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큰글자책] <오징어게임>과 라캉의 욕망이론

[큰글자책] <오징어게임>과 라캉의 욕망이론

(한국의 놀이 문화와 정신분석의 세계)

김상일 (지은이)
동연출판사
3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3,250원 -5% 0원
1,750원
31,5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큰글자책] <오징어게임>과 라캉의 욕망이론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큰글자책] <오징어게임>과 라캉의 욕망이론 (한국의 놀이 문화와 정신분석의 세계)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서양철학 > 현대철학 > 현대철학 일반
· ISBN : 9788964479100
· 쪽수 : 446쪽
· 출판일 : 2023-06-30

책 소개

<오징어게임>에 나타나는 라캉의 상상계, 상징계 그리고 실재계. 독자들은 이 책을 통해 오징어게임 혹은 놀이에 나타난 현대 사상의 여러 난제를 쉽게 만나게 될 것이다. 깍두기란 존재가 마르크스의 잉여가치로도, 바디우의 초과분으로도, 음악의 피타고라스 콤마로도 둔갑해 드러나기 때문이다.

목차

머리말
모둠글

초장 | <오징어게임>, 그 게임의 종류는 몇 개인가?
0.1 _ 게임의 구조와 그 대칭 구조
0.2 _ 게임의 중층 구조에 대한 분해와 설명
0.3 _ <오징어게임>은 유한 게임이냐, 무한 게임이냐?
0.4 _ <오징어게임>의 사회적 배경과 메타버스

1장 | <오징어게임>의 논리적 배경과 로고
1.1 _ <오징어게임>의 논리적 배경
순서수의 역설: 001번 오일남과 456번 성기훈
샨디의 역설과 오일남의 역설
1만 원과 456억 원: ‘실무한’과 ‘가무한’
1.2 _ 그들을 다 살릴 수도 있었을 논리는?
‘안다는 것을 알지 못하는’(Unknown Known)
<올드보이>와 <오징어게임>
‘죄수의 딜레마’와 <오징어게임>

2장 | <오징어게임>로고 ‘원방각’과 우리 문화
2.1 _ <오징어게임>과 원방각
게임 안에서 원방각이 갖는 의의
백포 서일의 원방각 해설
원방각의 갈등과 조화: 삼묘도와 구변도
2.2 _ 위상학과 원방각
삼묘도 프랙털과 원방각
원방각에 대한 위상수학적 고찰

3장 | 한복과 한옥 속의 원방각
3.1 _ 한복 속의 원방각
한복 바지와 원방각
한복 ‘저고리’와 원방각
중국 옷과 한복의 비교
3.2 _ 한옥 속의 원방각
돔과 고딕 그리고 원방각
한옥 지붕과 원방각
<오징어게임> 사회는 신피질 비대증 환자의 사회

4장 | 대각선논법과 멱집합으로 본 깍두기론
4.1 _ 대각선논법과 멱집합으로 본 깍두기론
유리수와 자연수의 깐부론
대각선논법과 역易: 깐부와 깍두기론
4.2 _ 윷놀이와 멱집합으로 본 깍두기론
윷놀이로 본 깍두기론
역과 칸토어의 멱집합
알랭 바디우의 집합론으로 본 <오징어게임>

5장 | 라캉 정신분석학으로 본 <오징어게임>
5.1 _ 인상파, 에셔, 마그리트, 피카소와 <오징어게임>
인상파, 에셔, 피카소 그리고 <오징어게임>
에셔와 마그리트 그리고<오징어게임>
마그리트와 푸코 그리고<오징어게임>
언어 속의 욕망으로 본 노자와 라캉
5.2 _ 라캉의 욕망이론과 <오징어게임>
오징어놀이 ‘놀이판’과 에셔의 판화
오징어놀이 ‘놀이판’과 프랙털
오징어놀이 놀이 규칙과 욕망의 그래프
5.3 _ 욕망의 그래프와 ‘오징어놀이’ 놀이판
무씨사당 벽화와 3세계
대상 a와 무의식의 주체
라캉 욕망의 그래프와 멱집합도
욕망의 그래프와 멱집합도
L도식, 놀이판 그리고 욕망의 그래프
암행어사와 욕망의 그래프
위상학으로 가는 길: L도식과 R도식

6장 | ‘물 한잔’과 피타고라스 콤마 그리고 대상a
6.1 _ 욕구, 요구, 욕망: “네가 원하는 것은 무엇인가?”(Che Vuoi?)
네가 원하는 것은 무엇인가?
‘환상의 공식’과 ‘욕동의 공식’
욕동의 공식과 Che Vuoi
6.2 _ <오징어게임>, 토템과 위상학
기훈의 아버지는 누구인가?
동일화와 토러스
토러스, 클라인병, 사영평면의 연결합
러셀 역설과 욕망
대상a와 무의식의 주체
파스토르 기계와 내부8자: 오일남 주이상스의 논리적 구조
대상a, 주체, 대타자 그리고 욕동의 관계
6.3 _ 피타고라스 콤마와 깍두기론 ― 악학궤범을 중심으로
7도형과 5도형: 피타고라스 콤마란?
대각선 스케일로 본 60조도론
악학궤범과 라캉

맺음말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김상일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신학과에서 학사와 석사학위를 받았다. 성균관대학교 유학대학에서 문학 석사를 마치고 미국으로 유학하여 필립스대학교에서 석사를, 클레어몬트대학교 대학원에서 과정 사상 연구로 철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2006년 한신대학교 철학과 교수직에서 은퇴한 뒤, 현재 클레어몬트대학교의 Center for Process Studies에서 Korea Project Director로 연구에 종사하며 남가 주 오렌지카운티에 거주하고 있다. 역설이 학문의 모든 토대를 허물고 있기에 전공을 정해놓지 않고 학문하였다. ‘역설’이라는 주제를 민족 고유성에서 찾기 위해 고민하며 책을 써왔고 동서양을 가로지르며 역설의 해의에 필생 골몰해 왔다. 『러셀 역설과 과학 혁명 구조』(1997), 『수운과 화이트헤드』(2001), 『괴델의 불완전성 원리로 풀어본 원효의 판비량론』(2003), 『한의학과 러셀 역설 해의』(2005), 『역과 탈현대의 논리』(2006), 『대각선 논법과 易』(2012), 『대각선 논법과 조선易』(2013), 『周易 너머 正易』(2017), 『한의학과 현대 수학의 만남』(2018), 『철학의 수학소―역易과 우리말 ‘한’에 담긴 수학소의 재발견』(2021) 등은 모두 역설과 괴델의 불완전성 정리 문제를 통해 민족 고유성을 찾고자 고민한 저서들이다. 이러한 학문적 고민거리가 『부도지 역법과 인류세』로 이어지게 되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