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언론/미디어 > 언론학/미디어론
· ISBN : 9788966801435
· 쪽수 : 426쪽
· 출판일 : 2013-02-22
책 소개
목차
개정판 서문
서문
1부 채용 트렌드와 기출문제
01 미디어 환경이 변했다
멀티플레이어가 필요해
신문사도 카메라테스트를 보는 시대
02 미디어별 시험 분석하기
필기, 대충 쓰면 대충 떨어진다
실무 평가, 같은 듯 다른 과제들
면접, ○○일보가 왜 나를 뽑아야 할까?
03 최근 6년간 출제 경향
시사 이슈는 항상 나온다
논술, 구체적·연성적으로
창의력을 원하는 ‘기이한 주제’
방송사는 미디어 이슈에 ‘민감’
기사 쓰기의 공백, 상식이 대체하다
04 기출문제로 보는 필기시험
언론사별 주요 논술과 작문 주제(2006∼2012)
주제별 상식(2006∼2012)
2부 언론고시 몸만들기
01 예비 언론인을 위한 대학 생활 가이드
스펙 공룡이 되진 말자
대학 생활, 이렇게 해봐
나를 빛나게 하는 것들
언론계 밖으로도 눈을 돌려라
02 님도 보고 뽕도 따는 인턴
인턴, 왜 하니?
인턴 자리는 어디에 있을까?
인턴 기자 체험기
03 스터디 그룹, 이렇게 운영하자
잘 키운 스터디, 열 스승 안 부러워
스터디 운영, A부터 Z까지
스터디 사례 모음
스터디, 없으면 직접 만들어 보라
3부 합격으로 가는 길, 실전 5단계 완전 정복
01 합격 자기소개서 10계명
1계명: 신문형 글쓰기, ‘야마부터 쓰라’
2계명: 자신의 강점, 분산 배치하라
3계명: 항목별 서술, 결론-논점-대안으로
4계명: 10분 뒤, 10년 뒤를 제시하라
5계명: 면접을 감안한 키워드를 배치하기
6계명: 개요 작성, ‘맥’을 잡아라
7계명: 불합격 자기소개서, 이유를 찾아라
8계명: 못다 한 이야기, 여담을 쓰지 말 것!
9계명: 보배 만들기, ‘구슬 서 말’부터 찾자
10계명: 낮은 학점, 변명하지 마라
최종 합격자의 서류로 들여다보는 ‘자소서 기술’
02 서류 전형을 위한 각종 시험 대비법
한국어능력시험, 3개월에 끝내자
매경TEST, 저자와 함께 풀어보자
매일경제 기자가 귀띔하는 매경TEST
머리 아픈 톡트, 이렇게 준비하자
부활하는 약술 시험
‘방송학 개론’ 쉽게 끝내기
03 성패는 글쓰기에서 나뉜다
우수 답안 14개, 논술 뽀개기
우수 답안 13개, 작문 뽀개기
선배의 비법 1: 아나운서 지망생을 위한 글쓰기 전략
선배의 비법 2: 전략적 ‘쓸거리’ 찾기
04 실무 평가, 당신의 털끝까지 테스트
기사 작성, 이렇게 하자
토론 면접, 준비는 어떻게
카메라 테스트, 어떻게 대비할까?
한 방에 끝내자, 메이크업과 코디
예의범절 지키기
기자 채용의 대안, 한국경제 <나는 기자다>
05 최종 면접, 언론인이 되기 위한 마지막 단계
최종 면접, 처음과 끝
이색 면접 경험담
선배들을 떨어뜨린 스무 가지 질문
선배의 비법 3: 면접? 준비된 자만이 승리할 수 있다.
부록 1 현직 언론인 인터뷰
PD가 되려면 ‘물리량’부터 있어야
세상을 향한 무한 애정
외모보다 멀티플레이어
2% 부족한 기사의 화룡점정
화려함 이면에 밤샐 수 있는 근성
방송 뉴스의 미래
친해지면 더 못 쓰는 게 연예 기사
커피 한잔의 여유도 없는 ‘법조기자’
뒤태 전문 기자의 연예뉴스
부록 2 언론사 지망생들과 현직 언론인의 ‘톡톡(Talk Talk)’
글쓰기, 정말 어렵다
실무 평가, 이럴 때 당황스럽다
더 얄미운 젊은 면접관
제로베이스는 없다
필수, 카메라 테스트
예의범절 지키기, 보도 자료 분석하기
면접장 해프닝
메이저 대 마이너, 어디서 시작하나
저자소개
책속에서
벌써 1년이 꼬박 지나갔다. 『언론고시, 하우 투 패스』가 2012년 2월 발매됐을 때부터 말이다. 발매 직후 많은 격려를 받았다. “기다렸던 책이 나왔다”, “한 번은 나왔어야 할 자습서 같은 책” 등의 이야기였다. 일부 대학에서는 『언론고시, 하우 투 패스』로 공부하는 학회까지 생겨났다. 후배들에게 도움이 되고자 펜을 들었던 신참 언론인으로서 저자들은 뿌듯했다.
<개정판 서문>중에서
종편의 등장으로 멀티형 저널리스트는 차츰 현실이 되고 있다. 중앙일보에서는 정치부 기자들을 중심으로 신문기자들을 매일 저녁 9시 JTBC 메인 뉴스인
<1부 01 미디어 환경이 변했다> 중에서
언론사 필기시험 준비의 기본은 기출문제 분석에서 나온다. 주요 언론사의 논술 및 작문 주제를 살펴보면 해답이 나온다. 일부 언론사에서 진행하는 ‘실무능력평가’라는 이름의 약술 문제 역시 평소 시사에 대한 감을 놓치지 않는다면 그리 어렵지 않을 것이다.
논술 문제는 비교적 각 언론사별로 대동소이하다. 꾸준히 신문의 1면을 살펴보고, 1면 머리기사와 연관된 기사들을 훑어봤다면 충분히 썼을 법한 수준이다. 2010년에 공정사회, DTI 같은 화두가 있었다면, 2011년에는 스티브 잡스와 한미 FTA 같은 단어가 스쳐간다. 2012년 에는 경제민주화가 가장 큰 화두였다. 이외에도 안철수 현상, 단일화, SSM 등의 시사 이슈가 시험에 출제됐다.
<1부 04 기출문제로 보는 필기시험>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