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중석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48년 충남 논산에서 출생했다. 서울대학교 국사학과를 졸업하고, 연세대학교 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1979~1988년까지 『동아일보』 기자로 재직하며 농촌·노동문제 및 민주화운동을 취재했다. 특히 6월항쟁 당시 『신동아』 취재기자로 역사적 현장에서 그날의 사건들을 생생히 목격하고 기록했다. 현재 성균관대학교 사학과 명예교수이며, 역사문제연구소 이사장, 제주4·3사건진상규명및희생자명예회복위원회 위원 등을 역임했다.
주요 저서로 『80년대 민중의 삶과 투쟁』, 『한국 근현대 민족문제 연구』, 『한국 현대 민족운동 연구』 1·2, 『조봉암과 1950년대』 상·하, 『남·북협상―김규식의 길, 김구의 길』, 『비극의 현대 지도자』(일본어역), 『배반당한 한국 민족주의』(영역), 『이승만의 정치이데올로기』, 『한국 현대사 60년』(영어·일본어·중국어·프랑스어·독일어·스페인어로 번역), 『이승만과 제1공화국』, 『대한민국 선거이야기』, 『지배자의 국가 민중의 나라』, 『6월항쟁』, 『사진과 그림으로 보는 한국현대사』, 『서중석의 현대사 이야기』(전20권), 『민족주의와 역사교육』(정현백 공저), 『전환기 현대사의 역사상』 등이 있다.
펼치기
김득중 (엮은이)
정보 더보기
국사편찬위원회 편사연구사, 한국현대사 전공,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사학과 문학박사. 저서로는 <‘빨갱이’의 탄생-여순사건과 이승만 반공국가의 형성>(선인, 2009), 공저로는 <탈냉전과 한국의 민주주의>(선인, 2011), <전쟁 속의 또 다른 전쟁>(선인, 2011), 발표 논문으로는 「한국전쟁 전후 육군 방첩대(CIC)의 조직과 활동」, 「민간인학살 진상규명의 법-역사적 접근: ‘국방경비법’을 중심으로」, 「부역자 처벌의 논리와 법의 외부」 등이 있다.
펼치기
이임하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재 성공회대학교 동아시아연구소 연구 교수다. 한국 전쟁에 관심을 갖고 공부하고 있으며 언제나 여성들의 이야기와 역사를 고민하고 있다. 쓴 책으로는 『미래는 우리의 것이다』, 『전염병 전쟁』, 『조선의 페미니스트』, 『이임하의 여성사 특강』, 『10대와 통하는 선거로 읽는 한국 현대사』, 『10대와 통하는 문화로 읽는 한국 현대사』, 『10대와 통하는 한국 전쟁 이야기』, 『해방공간, 일상을 바꾼 여성들의 역사』, 『적을 삐라로 묻어라』, 『전쟁미망인, 한국현대사의 침묵을 깨다』, 『계집은 어떻게 여성이 되었나』, 『여성, 전쟁을 넘어 일어서다』, 『한국 여성사 편지』가 있으며, 『동아시아와 근대, 여성의 발견』, 『일상사로 보는 한국근현대사』, 『1970년대 민중운동 연구』, 『왜 80이 20에게 지배당하는가?』, 『20세기 여성, 전통과 근대의 교차로에 서다』, 『죽엄으로써 나라를 지키자』, 『전쟁의 기억 냉전의 구술』, 『동아시아의 전쟁과 사회』, 『전장과 사람들』, 『전쟁 속의 또 다른 전쟁』 등의 집필에 참여했다.
펼치기
양정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제주 출신으로 성균관대 사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석.박사 학위를 받았다. 성균관대, 대진대, 배재대, 교원대 등에서 강의했고, 현재 이화여재 이화사학연구소에서 박사 후 연구원으로 있다.
주요 논문으로는 「주도세력을 통해서 본 제주4.3항쟁의 배경」 「제주4.3특별법과 양민학살 담론, 그것을 뛰어넘어」 「제주4.3항쟁의 기억투쟁」 「미군정.이승만 정권의 제주4.3항쟁에 대한 인식」 「제주4.3항쟁과 레드콤플렉스」등이 있다.
펼치기
강성현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성대학교 강사
공저 '전쟁 속의 또 다른 전쟁'
펼치기
김학재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HK조교수(2016~24년), 한국사회사학회 학술위원이다. 주요 관심 분야는 통일과 평화 여론조사, 독일 통일, 국가별 사회경제적 특성을 비교하는 역사 사회학적 분석이다. 저서로 『판문점 체제의 기원』, 『평화의 여러 가지 얼굴』(공저), 『MZ세대의 통일의식』(공저) 등이 있다.
펼치기
연정은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동양미래대학 강사
공저 '전쟁 속의 또 다른 전쟁'
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