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한국전쟁은 어떻게 기억되는가

한국전쟁은 어떻게 기억되는가

(경험, 기억, 포스트기억 사이에서)

김려실, 김성화, 김주옥, 김지영, 남상욱, 대니얼 김, 쑨하이롱, 이시성, 이희원, 장세진, 장수희 (지은이), PNU냉전문화연구팀 (기획)
소명출판
33,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9,700원 -10% 0원
1,650원
28,0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한국전쟁은 어떻게 기억되는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한국전쟁은 어떻게 기억되는가 (경험, 기억, 포스트기억 사이에서)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문학의 이해 > 한국문학론 > 한국소설론
· ISBN : 9791159058134
· 쪽수 : 412쪽
· 출판일 : 2023-07-20

책 소개

공간적으로 한국·중국·일본·미국이 경험한 서로 다른 한국전쟁과 그 전후를, 시간적으로 전쟁 세대·전후 세대·포스트 세대의 한국전쟁 기억 및 기념의 변화를 추적했다. 각 장의 필자들은 경험·기억·포스트기억을 핵심어로 한국전쟁에 관한 다양한 문학·문화적 표상을 정교하게 살펴봤다.

목차

책머리에

제1부
한국전쟁의 경험과 경계인의 삶
제1장/‘사라진’ 김사량과 남겨진 종군기 | 김성화
제2장/한국전쟁에 대한 또 하나의 기억-김달수의 「손영감」을 중심으로 | 이시성
제3장/ 제국의 신민에서 난민으로, 일본인 아내들의 한국전쟁-1950년대 장혁주의 일본어 소설을 중심으로 | 장세진
제4장/ 한국전쟁기 한·일 민간인의 신체 혹은 시체 다나카 고미마사의 「상륙」과 곽학송의 『자유의 궤도』를 중심으로 | 이희원

제2부
한국전쟁의 기억과 망각
제5장/ ‘조선전쟁’의 기억과 망각-사키 류조의 「기적의 시」1967를 중심으로 | 김려실
제6장/ 한국전쟁을 둘러싼 일본의 평화와 망각의 구조-노로 구니노부의 「벽화」를 중심으로 | 장수희
제7장/ 일본 SF장르에 나타난 냉전 (무)의식과 분단의 상상력 - 고마쓰 사쿄小松左京의 『일본 아파치족日本アパッチ族』을 중심으로 | 김지영
제8장/ ‘독특한 사랑의 형태’-기독교, 민족주의 그리고 김은국의 『순교자』 | 대니얼 김

제3부
한국전쟁의 포스트기억
제9장/ 전후 일본문학 속의 주일 미군기지 표상과 한국전쟁 | 남상욱
제10장/ 한·중 학계의 항미원조抗美援朝문학 연구 현황 및 제언 | 쑨하이롱
제11장/ 한국 속의 남부연합 - 수잔 최의 『외국인 학생』에서 ‘남부연합의 딸들’을 아카이빙하기 | 김주옥

참고문헌
찾아보기
필자 소개

저자소개

남상욱 (옮긴이)    정보 더보기
인천대학교 일본지역문화학과 교수 1972년생. 도쿄대학 총합문화연구과 박사 취득. 현재 인천대학교 일본지역문화학과 부교수. 전공은 비교문학비교문화·일본근현대문학·표상문화론. 단독 저서로는 『미시마 유키오의 ‘미국’(三島由紀夫における「アメリカ」)』(彩流社, 2014)이 있고, 공저로는 『시코쿠에서 일본을 읽다』(yeondoo, 2023), 『‘경계’에서 본 재난의 경험』(역락, 2023) ,『전후의 탈각과 민주주의 탈주』(박문사, 2020) 등이 있다. 역서로는 『헌등사』(자음과모음, 2018), 『미시마 유키오의 문화방위론』(자음과모음, 2014) 등이 있다.
펼치기
김려실 (지은이)    정보 더보기
부산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서 학사, 석사학위를, 일본 교토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교토대학 인문학연구소, 호주 UNSW 한국연구소(KRI), 미국 UC 샌디에이고(UCSD) 역사학부에서 방문학자로 연구했다. 부산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서 ‘문학과 매체연구’, ‘대중서사론’, ‘영상문학의 이해’, ‘시나리오론’, ‘문학과 영상예술’, ‘동아시아평화인문학’, ‘동아시아평화문화론’ 등을 가르치고 있다. 동아시아 냉전문화에 관한 대표 연구 업적으로는 저서 『문화냉전-미국의 공보선전과 주한미공보원 영화』(현실문화연구, 2019), 공저 『사상계, 냉전 근대 한국의 지식장』(역락, 2020), 역서 『문화냉전과 아시아-냉전연구를 탈중심화하기』(소명출판, 2012), 『냉전의 폐허-미국의 정의와 일본의 전쟁범죄에 대한 태평양횡단 비평』(부산대 출판부, 2023) 등이 있다. 동아시아의 전쟁과 영화 미디어의 관계를 비판적으로 연구한 저서로 『일본 영화와 내셔널리즘』(책세상, 2005), 『투사하는 제국 투영하는 식민지』(삼인, 2006), 『만주영화협회와 조선영화』(한국영상자료원, 2011) 등이 있다.
펼치기
장세진 (옮긴이)    정보 더보기
한림대학교 한림과학원 교수. 연세대학교 국문과 대학원에서 공부했다. 1945년 이후 미국이 개입해서 형성된 동아시아의 냉전 문화에 관해 논문과 책을 써왔다. 저서로는 『상상된 아메리카』(푸른역사, 2012), 『슬픈 아시아』(푸른역사, 2012), 『숨겨진 미래-탈냉전 상상의 계보 1945~1972』(푸른역사, 2019), 역서로는 『냉전문화론-1945년 이후 일본의 영화와 문학은 냉전을 어떻게 기억하는가』(너머북스, 2010) 등이 있다.
펼치기
장수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동아대학교 한국어문학과를 졸업하고(「일본군‘위안부’ 서사자료 연구」) 일본국제교류기금 전문일본어 연수(문화·예술전문가)를 수료하였다. 현재 동아대학교 비정규 교수이다. 참여한 책으로는 『부산지역 일본군‘위안부’운동 역사자료집』(공저), 『소녀들』, 『1980년대를 읽다』, 『유토피아라는 물음』 등이 있고, 번역한 글로는 「오키나와전의 희생자를 둘러싼 공감공고(共感共苦, compassion)의 경계선」, 「‘위안부’, 그리고 중국 항전문학」, 「대학 비정규직의 ‘제노사이드’를 눈앞에 두고」, 「오키나와현 평화기념자료관 전시 조작 사건 재고-공범화 개념으로 보는 식민지주의와 섹슈얼리티」, 「포드 1927년(フォード·1927年)」, 「퀴어가 여기 살고 있다」, 「우리의 대학은 스트라이크와 함께」 등이 있다.
펼치기
이시성 (지은이)    정보 더보기
부산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서 박사과정을 수료하고 현재 박사논문을 준비하고 있다. 논문으로는 「4·19 소설의 주체 구성과 젠더 양상」(석사논문), 「혁명의 거리, 정동하는 신체들-4월혁명 재현 서사를 중심으로」(한국문예비평연구, 2021) 등이 있고, 공저로는 『사상계, 냉전 근대 한국의 지식장』(역락, 2020), 『문학과 영상예술의 이해』(부산대 출판부, 2021), 『교차하는 페미니즘』(보고사, 2023)가 있다. 해방 이후부터 이어진 냉전기의 한국 문학과 문화에 관심을 이어가며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펼치기
이희원 (옮긴이)    정보 더보기
부산대학교 교양교육원 강사. 부산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서 학사, 석사를 마치고 2018년에 동대학원에서 박사를 마쳤다. 박사논문은 『일제 말기 소설의 공간-주체 연구』이다. 이후로 식민지 말기에서 해방기와 한국전쟁기로 이어지는 시기의 문학을 동아시아 맥락에서 살펴보는 연구를 지속하고 있다. 주요 연구성과로 「장혁주 소설의 한국전쟁 형상화 논리 연구-「眼」을 중심으로」(『한국문예비평연구』 73, 2022), 「한국전쟁의 민간인 표상 비교 연구-다나카 고미마사의 「上陸」과 곽학송의 『철로』를 중심으로」(『비교문화연구』 62, 2021), 「일제 말기 김사량 소설의 공간 형상화 전략 연구」(『한국민족문화』 77, 2020), 「1960년대 냉전기 소년SF괴수영화의 괴수 표상 연구」(『한국문학논총』 83, 2019)가 있다. 그밖에 근대 초 딱지본 소설을 현대어로 풀어쓴 『비행녀사』(두두, 2021), 공저 『동아시아의 어제와 오늘』(부산대 출판문화원, 2021) 등이 있다.
펼치기
김지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숙명여자대학교 인문학연구소 HK교수. 일본 근현대 문학, 비교 문학 전공. 일본 전후 문학과 GHQ 점령 및 문화 냉전을 고찰해 왔으며, 현재는 일본의 혐오 현상을 중심 주제로 연구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日本文學の<戰後>と變奏される<アメリカ>―占領から文化冷戰の時代へ』(2019), 『한국전쟁은 어떻게 기억되는가: 경험, 기억, 포스트기억 사이에서』(공저, 2023), 『동북아 냉전 체제의 고착과 문화적 재현』(공저, 2022), 『냉전 아시아와 오키나와라는 물음』(공저, 2022), 『反米―共生の代償か, 鬪爭の胎動か』(공저, 2021), Multiple Translation Communities in Contemporary Japan(공저, 2015) 등이 있다.
펼치기
김성화 (지은이)    정보 더보기
中國 南通大學校 전임강사. 중국 베이징 중앙민족대학교를 졸업한 후 중국사회과학원(CASS) 민족문학연구소에서 박계주의 이민소설 연구로 석사학위를 받았고 2022년 『김사량 ‘연안행(延安行)’ 연구』로 부산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발표논문으로는 「「서화」-‘부글거리는 자들’의 일상과 힘의 정치학」(『우리문학연구』, 2018), 「‘연안(延安)’으로 본 김사량의 『노마만리』 연구」(『한국문학논총』, 2020) 등이 있으며 2022년에는 한국학중앙연구원의 해외한국학 학술 연구 지원을 받아 김사량에 대한 연구를 계속하고 있다.
펼치기
김주옥 (지은이)    정보 더보기
시카고 일리노이대학교에서 영문학으로 석사학위를, UC 샌디에이고(UCSD)에서 박사학위를 받았고 캔자스대학교에서 라틴계 미국인 연구 및 미국학을 가르쳤다. 현재 UCSD 문학부의 문화연구 및 문학 전공 부교수로 아시아계 미국인 문학, 미국 다인종 문학, 태평양횡단 비평을 가르치고 있다. 『아시아계 미국학 저널(the Journal of Asian American Studies)』, 『학술잡지 사우스(south : a scholarly journal)』, 『경계-글로벌 아시아 연구(Verge : Studies in Global Asias)』, 『미국 다민족 문학(MELUS : Multi-Ethnic Literature of the United States)』, 『만화학 키워드(Keywords for Comics Studies)』, 『미국학(American Studies)』에 여러 논문을 발표했고 학술지 공동편집을 했다. 저서로는 『싸우는 계보들-인종, 친족 관계, 한국전쟁(Warring Genealogies : Race, Kinship, and the Korean War)』이 있다.
펼치기
대니얼 김 (지은이)    정보 더보기
브라운대학교에서 미국학 및 영어 교수로 아시아계 미국문학, 미국문학과 인종 및 민족연구(Ethnic Studies)를 가르치고 있다. 미시간대학교 인문학 연구소에서 노먼 프렐링(Norman Freehling) 방문 교수로, 예일대학교에서 미국학 연구 방문 조교수로 있었다. UC 버클리에서 박사학위를, 미시간대학교에서 학사 학위를 취득했다. 저서로는 The Intimacies of Conflict : Cultural Memory and the Korean War(NYU Press, 2020)와 Writing Manhood in Black and Yellow : Ralph Ellison, Frank Chin, and the Literary Politics of Identity(Stanford University Press, 2006)가 있고, 공저로는 크리스탈 파리크(Crystal Parikh)와 공동편집한 The Cambridge Companion to Asian American Literature(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5)가 있다. 이외에 American Literary History, American Quarterly, Criticism, Cross-Currents, Journal of Asian American Studies, Novel, position을 비롯한 여러 저널에 논문을 게재했다.
펼치기
쑨하이롱 (지은이)    정보 더보기
2008년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학과에서 석사논문을 받았으며, 2012년 동 대학원에서 박사학위 논문을 취득했다. 2012년 4월부터 2015년 10월까지 중국 절강대학교 한국연구소에서 박사후연구원으로 지냈으며, 현재 중국 항주사범대학교 외국어대학 한국어학과 부교수로 재직 중이다. 저서로는 『1950년대 항미원조문학을 통해 본 중국의 한반도 인식』(신성출판사, 2015), 『朝鮮壬辰戰爭時期浙兵援朝及其文學書寫研究』(新星出版社,2021) 등이 있다.
펼치기
PNU냉전문화연구팀 (기획)    정보 더보기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