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량치차오, 조선의 망국을 기록하다

량치차오, 조선의 망국을 기록하다

량치차오 (지은이), 최형욱 (옮긴이)
글항아리
1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량치차오, 조선의 망국을 기록하다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량치차오, 조선의 망국을 기록하다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조선사 > 조선후기(영조~순종)
· ISBN : 9788967351243
· 쪽수 : 284쪽
· 출판일 : 2014-08-15

책 소개

량치차오는 1880~1890년대에 캉유웨이와 함께 중국의 가장 중요한 진보 정치 사상가이자 지식인이다. 1904~1911년, 량치차오는 조선에 대한 글과 시문을 집중적으로 발표했다. 이 책은 바로 량치차오 전집에서 조선에 관한 모든 글을 빠짐없이 추려내 수록한 것이다.

목차

머리말

제1부 량치차오의 눈에 비친 조선의 멸망
1 조선망국사략朝鮮亡國史略
[부: 베트남망국사전록越南亡國史前錄]
2 일본의 조선日本之朝鮮 -우리 나라에 경찰을 만들려는 당국은 볼 것
3 지난 1년 동안의 세계 대사건 기록 -조선의 멸망過去一年間世界大事記第六朝鮮之亡國
4 아! 한국, 아! 한국 황제, 아! 한국 국민嗚呼韓國嗚呼韓皇嗚呼韓民
5 한일합병 문제日韓合倂問題
6 조선 멸망의 원인朝鮮滅亡之原因
7 일본병탄조선기日本倂呑朝鮮記
[부: 조선의 중국에 대한 관계의 변천朝鮮對我國關係之變遷]
8 조선 귀족의 장래朝鮮貴族之將來
9 가을바람이 등나무를 꺾다秋風斷藤曲
10 조선애사朝鮮哀詞
11 여한십가문초서麗韓十家文抄序

2부 량치차오와 조선
1 량치차오의 생애와 성취
2 조선의 량치차오 수용과 량치차오의 조선에 대한 인식

저자소개

량치차오 (지은이)    정보 더보기
중국 역사상 그 어느 시기보다 중요한 근대 전환기를 살면서 끊임없이 시대를 이끌어간 대표적 지식인이다. 신문·잡지 및 교육을 기반으로 변법유신變法維新을 도모하고, 근대화된 서구 문명을 선전함으로써 폐쇄된 근대 중국에 새로운 개혁의 기풍을 일으켰다. 특히 탁월한 계몽주의 사상가, 정치가, 언론인, 교육자, 문학가로서 중국 문화사文化史에서 절대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자字는 탁여卓如, 호號는 임공任公이며, 필명筆名으로 음빙실주인飮氷室主人·음빙자飮氷子·만수실주인曼殊室主人·신민자新民子·소년중국지소년少年中國之少年 등 여럿을 사용했다. 서구 열강의 침략과 대항의 최전방 지역이던 광둥 성廣東省 신후이新會 사람으로, 반경반독半耕半讀의 향신鄕紳인 아버지 량바오잉梁寶瑛과 어머니 조씨趙氏 사이에서 장남으로 태어났다. 동치同治 12년(1873), 즉 아편전쟁이 일어난 지 33년 뒤, 태평천국의 난이 평정된 지 10년 뒤, 서구 충격이 중국을 향해 거세게 가해지던 시기다. 여섯 살에 오경五經을 완독하고, 열두 살에 수재가 되었으며, 열일곱에 거인擧人이 된 천재였다. 하지만 1890년 회시會試에 낙방하면서 실의에 빠진 그가 새롭게 성장한 계기는 스승 캉유웨이康有爲와의 만남이었다. 신학문에 눈뜬 그는 1895년 당대 뛰어난 대학자 캉유웨이를 도와 《만국공보萬國公報》를 창간하고 본격적인 변법운동에 들어선다. 1898년 캉유웨이와 함께 이른바 ‘백일유신’을 시작했으나, 운동은 실패로 끝나고 일본으로 망명했다. 일본에서 서양 사상을 접하며 쓴 글들을 자신이 직접 창간한 여러 잡지에 연재하면서 그의 명망은 중국은 물론 한국과 일본에 널리 전파되었다. 특히 《청의보淸議報》에 실린 글들은 뒷날 《음빙실자유서飮?室自由書》 편찬으로 이어졌다. 중국 내외에서 ‘언론계의 총아’, ‘걸어다니는 백과사전’이라 불린 그의 명성에 걸맞게, 《음빙실자유서》는 구학문에 대한 탄탄한 기반을 지닌 량치차오가 망명지 일본에서 신학문을 왕성하게 섭취하며 동서 사상의 가교를 구상한 책이다. 신해혁명 다음 해인 1912년에야 중국으로 돌아온 그는 신정부에서 사법총장司法總長, 폐제국총재幣制局總裁, 재정총장財政總長 등 각종 직책을 맡아 정치 활동을 했고, 말년에는 중국의 역사와 학술을 중심으로 한 연구 활동에 주력했다. 그 밖의 주요 저술로는 《소년중국설少年中國說》, 《중국역사연구법》, 《선진정치사상사先秦政治思想史》, 《중국근삼백년학술사中國近三百年學術史》, 〈신민설新民說〉, 《리훙장전李鴻章傳》 등이 있으며, 량치차오가 생전에 편찬한 《음빙실문집飮氷室文集》에 신문과 잡지 등에 발표한 단편들이 더해져 《음빙실합집飮氷室合集》(중화서국, 1936)이 출판되었다.
펼치기
최형욱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양대학교 중문과 교수 1962년 서울 출생. 한양대 중문과 졸업, 타이완 국립정치대 중문과 석사, 연세대 중문과 박사. 경동대 전임강사, 미국 UC버클리 중국학센터 방문학자, 한양대 동아시아문화연구소 소장, 한국중어중문학회 부회장 등 역임. 중국 고전산문 연구에서 출발하여, 주로 근대 전환기 고전문학으로부터 현대문학으로의 변화에 관심을 기울여왔다. 중국문학 연구 외에도 이 시기 한국과 중국 문사철 전반의 관련성에 주목하고 여러 논저 및 역서를 발표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