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생활의 디자인

생활의 디자인

강현주, 오창섭, 박해천, 김상규, 최경원, 김명환, 유지원, 서민경, 채혜진, 장진택, 박고은, 서수연 (지은이)
현실문화
12,5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1,250원 -10% 2,500원
620원
13,13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생활의 디자인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생활의 디자인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디자인/공예 > 디자인이론/비평/역사
· ISBN : 9788965640141
· 쪽수 : 248쪽
· 출판일 : 2011-04-04

책 소개

한국인이 가장 사랑했던 생활 속 디자인과 근현대 풍속사를 들려준다. 이 책에 참여한 14명의 디자인 전문가가 재발견한 한국의 디자인은 거의 대부분 일반인들이 열렬하게 사랑했던 물건 혹은 생활에 없어서는 안 되는 것들로 자리 잡은 물건들이다. 한국 근현대 디자인 역사를 써내려간 바로 그런 물건들의 디자인 연대기이자 그런 물건들을 사용하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목차

머리말
철가방 - 제작시기 미상
스테인리스 수저 - 제작시기 미상
붕어빵 - 1930년대
공병우 타자기 - 1949
최정호 명조체 - 1950년대
칠성사이다 - 1950
시발택시 - 1955
소주병 - 1960년대
이태리 타월 - 1962
모나미 153 볼펜 - 1963
금성 흑백 텔레비전 VD?191 - 1966
꽃무늬 장식 - 1970년대 중후반
빨간 돼지저금통 - 1970년대
한샘의 시스템키친 - 1970년대
바나나맛 우유 - 1974
삼익쌀통 - 1976 120 포니 - 1976
뿌리깊은 나무 - 1976
공중전화기 - 1978
궁전식 예식장 - 1980년대
마이마이 카세트 - 1980년대
삼미 슈퍼스타즈 - 1981
아기공룡 둘리 - 1983
호돌이 - 1983
안상수체 - 1985
소나타 - 1985
신라면 - 1986
롯데월드 캐릭터 로티 - 1989
솥뚜껑 불판 - 1990년대
천지인 - 1994
김치냉장고 딤채 - 1995
Be the Reds - 2002
설레임 - 2003
뽀로로 - 2003
초콜릿폰 - 2005
스피라 - 2010

저자소개

강현주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와 스웨덴 콘스트팍Konstfack에서 시각 디자인을 전공했고, CI 전문회사인 올커뮤니케이션에서 일했다. 현재 인하대학교 디자인융합학과 교수로 있다. 저서로는 『디자인사 연구』와 『한국디자인사 수첩: 한국의 폴 랜드, 조영제를 인터뷰하다』가 있고, 논문으로는 「세대변천과 기업 디자인의 변화」 「한홍택 디자인의 특징과 의미: 한국 그래픽 디자인의 전사(前史)」 「김교만과 한국 현대 그래픽 디자인」 「88서울올림픽에서 조영제의 역할과 영향」 「안상수가 한국 그래픽 디자인 문화생태계에 미친 영향」 등이 있다.
펼치기
오창섭 (지은이)    정보 더보기
디자인역사문화 연구자로 2013년 한국디자인학회 최우수 논문상을 수상했으며, 문화역서울284에서 열린 전시 〈안녕, 낯선 사람〉을 기획했다. 지은 책으로 『우리는 너희가 아니며, 너희는 우리가 아니다』 『근대의 역습』 『내 곁의 키치』 『9가지 키워드로 읽는 디자인』 『인공낙원을 거닐다』 『이것은 의자가 아니다: 메타 디자인을 찾아서』 등이 있다. 현재 건국대학교 예술디자인대학 교수로 재직하면서 메타디자인연구실을 운영한다.
펼치기
박해천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동양대학교 디자인학부 부교수로 재직 중이며 디자인 연구자로서 『인터페이스 연대기』 (2009), 『콘크리트 유토피아』(2011), 『아파트 게임』(2013), 『아수라장의 모더니티』(2015)를 저술했고, 『확장도시 인천』(2016), 『디자인 아카이브 총서 1 : 중산층 시대의 디자인 문화 1989~1997』(2016), 『디자인 아카이브 총서 2: 세기의 전환기 한국 디자인의 모색 1998~2007』(2020) 등을 기획했다. 2014년에는 공동기획자로 일민미술관의 인문학박물관 아카이브 전시 《다음 문장을 읽으시오》에 참 여했다.
펼치기
김상규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디자인학과에서 학생들을 가르치고 함께 연구하고 있다. 의자와 전시를 무척 좋아해서 퍼시스의 디자이너로 다양한 의자를 디자인하기 시작했고 예술의전당 디자인미술관에서 큐레이터로 일한 뒤부터는 <한국의 디자인>, <오래된 미래> 등 흥미로운 주제를 다루는 전시를 기획해 왔다. 공공디자인 프로젝트와 디자인박물관 관련 연구도 꾸준히 해 왔고 현재는 생태 전환 디자인과 사물 연구, 20세기 사회주의 체제의 디자인에 관심을 갖고 있다. 이런 관심을 바탕으로 『의자의 재발견』, 『디자인과 도덕』, 『관내분실: 1999년 이후의 디자인 전시』 등을 쓰고 『사회를 위한 디자인』, 『뉴 큐레이터: 건축과 디자인을 전시하기』 등을 옮겼다.
펼치기
김상규의 다른 책 >
최경원 (그림)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산업디자인과와 동 대학원을 졸업하였으며 현재 연세대학교와 국민대학교에서 겸임교수로, 서울대학교에서는 외래강사로 강의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디자인을 산업 중심의 기능에서 벗어나, 문화적이고 예술적인 감각으로 확장하고자 지속적으로 콘텐츠를 기획하고 글을 씁니다. 이번 책 『좋아 보이는 것들의 비밀, 컬러』에서는 첫 책에서 다뤘던 컬러 부분을 새롭게 다듬고 확장했습니다. 교육 및 강연 활동 전국 디자인 워크숍 및 문화예술 포럼 강연 공공디자인, 시각문화, 디자인 감각 향상 관련 대중 강의 진행 디자이너, 교사, 일반인을 위한 디자인 인문교육 콘텐츠 기획 및 강의 주요 저서 『좋아 보이는 것들의 비밀, Good Design』 『디자인 인문학』 『디자인 미학』 『우리 미술 이야기』 1~3 『좋아 보이는 것들의 비밀, 컬러』
펼치기
김명환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계원조형예술대학 교수로 재직 중이다. 『공강연출디자인의 원류』(편역), 『커뮤니티 디자인』을 번역했으며, 저서로는 『간판이 아름다운 거리 만들기』, 『아트&디자인』 등이 있다.
펼치기
김명환의 다른 책 >
유지원 (지은이)    정보 더보기
『글자 풍경』, 『뉴턴의 아틀리에』 저자, 글문화연구소 실장, 작가, 타이포그래피 연구자, 그래픽 디자이너. 서울대학교에서 시각디자인을 전공하고, 독일고등교육진흥원(DAAD)의 예술 장학생으로 독일 라이프치히 그래픽서적예술대학에서 타이포그래피를 공부했다. 민음사에서 북디자이너, 산돌 커뮤니케이션에서 타이포그래피 R&D 책임 연구원으로 근무했고, 홍익대학교 시각디자인학과 겸임교수를 역임하며 서울대 등에서 10여년 간 학생들을 지도했다. 국제 타이포그래피 비엔날레 ‘타이포잔치 2013’에서 큐레이터로 일했고, 뉴욕현대미술관(MoMA)의 블로그와 일본 디자인 매거진 『IDEA(アイデア)』 등에 기고했으며, 국립현대미술관 등의 전시에 참여한 바 있다. 타이포그래피를 모든 사람에게 친근하고 매력적으로 다가가게 하기 위해 연구, 저술, 디자인, 강연을 병행하는 동시에, 언어·예술·과학·수학 등 분과 학문의 경계를 넘나드는 소통에 힘쓰고 있다. 저서로 『글자 풍경』, 물리학자와 함께 쓴 『뉴턴의 아틀리에』가 있고, 번역서로 헤릿 노르트제이의 『획?글자쓰기에 대해』가, 대표적인 디자인으로 민음사 『셰익스피어 전집』이 있다.
펼치기
서민경 (지은이)    정보 더보기
디자인 글쓰기와 전시 기획을 도모하는 텍스트 공방을 운영 중이다. 계간지 《공예문화》와 격월간지 《아트뷰》에 정기적으로 글을 싣는다.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과 월간 《디자인》 에서 일했고, 서울시립미술관 시민 큐레이터, 예술경영지원센터 시각예술 비평가, 현대자동차 주최 2022 현대 블루 프라이즈 파이널리스트로 선정되었다. 공저로 《생활의 디자인》, 《행복의 기호들: 디자인과 일상의 탄생》, 《지난해》 시리즈, 독립출판물 《A to Z》 등이 있으며, ?창작자의 수집법?, ?오늘전통 2023? 등의 전시를 기획했다.
펼치기
채혜진 (지은이)    정보 더보기
디자인 연구자. 건국대학교 디자인학과에서 박사 과정을 수료했으며, 주요 연구 분야는 디자인 문화와 디자인 역사다. 현재 건국대학교에 출강 중이고, Designflux 2.0에서 '사물이 말을 한다면' 이라는 주제로 에세이를 연재하고 있다. 북저널리즘의 온라인 콘텐츠 「오늘을 위한 집」을 발행했으며, 공저로 『생활의 디자인』, 『코리아 디자인 헤리티지 2010』, 『신혼집 인테리어의 모든 것』이 있다.
펼치기
장진택 (지은이)    정보 더보기
월간 「디자인」 기자, 「지큐」 한국판 편집차장을 거치면서, 여러 매체에 발랄한 디자인 칼럼을 써왔다. 현재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에 재직 중이다.
펼치기
박고은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재 문화공간 숨도에서 활동하고 있다.
펼치기
서수연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재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에 재직 중이며, 일상문화와 개인의 미적 취향에 대해 연구하고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지극히 단순하면서도 값싸고 흔한 물건임에도 뛰어난 디자인적 가치를 지니고 있는데다 개발자나 디자이너가 정확하게 밝혀져 있지도 않다는 점에서, 철가방은 단순히 하나의 제품이라기보다 문화인류학적 소산이라고 할 만하다. 적어도 우리나라의 중국집 음식배달용 도구로서는 가장 완벽하게 진화를 완료해 오랜 시간 사용되어온 유물로서, 오랜 시간이 지난 후엔 박물관의 한 자리를 차지할지도 모를 일이다.


너무나 익숙해져 있다 보니 마치 우리가 고조선 시대부터 때를 밀며 살아온 것 같지만, 사실 우리나라 사람들이 목욕탕에서 때를 밀면서 청결한 삶을 누리게 된 것은 이태리 타월이 등장한 뒤부터다. 일본의 영향으로 지금과 같은 공중목욕탕이 등장한 것이 100여 년밖에 되지 않은 일이니, 그 위에 때를 민다는 생활습관을 만들었다는 것은 대단히 획기적인 사건이라고 할 만하다. 게다가 이것은 단지 우리나라 안에서의 문제가 아닌 국제적인 목욕 문화에 획기적인 전환을 가져다줄 수도 있는 물건이기 때문에 그 의미가 크다고 할 수 있다.


무엇보다도 한국사회 속에 오래도록 존재했던 레드컴플렉스를 넘어 붉은색에 대한 새로운 욕망을 끌어냈으며, 산업화와 근대 자본주의 사회의 도래로 개인화, 파편화되었던 개인들의 일상을 집단주의적인 문화현상으로 표출시켰다. 이것은 일시적인 행사에 그치지 않았고, 광장에 모여 어깨동무를 하고 함께 응원했던 기억들은 다시금 한국사회의 새로운 광장문화로 대두하고 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