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큰글자책] <오징어게임>과 라캉의 욕망이론](/img_thumb2/9788964479100.jpg)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서양철학 > 현대철학 > 현대철학 일반
· ISBN : 9788964479100
· 쪽수 : 446쪽
· 출판일 : 2023-06-30
책 소개
목차
머리말
모둠글
초장 | <오징어게임>, 그 게임의 종류는 몇 개인가?
0.1 _ 게임의 구조와 그 대칭 구조
0.2 _ 게임의 중층 구조에 대한 분해와 설명
0.3 _ <오징어게임>은 유한 게임이냐, 무한 게임이냐?
0.4 _ <오징어게임>의 사회적 배경과 메타버스
1장 | <오징어게임>의 논리적 배경과 로고
1.1 _ <오징어게임>의 논리적 배경
순서수의 역설: 001번 오일남과 456번 성기훈
샨디의 역설과 오일남의 역설
1만 원과 456억 원: ‘실무한’과 ‘가무한’
1.2 _ 그들을 다 살릴 수도 있었을 논리는?
‘안다는 것을 알지 못하는’(Unknown Known)
<올드보이>와 <오징어게임>
‘죄수의 딜레마’와 <오징어게임>
2장 | <오징어게임>로고 ‘원방각’과 우리 문화
2.1 _ <오징어게임>과 원방각
게임 안에서 원방각이 갖는 의의
백포 서일의 원방각 해설
원방각의 갈등과 조화: 삼묘도와 구변도
2.2 _ 위상학과 원방각
삼묘도 프랙털과 원방각
원방각에 대한 위상수학적 고찰
3장 | 한복과 한옥 속의 원방각
3.1 _ 한복 속의 원방각
한복 바지와 원방각
한복 ‘저고리’와 원방각
중국 옷과 한복의 비교
3.2 _ 한옥 속의 원방각
돔과 고딕 그리고 원방각
한옥 지붕과 원방각
<오징어게임> 사회는 신피질 비대증 환자의 사회
4장 | 대각선논법과 멱집합으로 본 깍두기론
4.1 _ 대각선논법과 멱집합으로 본 깍두기론
유리수와 자연수의 깐부론
대각선논법과 역易: 깐부와 깍두기론
4.2 _ 윷놀이와 멱집합으로 본 깍두기론
윷놀이로 본 깍두기론
역과 칸토어의 멱집합
알랭 바디우의 집합론으로 본 <오징어게임>
5장 | 라캉 정신분석학으로 본 <오징어게임>
5.1 _ 인상파, 에셔, 마그리트, 피카소와 <오징어게임>
인상파, 에셔, 피카소 그리고 <오징어게임>
에셔와 마그리트 그리고<오징어게임>
마그리트와 푸코 그리고<오징어게임>
언어 속의 욕망으로 본 노자와 라캉
5.2 _ 라캉의 욕망이론과 <오징어게임>
오징어놀이 ‘놀이판’과 에셔의 판화
오징어놀이 ‘놀이판’과 프랙털
오징어놀이 놀이 규칙과 욕망의 그래프
5.3 _ 욕망의 그래프와 ‘오징어놀이’ 놀이판
무씨사당 벽화와 3세계
대상 a와 무의식의 주체
라캉 욕망의 그래프와 멱집합도
욕망의 그래프와 멱집합도
L도식, 놀이판 그리고 욕망의 그래프
암행어사와 욕망의 그래프
위상학으로 가는 길: L도식과 R도식
6장 | ‘물 한잔’과 피타고라스 콤마 그리고 대상a
6.1 _ 욕구, 요구, 욕망: “네가 원하는 것은 무엇인가?”(Che Vuoi?)
네가 원하는 것은 무엇인가?
‘환상의 공식’과 ‘욕동의 공식’
욕동의 공식과 Che Vuoi
6.2 _ <오징어게임>, 토템과 위상학
기훈의 아버지는 누구인가?
동일화와 토러스
토러스, 클라인병, 사영평면의 연결합
러셀 역설과 욕망
대상a와 무의식의 주체
파스토르 기계와 내부8자: 오일남 주이상스의 논리적 구조
대상a, 주체, 대타자 그리고 욕동의 관계
6.3 _ 피타고라스 콤마와 깍두기론 ― 악학궤범을 중심으로
7도형과 5도형: 피타고라스 콤마란?
대각선 스케일로 본 60조도론
악학궤범과 라캉
맺음말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