 꽃은 없다』 등이 있다.
펼치기
오수길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성균관대학교에서 행정학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현재 고려사이버대학교 정보관리보안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관심 분야는 지속가능발전, 거버넌스,행정철학 등이며, 한국NGO학회 회장, 한국지속가능발전학회 부회장, 전국지속가능발전협의회 정책위원장, 한국환경민간단체진흥회 이사장, SDSN Korea 사무총장 등으로 활동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지역정책 ESG 전략』(2024, 공저), 『공공부문 ESG전략』(2024, 공저), 『에코뮤지엄』(2022, 공저), 『환경행정학』(2020, 공저), 『환경사회학』(2015, 공저) 등이 있다(soogiloh@cuk.edu).
펼치기
김광남 (엮은이)    정보 더보기
중앙대학교 대학원 지역개발학과에서 도시 및 지역계획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서울시립대ㆍ중앙대ㆍ청주대ㆍ협성대학교 등에서 지방자치론, 지역개발론, 도시행정론 등을 강의했다. 현재 성결대학교 행정학부 겸임교수로 기획론, 조사방법론을 강의하고 있다. 안양시의회 전문위원, 인천 서구청 정책기획단 가급 전문위원을 거쳤고 전라남도, 인천 서구, 광명시, 안양시, 화성시, 음성군 등에서 자문위원을 지냈다. 1990년대부터 서울신문, 경기일보, 경인일보, 오마이뉴스에 지방자치와 지역개발에 관한 칼럼을 썼으며 경기신문 논설위원을 지냈다. ABC방송 시사토론 프로그램 [열린광장]을 진행했고 월간 '도시문제'에 수년간 도시행정과 지방자치에 관한 칼럼을 연재했다. 현재 공공정책연구소 SNP 대표로 있으면서 공공부문 정책개발과 평가, 커뮤니티, 농촌경관 등에 관한 연구와 컨설팅을 하고 있다.
펼치기
이창언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대학원에서 사회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고려대학교, 연세대학교, 성공회대학교 연구교수를 역임하며 사회운동, 지속가능발전과 협치, 도시 지속가능성을 연구했다. 한국방송통신대에서 ‘배우고 가르치는 이’로 근무하다가 사직하고 중국 남경대학(南京大學)에서 SDGs 한·중·일 비교 연구를 수행했다. 2021년부터 신경주대학교 대학원 SDGs·ESG 경영학과와 학부 ESG 경영학과 교수(학과장)로 재직했고, 신경주대 SDGs·ESG 연구원장을 맡고 있다. 관심 분야는 도시와 대학 SDGs, ESG 경영, 거버넌스(협치·협동), 지방상생이다. 대통령 직속 국가균형발전위원회 평가 자문위원으로 활동했고 현재는 한국NGO학회 편집위원장, 한국지속가능발전학회 편집위원장, 전국지속가능발전협의회 정책위원, SDSN Korea 집행위원, 한국지속가능캠퍼스협회 이사로 활동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시민과의 약속 매니페스토』(공저, 이학사, 2011. 한국간행물윤리위원회 우수저작 선정), 『갈등을 넘어 협력사회로: 로컬거버넌스시대의 지방의제21과 지속가능한 지역공동체』(공저, 살림터, 2014. 한국연구재단 우수저작 지원 선정), 『열린사회와 21세기: 마을에서 희망을 찾다』(공저,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2015), 『함께 만드는 마을, 함께 누리는 삶: 한국형 마을 만들기의 역사·이론·실제』(공저, 지식의 날개, 2015), 『옛길이 들려주는 이야기 (삶과 문화의 현장을 찾아서)』(공저, 지식의 날개, 2017. 세종도서 교양부문 선정), 『시민행동지수로 본 한국시민사회역량』(공저, 유나기획, 2020), 『한국인의 에너지, 실용주의: 현세주의에서 실리주의로』(피어나, 2020.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 총서 사업 지원 도서), 『역동적 한국인의 탄생: 한국인의 5가지 에너지를 분석한다』(공저, 피어나, 2020.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 총서 사업 지원 도서), 『역동적 한국인의 미래: 개인과 존중의 시대를 향해 』(공저, 피어나, 2022.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 총서 사업 지원 도서), 『SDGs 교과서』(선인, 2022), 『SDGs 다가서기』(공저, 선인, 2023),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예술과 예술교육』(공저, 한국예술연구소, 2024) 등이 있고 『지속가능성의 도전』(공역, 도요새, 2013. 환경부 우수환경도서 선정) 등의 번역서가 있다. 최근 4년 간 「SDGs 현지화를 위한 자발적 지역 검토(VLR) 프로세스 연구」, 「중국의 ESG 연구 및 정책 동향 분석」 등 20여 편의 SDGs?ESG 논문을 등재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