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헨리 민츠버그 전략 사파리

헨리 민츠버그 전략 사파리

(경영의 정글을 관통하는 경영전략 바이블)

헨리 민츠버그, 브루스 알스트랜드, 조셉 램펠 (지은이), 윤규상, 이동현 (옮긴이)
비즈니스맵
3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9개 43,5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헨리 민츠버그 전략 사파리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헨리 민츠버그 전략 사파리 (경영의 정글을 관통하는 경영전략 바이블)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기업 경영 > 경영전략/혁신
· ISBN : 9788962604528
· 쪽수 : 548쪽
· 출판일 : 2012-06-08

책 소개

전략은 비즈니스에서 가장 명성이 높으면서도 가장 혼란스러운 분야다. 경영자들은 복잡한 전략 문제를 단번에 해결해주겠다고 약속하는 새로운 용어들과 최신 유행에 끊임없이 시달리고 있다. 시장, 소비자, 기업 등 다양한 부문에서 이루어지는 전략의 세계는 마치 헤어 나오기 힘든 정글처럼 여겨진다. 이 책은 현실적으로 전략 경영을 알아야 함에도 불구하고 회사와 현실에 맞는 지침을 찾을 수 없었던 경영자들의 딜레마를 분석하고, 가장 먼저 무엇을 해야 하는지를 알려준다.

목차

감수의 글
출항

Chapter 01 전략경영이라는 이름의 코끼리
10이라는 숫자의 의미
전략경영 관련 문헌에 대하여
전략의 5가지 P
전략의 좋은 점과 나쁜 점
교실에서의 전략경영

Chapter 02 디자인학파: 개념화 프로세스로서의 전략 수립
디자인학파의 기원
디자인학파의 기본 모델
디자인학파의 전제
디자인학파에 대한 비판
디자인학파의 적용과 공헌

Chapter 03 플래닝학파: 공식 프로세스로서의 전략 수립
기본적인 전략 플래닝 모델
조직 위계의 구분
플래닝학파의 전제
최근의 발전 양상
예기치 못한 난제
전략 플래닝의 오류
플래닝학파의 적용

Chapter 04 포지셔닝학파: 분석적 프로세스로서의 전략 수립
마이클 포터의 등장
포지셔닝학파의 전제
제1의 물결: 군사적 격언들의 기원
제2의 물결: 컨설팅 명령을 내리기 위한 탐구
제3의 물결: 실증 명제들의 발전
포지셔닝학파에 대한 비판
포지셔닝학파의 공헌과 수정

Chapter 05 기업가학파: 비전 수립 프로세스로서의 전략 수립
경제학에서의 기원
기업가학파의 문헌들
비전을 갖춘 리더십
기업가학파의 전제
기업가학파의 한계와 공헌

Chapter 06 인지학파: 정신 프로세스로서의 전략 수립
정신적 혼동으로서의 인지
정보처리로서의 인지
지도 만들기로서의 인지
개념 획득으로서의 인지
구성으로서의 인지
인지학파의 전제
인지학파의 잠재성과 한계

Chapter 07 학습학파: 창발적 프로세스로서의 전략 수립
형성 vs 수립
학습 모델의 등장
학습학파의 새로운 전개 방향
조직학습에서 학습조직으로
학습학파에 대한 비판
학습학파의 공헌

Chapter 08 권력학파: 협상 프로세스로서의 전략 수립
미시 권력
상층부 이론: 최고위층에서의 전략경영
거시 권력
권력학파의 전제와 적용

Chapter 09 문화학파: 집단 프로세스로서의 전략 수립
문화의 성격
문화학파의 전제
문화와 전략
문화학파의 스웨덴 진영
경쟁우위 기반으로서의 자원
문화학파의 한계와 공헌

Chapter 10 환경학파: 반응 프로세스로서의 전략 수립
환경학파의 전제
상황 관점
집단생태학 관점
제도에 의한 순응 압력
환경학파의 한계와 공헌

Chapter 11 구성학파: 변신 프로세스로서의 전략 수립
구성과 변신
분할파와 병합파
구성학파의 전제
구성학파의 연구 작업
조직의 변신
구성학파의 한계와 공헌

Chapter 12 전략 사파리: 당신은 무엇을 보았는가?
각 학파의 요약
전략경영이라는 야생 짐승 길들이기
꼬리가 아닌 전체를 보기 위해
전략경영을 사냥하라

감사의 글
주석
참고 문헌

저자소개

헨리 민츠버그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이 시대 최고의 경영사상가. 캐나다 맥길대학교 경영학과 교수로 50년 동안 재직 중이다. 경영자, 기업 조직, 전략 경영, 경영 교육 등 경영의 다양한 주제를 탐구해왔고, 20여 권의 저서와 150여 편의 논문을 발표했다. 월스트리트 저널이 뽑은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경영 사상가 20인 중 9위에 선정되었고, 미국 경영학회에서 최고 연구자상을 받은 바 있다. 기존의 주류 경영학계의 주장을 반박하고 경영자들에게 완전히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여 경영학의 파괴적 선구자로 불린다. 헨리 민츠버그의 다른 저서들 Management: It’s not what you think Managing Tracking Strategies The Flying Circus Strategy Bites Back Managers not MBAs The Strategy Process Managing Publicly Strategy Safari The Canadian Condition The Rise and Fall of Strategic Planning Mintzberg on Management Structure in Fives Power In and Around Organizations The Structuring of Organizations The Nature of Managerial Work
펼치기
브루스 알스트랜드 (지은이)    정보 더보기
옥스퍼드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런던정경대학에서 석사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캐나다 온타리오에 있는 트렌트대학에서 경영학 교수로 재직 중이다. 포커게임에서 그리스 비극에 이르기까지 예상치 못한 곳에서 경영전략의 보석을 발견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지은 책으로는 《생산성 탐구(The Quest for Productivity)》가 있다.
펼치기
조셉 램펠 (지은이)    정보 더보기
런던의 시티대학 카스경영대학원에서 전략학 교수로 재직 중이며 동 대학의 영화·미디어·오락산업연구소 소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 《문화 비즈니스: 오락과 미디어 산업의 전략적 전망(The Business of Culture: Strategic Perspective on Entertainment and Media)》(공저)가 있다.
펼치기
윤규상 (옮긴이)    정보 더보기
옮긴 책으로 『소로의 일기: 소로의 세계를 여행하는 법』, 『소로의 일기: 자연의 기쁨을 삶에 들이는 법』, 『소로우의 강』, 『헨리 데이빗 소로우』, 『소로우의 일기』 등 30여 권이 있다. 한국외대 영어과를 졸업하고, 현재 소로의 서적들을 우리말로 옮기는 데 애쓰고 있다.
펼치기
이동현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경영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석사 및 박사 학위를 받았다. 가톨릭대학교 기획부처장, 『전략경영연구』 편집위원장을 역임했고, 현재 가톨릭대학교 경영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다. 대표적인 저서로 『MBA 명강의』, 『경영의 교양을 읽는다』, 『깨달음이 있는 경영』, 『경영은 전략이다』 등이 있으며, 옮긴 책으로는 『관심의 경제학』, 『잭 웰치: 끝없는 도전과 용기』, 『문화가 성과다』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하트(Hart)가 강조하듯이 “높은 성과를 내는 기업은 전략 만들기에서 서로 충돌하는 준거 틀을 혼합할 능력을 갖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그들은 계획적이면서도 점진적이고, 지시하면서도 참여를 이끌어내고, 통제하면서도 권한을 부여하고, 비전을 추구하면서도 세부 사항에 주의를 기울인다.” 또는 스콧 피츠제럴드가 좀 더 솔직하게 이야기했듯이 “마음속으로 상반되는 두 아이디어를 함께 붙잡고 있으면서 여전히 제 역할을 할 능력을 갖고 있는 사람이 바로 일급 지성인이다.” 물론 전략가로서 제 역할을 하려면 그런 상반되는 견해들을 단순히 붙잡고만 있어서는 안 된다. 스펜서의 지적대로 종합할 수 있어야 한다. 우리는 독자들에게 이 10가지 견해를 모두 붙잡으라고 권하고 싶다.


기업가정신에서는 전략 및 운영에 관한 모든 중요한 결정이 최고경영자의 사무실로 집중된다. 이런 집중화로 인해 충분한 운영 지식이 투영된 전략 대응을 할 수 있다. 이것은 또한 유연성과 적응성을 북돋운다. 즉, 한 사람만 이니셔티브를 쥐고 있으면 대처가 가능하다. 반면 최고경영자가 전략적 고려 사항조차 놓칠 만큼 현장 운영의 세목에 너무 깊이 빠져들 수도 있다. 또는 리더가 근거 없는 어떤 비전에 빠져들어 구름 속을 헤맬지도 모른다. 일상적인 운영일수록 주의를 기울이지 않아 일상 활동이 쇠퇴하다가 조직 전체가 무너질 수 있다.


베이트슨은 1955년에 발표한 《놀이와 공상 이론(A Theory of Play and Fantasy)》에서 동물이든 인간이든 이 수수께끼에 대한 해답은 그 스스로 프레임이라 부른 틀의 보편성에 있다고 말했다. 예를 들어 원숭이들은 ‘이것은 놀이다’라는 프레임이 있기에 놀이가 아닌 몸짓과 놀이의 몸짓을 구별한다. 원숭이들은 놀이 동의서를 놓고 협상을 벌이지 않는다. 그들의 사회적 삶이 놀이 프레임을 가르쳤을 뿐이다. 더 복잡하고, 각기 다른 수준의 해석을 지닌 굉장히 많은 프레임을 갖고 있다는 점을 제외하면 인간에게도 동일한 원칙이 적용된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