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내 아이 실리콘밸리 CEO로 자라는 교육

내 아이 실리콘밸리 CEO로 자라는 교육

김정호 (지은이)
북오션
2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8,000원 -10% 0원
1,000원
17,000원 >
18,000원 -10% 2,500원
0원
20,5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4,000원 -10% 700원 11,900원 >

책 이미지

내 아이 실리콘밸리 CEO로 자라는 교육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내 아이 실리콘밸리 CEO로 자라는 교육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 일반
· ISBN : 9788967998875
· 쪽수 : 280쪽
· 출판일 : 2025-08-11

책 소개

미래를 살아갈 새로운 인재는 상명하복의 리더십이 아니라 협업을 이끌어낼 줄 아는 팔로워십을 갖추고, 실패에 꺾이지 않는 회복탄력성을 지녔으며, 기업가정신을 탑재하고 있어야 한다고 분석한다.

목차

추천사
책을 펴내며

제1장 실리콘밸리에 한국인 CEO가 없는 이유
한국인 인텔 팀장이 몸으로 배운 실리콘밸리 성공법
공부와 돈벌이 다 가르치는 나라들, 공부만 가르치는 한국
엘라와 샬롯, 싱가포르의 어린이 자매 기업가들
공교육으로 기업가정신 가르치는 싱가포르
삐꾸이리따야(Pikkuyrittajat) 핀란드의 꼬마 기업가들
기업가정신 교육 1위의 나라, 핀란드
유치원부터 로봇공학 가르치는 에스토니아
돈을 멀리하라고 가르치는 한국
국가위기를 대하는 서로 다른 태도

제2장 벼랑 끝 대한민국, 새로운 인간형 절실하다
약육강식 시대의 개막
수출도, 내수도 소멸해 간다
자본도 인재도 탈출
20년째 제자리, 글로벌 비즈니스 허브의 꿈
AI 가 대체하는 인간의 일 자리
거친 시대가 한국인에게 요구하는 새로운 역량
한국인의 역량: 학생 우수, 성인 평균 미달, 학력 과잉

제3장 과거에 갇힌 한국, 경제학 김교수는 유치원에 가다
한국의 주력산업은 50년 전 작품
국내를 못 벗어나는 서비스 산업들
청년들의 모험 기피증
넘쳐나는 캥거루족
인종 차별 Top 5 국가
UN에도, 실리콘밸리에도 한국인은 드물다
외국 인재 거부 증후군
국내 당파 싸움에만 매몰된 정치
영어, 영어, 영어…
삼성, LG의 변신 실패가 말해 주는 것
고수익을 가져다주는 유아교육 투자
행복과 민주와 입시에 몰입하는 한국 교육 현실
이어지는 공교육 탈출
유치원, 어린이집에 길을 터주자

제4장 유치원에서 다 배우게 하자
중요한 것은 다 유치원에서 배운다
유치원에서 익혀야 할 미래시대 역량들
행복 교육과 인간의 본능
행복 교육 vs. 현명한 교육
한국 누리과정, 핀란드 횡단역량, 싱가포르 미래역량
2019 개정 누리과정. 놀이 중심 교육의 효과
싱가포르 유치원의 목적 지향 놀이 교육
독일, 스웨덴, 덴마크 유치원의 위험놀이
놀이 중심 네덜란드의 유치원 유급 제도
이중언어교육하는 스위스와 싱가포르, 국가 자부심도 최고
유치원 교육, 이렇게 바꾸자

제5장 부모부터 변하자
한국 부모의 과도한 자식 사랑
대학만 잘 가면 되는 시대의 종말
‘내 새끼 제일주의’ 증후군
미래교육, 아이와의 대화로 시작하자
낯가리지 않기를 가르치자
말 잘 듣는 아이에서 질문 잘하는 아이로
아이를 험하게 기르자
집안일로 성공 습관을 길러주자
부모에게 닥친 결단
학교 개혁에 부모가 나서자

제6장 IB 월드 스쿨 논란으로 드러난 교사, 학생-부모 동상이몽
IB 수업의 현장 속으로
IB 월드 스쿨이란
IB 교육과 기존 교육의 미래역량 비교
학생과 부모는 찬성, 교사는 반대
교사가 반대하는 IB 학교와 찬성하는 혁신학교의 차이점
교사 대 부모, 누구 선택이 더 학생 미래에 나은가

제7장 대량 미달 사태로 보는 공립 유치원의 비밀
공립 유치원 대량 미달 사태가 말해주는 것
공립 유치원 대량 미달 사태의 원인
공립 유치원 낮은 비용의 비밀
단설 유치원 좋은 시설은 얼마짜리일까
공립 교원 인건비가 빠져 있다
사립은 62만 원, 공립은 207만 원

제8장 붕괴 중인 공교육, 수요자 중심 대수술 시급하다
위기의 현주소: 잠자는 교실, 무너지는 교권
근본 원인: 공급자 중심의 낡은 틀
학교 vs. 학원: 극명한 현실 격차
예산은 충분, 문제는 시스템
대전환의 길: 수요자 중심 교육개혁 5대 과제
스웨덴, 덴마크도 하는 스쿨바우처 제도: 성공 사례와 시사점
국가수준 교육과정과 현장 적용의 자율성
공립·사립 유치원/학교 예산 제도와 학생 수의 관계
스웨덴, 덴마크 학생·학부모의 반응 및 사회적 영향
미래세대를 위한 공교육 혁신, 더 이상 선택 아닌 필수

제9장 거꾸로 간 K-유치원 바우처
교육 예산을 공립 학교로 주지 말고 학부모에 주자
한국 유아교육-보육 바우처의 구조
바우처 방식의 유아무상교육 도입 이후 나타난 변화
바우처의 이상에 비추어본 한국 유아교육 바우처의 현실
유아교육 바우처 제도를 둘러싼 오해들
바우처다운 바우처를 위한 제안

제10장 유보통합이라는 이름의 획일화
몬테소리 유치원을 통해 본 다양성 폭발의 원리
어린이집 확산도 자유화의 결과
무상보육+누리과정, 획일화의 시작
유보통합과 다양성, 획일성
어린이집이 열악한 이유: 보육료 규제
푸르니가 말해주는 어린이집 문제의 진실
다양성을 유지하는 통합 방안

미주

저자소개

김정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품격 경제 전문 채널인 [김정호의 경제 TV] 크리에이터이자 서강대학교 경제대학원 겸임교수로 활동하고 있다. 연세대학교 경제학과를 거쳐 1988년 미국 일리노이 대학에서 경제학 박사, 2003년에는 숭실대학교에서 법학박사를 받았다. 현재 연세대학교 경제대학원 특임교수로 있다. 자유기업원장, 대통령직속 사회통합위원회 이념분과의 민간위원, 규제개혁위원회 위원 등을 역임했다. 저서로는 《코로나 디바이드》 《대한민국 기업의 탄생》 《기적의 한국경제 70년사》 등 30권이 있다. 삼성그룹 사장단 회의, 삼성전자 최고임원 세미나를 비롯해 현대자동차그룹, 한화그룹, 농심, KB국민은행, 코오롱 등 기업에서 강의했다. 방송은 KBS 라디오 공감토론에 고정 출연(2015~2017), KBS 심야토론, MBC 100분 토론, SBS 시사토론, JTBC 밤샘토론, tvN 백지연의 끝장토론 등에 출연했다.
펼치기

책속에서

리더십이 아니라 팔로워십을 발휘해야 높이 올라가는데 한국인에게는 그것이 없다. 한국인은 1등부터 꼴찌까지 이어지는 줄을 늘 머리 속에 그려놓고 1등이 되기 위해 노력한다. 그리고 동료가 같이 일하고 싶은 사람보다는 상사가 원하는 사람이 되려고 한다. 혼자서는 일을 잘하지만 여럿이 같이 일하면서 동료들과 시너지를 내는 데에 매우 서툴다. 이것이 실리콘밸리에 한국인 CEO가 없는 이유라고 했다. 본인이 50명 그룹의 팀장을 할 수 있었던 것은 같이 일하더라도 동료들에게 더 많은 크레디트를 주었기 때문이라고 했다.
듣고 보니 나 자신이 정말 그렇게 살아왔다. 하지만 그것이 문제임을 알았다고 해서 익숙해져 있는 그 행동방식, 사고방식을 바꿀 수 없다. 아마 한국인 대부분 그럴 것이다. 대학생 나이만 돼도 고치기 어려울 것이다. 자녀가 글로벌화된 세계에서 잘 살아내길 원한다면 유치원 나이부터 교육법이 달라져야 한다. 가정에서도, 유치원, 학교에서도 교육법이 모두 달라져야 한다.
- 1장 실리콘밸리에 한국인 CEO가 없는 이유


이러한 역량들은 기존의 세계시민 교육에서 강조하는 환경 보호나 공정무역과 같은 ‘착한 시민’의 덕목을 넘어선다. 이는 급변하는 글로벌 환경 속에서 한국과 한국인이 성공적으로 생존하고 번영하며, 동시에 국제 사회와 조화롭게 공존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실질적인 능력들이다.
하지만 한국인의 모습은 그것과 거리가 멀다. 독립적 판단보다는 조직의 위계질서에 순응하는 걸 편하게 생각한다. 안전 지향적이고 내부 지향적이다. 과거 추격형 경제, 정답을 알던 경제에서는 한국인의 그런 속성이 잘 맞았다. 또 중국과 미국이 한국에 우호적이었을 때는 글로벌 역량 부족이 문제되지 않았다. 하지만 이제 세상이 완전히 달라졌다. 다르게 대응하지 않는다면 한국인은 커다란 낭패를 보게 된다. 스스로를 바꿔내야 한다. 그리고 스스로를 바꾸는 일은 유치원에서부터 시작할 수밖에 없다.

- 2장 벼랑 끝 대한민국, 새로운 인간형 절실하다


AI 혁명과 글로벌화로 급변하는 현대 사회에서 유치원 교육의 중요성은 더욱더 커지고 있다. 과거에는 기본적인 생활 습관을 형성하고 초등학교를 준비하는 것이 주된 역할이었다면, 이제는 미래사회가 요구하는 핵심역량의 기초를 다지는 출발점이다. 창의적 문제해결능력, 비판적 사고, 협업능력, 문화적 수용성 등이 이런 핵심역량에 해당한다. 유치원에서 아이들은 자유롭게 상상하고 탐구한다. 친구들과 새로운 놀이를 만들고 문제를 해결하며 미래역량의 씨앗을 틔운다.
- 4장 유치원에서 다 배우게 하자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889679989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