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기호학/언어학 > 언어학/언어사
· ISBN : 9788966806522
· 쪽수 : 518쪽
· 출판일 : 2013-03-15
책 소개
목차
서문 ······················vii
제1부 언어학의 변모
제1장 구조주의와 언어학 ··············3
제2장 인간언어가 만들어 내는 역사 ·········37
제2부 의사소통
제3장 언어의 기호학 ···············61
제4장 인간언어와 인간 경험 ···········104
제5장 발화행위의 형식적 장치 ··········125
제3부 구조와 기능
제6장 언어 구조와 사회 구조 ···········145
제7장 유형적 수렴 현상 ·············164
제8장 전환의 구성 원리 ·············184
제9장 언어 범주의 변화 ·············210
제10장 독일어 전치사 vor의 의미론 ········231
제4부 통사 기능
제11장 명사 합성의 통사적 기초 ··········241
제12장 명사 합성의 새로운 형태 ··········274
제13장 보조 관계의 구조 ·············303
제5부 언어 속의 인간
제14장 현대 프랑스어의 고유 대명사와 대명사 ···339
제15장 인간언어의 형태와 의미 ··········371
제6부 어휘와 문화
제16장 문화용어의 전파: 라틴어 orarium ······415
제17장 용어 scientifique의 기원 ··········429
제18장 불경어법과 완곡어법 ···········443
제19장 프랑스어 어휘는 어떻게 분화되었는가 ····450
제20장 cite?의 두 가지 언어 모델 ··········480
해설 ······················499
지은이에 대해 ··················503
옮긴이에 대해 ··················507
책속에서
언어와 기호체계의 관계에 대한 소쉬르의 생각은 아주 단호하지만 언어학과 기호체계의 과학인 기호학의 관계에 대한 생각은 그렇게 분명하지 않다. 언어학의 운명은 사회심리학과 연결되고, 결과적으로는 일반심리학의 한 분야인 기호학과 연결될 것이다. 하지만 “사회생활 내에서 기호의 삶을 연구하는 과학”인 기호학이 구축되어 “기호들이 무엇으로 구성되는지 그리고 이 기호들을 지배하는 법칙이 무엇인지”를 알 때까지 기다려야 한다.
인간언어는 인간에게는 하나의 수단입니다. 즉 사실상 타인과 접촉하고, 메시지를 전하고, 그에게서 메시지를 받는 유일한 수단이지요. 결국 인간언어란 타인을 설정하고, 타인을 전제로 합니다. 그러면 즉각 사회라는 것은 인간언어와 함께 주어집니다. 이렇게 되면, 사회는 오직 의사소통의 기호를 공유해서 사용함으로써만 총체적으로 유지됩니다. 그러면 또한 즉각 사회라는 것도 인간언어와 같이 주어지는 것이지요. 이처럼 인간언어와 사회, 이 두 실체 각각은 서로를 함의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