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디자인플럭스 저널 01

디자인플럭스 저널 01

(암중모색 상편)

강현주, 박해천, 최성민, 이재희, 김경은, 최준우, 마리오 카포, 홍승표, 서동진 (지은이)
디자인플럭스(현실문화연구)
1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디자인플럭스 저널 01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디자인플럭스 저널 01 (암중모색 상편)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미술 > 미술비평/이론
· ISBN : 9788992214612
· 쪽수 : 124쪽
· 출판일 : 2008-09-22

책 소개

전반부에서는 유명 디자이너들의 활동상, 국제 전시의 내막, 네덜란드의 소규모 스튜디오의 현황을 다룬다. 후반부에는 필자 고유의 비평적 시선으로 브랜드 디자인, 디자인경영 담론, 디지털 건축, 컴퓨터 모델링 인터페이스 같은 주제들에 천착해 해당 주제의 사회 문화적 맥락을 짚어낸다.

목차

서문
바람 따라 구름 따라 디자인 기상도
몇 개의 의자들을 통해 오늘의 디자인 신을 바라보다
작업실과 회사 사이|네덜란드의 소규모 디자인 스튜디오
세계 디자인 아틀라스 1
신경제 체제하의 기업 디자인|브랜드와 로고
디자인의 정치경제학 비판을 위하여(上)
애플 연대기
디지털 건축의 열광과 그 이후|이상과열에서 이상침체로
컴퓨터의 모델링 인터페이스(上)|디자이너 혹은 인조인간

저자소개

강현주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와 스웨덴 콘스트팍Konstfack에서 시각 디자인을 전공했고, CI 전문회사인 올커뮤니케이션에서 일했다. 현재 인하대학교 디자인융합학과 교수로 있다. 저서로는 『디자인사 연구』와 『한국디자인사 수첩: 한국의 폴 랜드, 조영제를 인터뷰하다』가 있고, 논문으로는 「세대변천과 기업 디자인의 변화」 「한홍택 디자인의 특징과 의미: 한국 그래픽 디자인의 전사(前史)」 「김교만과 한국 현대 그래픽 디자인」 「88서울올림픽에서 조영제의 역할과 영향」 「안상수가 한국 그래픽 디자인 문화생태계에 미친 영향」 등이 있다.
펼치기
박해천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동양대학교 디자인학부 부교수로 재직 중이며 디자인 연구자로서 『인터페이스 연대기』 (2009), 『콘크리트 유토피아』(2011), 『아파트 게임』(2013), 『아수라장의 모더니티』(2015)를 저술했고, 『확장도시 인천』(2016), 『디자인 아카이브 총서 1 : 중산층 시대의 디자인 문화 1989~1997』(2016), 『디자인 아카이브 총서 2: 세기의 전환기 한국 디자인의 모색 1998~2007』(2020) 등을 기획했다. 2014년에는 공동기획자로 일민미술관의 인문학박물관 아카이브 전시 《다음 문장을 읽으시오》에 참 여했다.
펼치기
최성민 (지은이)    정보 더보기
최슬기와 함께 ‘슬기와 민’이라는 이름으로 활동하는 그래픽 디자이너이다. 지은 책으로 『누가 화이트 큐브를 두려워하랴–그래픽 디자인을 전시하는 전략들』(최슬기 공저, 작업실유령, 2022), 『재료: 언어–김뉘연과 전용완의 문학과 비문학』, 『그래픽 디자인, 2005~2015, 서울–299개 어휘』(김형진 공저, 작업실유령, 2022), 옮긴 책으로 『리처드 홀리스, 화이트채플을 디자인하다』(작업실유령, 2021), 『멀티플 시그니처』(최슬기 공역, 안그라픽스, 2019), 『왼끝 맞춘 글』(워크룸프레스, 2018), 『레트로 마니아』(작업실유령, 2017), 『파울 레너–타이포그래피 예술』(워크룸프레스, 2011), 『현대 타이포그래피–비판적 역사 에세이』(작업실유령, 2020) 『디자이너 란 무엇인가』(작업실유령, 2020) 등이 있다. 서울시립대학교에서 그래픽 디자인과 타이포그래피를 가르친다.
펼치기
이재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예술종합학교 영상이론과를 졸업했다. <영화운동의역사> 중 '미국 무성영화시기, 노동계급의 함성- 5센트를 무기로!'의 공동 필자로 참여했다. 현재 디자인플럭스의 에디터로 있다.
펼치기
김경은 (지은이)    정보 더보기
2008년 현재 국민대학교 시각디자인학과를 갓 졸업하고 건축설계사무소에서 일하는 회사원이다. 도시, 건축, 디자인, 미디어, NPO 등등에 관심을 둔다.
펼치기
최준우 (지은이)    정보 더보기
그래픽 디자이너. 2008년 현재 교보생명 퇴직연금사업팀에서 퇴직과 연금과 투자에 대해 디자인한다.
펼치기
마리오 카포 (지은이)    정보 더보기
2008년 현재 생티엔느 건축학교의 건축사 전공 교수로 있다. 최근 연구는 건축적 사고와 정보 테크놀로지의 관계에 초점을 맞추며, 주요 저서로 <인쇄 시대의 건축>(MIT Press, 2001)이 있다.
펼치기
홍승표 (지은이)    정보 더보기
더 이상 젊지 않은 무명씨 제품디자이너. 남은 인생을 걱정한다.
펼치기

책속에서

반면 비판자들은 인간은 생각만 하는 것이 아니라 생각하고 감각하고 행위한다는 사실에 착안해서, 이 은유가 가정하는 정신과 신체의 위계적 이분법을 부정하며, 인지, 감각, 행위의 상호 연관성에 주목한다. 이들에 따르면, 고도의 인지적 행위의 대부분은 두개골 내부의 정신적 과정이 아니라 특정 미디어와의 인터랙션이 제공하는 신체적 경험의 물질성 내부에서, 좀 더 정확히 말하자면 인터랙션의 사건이 촉발한 두뇌, 신체, 인공물의 이질적인 배치로부터 창발한다. 이 배치에는 위계나 중심이 없으며 상황에 따라 탄력적으로 조합되어 수평적인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준자율성을 지닌 복수의 작인들만이 존재할 뿐이다. 따라서 인터랙션은 행위의 일부가 아니라 오히려 사고의 일부인 셈이다. 이런 측면에서 보면 우리의 신체와 외부의 미디어는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있어서 주체와 대상의 관계로 손쉽게 환원되곤 하지만, 사실상 인지적 차원에선 인터랙션의 감각적 사건들로 인해 서로 접속하는, 경계가 불분명한 상호 침투의 관계를 맺고 있는 것이다. - 본문 117~118쪽 중에서


블롭젝트 형제 중 가장 가련한 존재는, 항상 필립 스탁을 자신의 경쟁자로 의식하고 견제했던 카림 라시드다. 그는 세인의 이목을 끌기 위해서인지 일관되게 과장된 제스처를 보여주는데, 이에 대해선 러시아 농노처럼 일했던 무명시절의 보상심리가 수반된 일탈이라는 견해가 설득력을 얻고 있다. 따라서 디자인계는 그가 자신의 디자인 모토이자 도록의 제목으로 제시한 “세상을 바꾸고 싶다(I want to Change the World)”라는 말을 일종의 농담으로 받아들이는 분위기다.
얼마 전에는 한국의 모 출판사를 위해 단돈 3,000만 원을 받고 울룩불룩 책꽂이를 디자인해준 바 있는데, 이 푼돈으로 뉴욕 맨해튼의 스튜디오 월세를 감당하고 1970년대 신발공장 재봉틀 돌아가듯 3D 모델링을 돌리는 직원들에게 제대로 된 임금을 줄 수 있을지 궁금해지기도 한다.
사실 라시드의 가장 큰 문제점은 ‘민주적인 디자인’을 설파하는 그의 디자인 철학과 그 결과물 사이에 어떠한 연관성도 찾을 수 없다는 점이다. - 본문 19~20쪽 중에서


한편 일본의 소니는 이전 세기까지 전자제품의 모든 영역에서 누려왔던 영광을 반납하는 수모를 감내하고 있다. 전자제품을 둘러싼 매체환경이 급격히 비물질적인 국면으로 전환되면서, 일본이 독점했던 정밀기계적 요소들은 구시대의 유물로 전락했고, 후발 업체들을 압도했던 소니의 기술적 우위 역시 사라졌다. 이후 변화한 기술적 환경에 적응하려는 움직임이 없었던 것은 아니지만, 이러한 시도는 도리어 소니가 유지해왔던 정체성과 여러 부분에서 충돌을 일으켰다. 결과적으로 현재의 소니는 애플 디자인의 성공을 흉내 내는 듯한 어정쩡한 포즈를 취하고 있다. - 본문 21~22쪽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