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근대기 동아시아의 언어 교섭

근대기 동아시아의 언어 교섭

유현경, 이한섭, 서상규, 김한샘, 야자와 마코토, 기무라 요시유키, 진력위, 장후천, 윤영민, 안예리, 이준환 (지은이)
한국문화사
2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2,000원 -0% 0원
1,100원
20,900원 >
22,000원 -0% 0원
0원
22,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근대기 동아시아의 언어 교섭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근대기 동아시아의 언어 교섭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기호학/언어학 > 언어학/언어사
· ISBN : 9788968173769
· 쪽수 : 272쪽
· 출판일 : 2016-05-30

책 소개

이 책의 연구 성과들은 근대기 동아시아의 언어 교섭이라고 하는 큰 틀에서 언어를 통해 한.중.일 삼국의 근대화 양상을 살펴보는 계기를 마련한 것이다. 동시에 언어가 국내외적인 시대성과 역사성을 아우르며 사회, 문화 전반에 걸친 탐구와 구명의 주체적인 대상임을 다시 한 번 확인한다.

목차

머리말

근대 동아시아의 언어교섭에 의한 한어의 의미변화 / 진력위
1. 서설
2. ‘식물.동물’에서 ‘부동산.동산’으로
3. ‘권리’와 ‘의무’와 ‘책임’
4. 유의(類義)어였던 ‘민주’와 ‘공화’
5. ‘재판’과 ‘심판’의 영역 구별
6. ‘일반심리학’ 아니면 ‘보통심리학’
7. 맺으며: 중일 의미개념의 보완

<漢城旬報>와 <漢城周報>를 통해 본 19세기말 한중일 삼국의어휘 교류 / 이한섭
1. 들어가며
2. <漢城旬報>와 <漢城周報>
3. <漢城旬報>와 <漢城周報>에 나오는 근대 신어 신개념
4. 나오면서

개화기 및 일제 강점기 영한사전의 미시 구조와 국어 어휘 및번역어 고찰 공통 표제어 대응 어휘를 중심으로 / 이준환
1. 들어가며
2. 5개 사전의 미시 구조
3. 공통 표제어, 대응하는 국어 어휘 및 번역어의 양상
4. 공통 표제어에 대응하는 국어 어휘 및 번역어의 특징
5. 나오며

신어사전에 나타난 근대 사회 문화 연구 / 김한샘
1. 머리말
2. 신어사전에 나타난 의생활 어휘
3. 의생활 어휘로 보는 근대 사회 문화
4. 맺음말

‘전기(電氣)’의 의미변천과 근대적 의의 A. 콩트의 ‘3단계 법칙’의 시점을 중심으로 / 장후천
1. 들어가며
2. ‘전기’에 관한 여러 가지 설
3. 일본어의 ‘전기’: ‘기’(?)와 ‘기’(器)사이에서의 혼동
4. 중국어의 ‘전기’에 관해서
5. 숨겨진 기준: 지식의 ‘3단계 법칙’의 응용
6. 나오며

근대적 주체로서의 ‘개인(個人)’의 개념화 과정 공기관계 분석을 중심으로 / 유현경·안예리
1. 번역어 ‘개인’을 통해 본 한·중·일 언어 접촉
2. 개념사 연구를 위한 말뭉치의 활용
3. ‘개인’과 유관 개념어의 공기관계 변화
4. ‘개인’의 개념적 변화 과정
5. 결론

근대문학에 나타난 본문의 변용에 대한 일고찰 <일독삼탄당세서생기질>(一讀三嘆當世書生氣質) 초간본과<소요선집>(逍遙選集) 본문의 자료성에 관하여/ 기무라 요시유키
1. 들어가며
2. <소요선집>의 개요
3. 초판본과 <선집>과의 본문의 이동(異同)
4. 나오며

20세기 초 명사절의 사용 양상문체 및 장르에 따른 분포 / 안예리
1. 연구 목적
2. 연구 자료
3. 전통적 문어체에서의 명사절의 쓰임
4. 20세기 초 명사절의 쓰임
5. 맺음말

메이지 이후 일본어 문법용어의 성립과 품사 분류표 / 야자와 마코토
1. 들어가며: 현행의 품사분류표의 구조
2. 한문법에서 국문류 문전으로의 용어 도입과 수정
3. 영문법에서 양학류 문전으로의 적응
4. 품사분류표의 성립
5. 끝으로: 크로스 분류의 실용성

개화기 일본인이 간행한 한국어 학습서의 문법 항목 연구 / 윤영민
1. 머리말
2. 선행연구
3. 학습서의 문법 항목 고찰
4. 맺음말

저자소개

이한섭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일본어 연구자로 1949년생. 전공은 근대일본어사, 어휘사, 한일어 어휘 관련사 등입니다. 1986년 일본국 오사카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귀국 후 중앙대학교 일어일문학과와 고려대학교 일어일문학과에서 강의와 연구를 해왔습니다. 또 오사카대학 연구교수, 국제일본문화연구센터 객원교수, 연변대학 외국인교수(중국) 등을 역임했습니다. 현재는 고려대학교 명예교수로 있습니다. 재직 중 90여 편의 논문과 20여 권의 단행본(이 중 4권은 일본에서 출판) 및 역서를 펴냈습니다. 최근에 낸 책으로는 《일본에서 들어온 우리말 어휘 5,800》(박이정출판사, 2022), 《알기쉽게 번역한 서유견문》(박이정출판사, 2021),《개화기 외국지명 표기사전》(고려대출판부, 2017), 《일본에서 온 우리말 사전》(고려대출판부, 2014) 등이 있습니다.
펼치기
서상규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전 연세대 언어정보연구원 원장 전 연세대 언어연구교육원 원장 연구 분야: 국어사, 통사론, 말뭉치언어학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졸업(1982년) 후, 같은 대학원에서 문학석사 학위(1984년),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1992년). 1988년~1993년 일본 동경외국어대학 조선어학과, 1993년~1995년 츠쿠바(筑波)대학의 문예언어학계 교수를 지내고 1995년 연세대학교 조교수로 부임하였다. 1995년~1996년 한국어 능력 시험(현재 TOPIK)을 위한 기초 연구와 모형 개발에 참여했으며, 1998년~2007년 문화관광부의 21세기 세종계획 국어정보화 기반 구축 사업의 국어 특수자료 구축 분과의 책임을 맡아서 한국어 구어 전사 말뭉치 과제를 수행하는 한편, 같은 기간 동안에 이루어진 한국어 해외 보급 사업에 참여하여,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학습 사전』 등을 개발하였다. 2021년부터 2023년까지 국립국어원의 『기초 어휘 선정 및 어휘 등급화 연구』 사업의 책임을 맡아서 1~5등급의 기초 어휘 선정을 수행하였다. 『국어정보학입문』(공저 1998), 『한국어 구어 연구(1, 2)』(공편 2002, 2005), 『한국어교육과 학습사전』(2003),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학습 사전』(공저 2004, 2006), 『한국어 구어 말뭉치 연구』(공저 2013), 『한국어 기본어휘 연구』(2013), 『한국어 구어 빈도 사전(1, 2)』(2015), 『한일대역 한국어 기본어휘 의미빈도 사전』(2017, 2019개정), 『최현배의 우리말본 연구(1, 2)』(2017, 2018), 『현대 한국어 어휘 빈도 사전(1, 2)』(2023) 등의 저서와, 한국어 어휘 문법 연구, 말뭉치언어학과 국어정보학, 학습 사전 편찬, 한국어 기본어휘 등과 관련된 논문을 발표하였다.
펼치기
김한샘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학교 언어정보학 협동과정에서 석박사 학위를 받았다. 2002년부터 국립국어원에서 학예연구사, 학예연구관을 거치며 언어정보화 정책 연구를 수행하였다. 현재 연세대학교 언어정보학 협동과정 부교수로, 2014년에 임용되어 주임교수로서 대학원 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연세대 언어정보연구원의 부원장과 한국코퍼스언어학회의 부회장을 맡아 연구 활동을 하고 있으며, 연구 영역은 말뭉치 언어학, 사전 편찬학, 자연 언어 처리, 한국어 교육 정보학 등에 걸쳐 있다. 최근에는 특히 UD(Universal dependency), AMR(Abstract Meaning Representation) 등의 다국어 리소스 구축, 인공지능의 언어 능력 평가 연구에 집중하고 있다. ARL(Asia Language Resource), DMR(Design Meaning Representation Workshop)의 프로그램 위원, COLING(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mputational Linguistics) 프로그램 체어 등을 역임하였다. 대표 연구 말뭉치 언어학 분야 「말뭉치에 기반한 공간 명사의 의미 변화 연구」(2006), 「말뭉치 기반 한국어 연구의 현황과 전망」(2019), 「통시 말뭉치에 기반한 언어 변화 연구」(2020) 사전 편찬학 분야 「신어사전(1934)의 구조와 근대 신어의 정착 양상」(2014), 「모던조선외래어사전의 인문언어학적 연구」(2014), 「조선말대사전(2017)의 거시 구조 분석」(2020) 자연 언어 처리 분야 「Enhancing Universal Dependencies for Korean」(2018), 「Copula and Case-Stacking Annotations for Korean AMR」(2019), 「Analysis of the Penn Korean Universal Dependency Treebank」(2020) 한국어 교육 정보학 분야 「한국어 튜터링 챗봇을 위한 말뭉치 구축의 필요성과 방법론」(2017), 「딥러닝 언어모델의 한국어 학습자 말뭉치 원어민성 판단 결과 분석 연구」(2021), 「챗봇 빌더를 활용한 한국어교육용 챗봇 설계 연구」(2022)
펼치기
야자와 마코토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일본 쓰쿠바(筑波)대학교 인문사회계 교수. 일본어학 전공. 「抽象名詞主題文硏究の意義―作文を支援する語彙・文法的硏究の觀點から―」(2014), 「明治以降日本語の文法用語の成立と品詞分類表」(2015) 외 다수의 논문과 저서를 발표.
펼치기
기무라 요시유키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일본 게이오기주쿠(慶應義塾)대학교 일본어·일본문화교육센터 교수. 일본어학 전공. 「敬語接尾辭「さん」「さま」の用法再考」(2014), 「近代文學における本文の變容をどのように考えるか―‘一讀三嘆當世書生氣質’初刊本と‘逍遙選集’本文の資料性について―」(2015) 외 다수의 논문과 저서를 발표.
펼치기
진력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일본 세이조(成城)대학교 경제학부 교수. 중일대조언어학, 중일언어교섭사, 일본어사 전공. 「英華辭典と英和辭典との相互影響-20世紀以降の英和辭書による中國語への語彙浸透を中心に-」(2012), 「近代日本漢語の形成と中國語-漢譯‘萬國公法’から和譯<國際法>へ」(2013) 외 다수의 논문과 저서를 발표.
펼치기
장후천 (지은이)    정보 더보기
중국 동화(東華)대학교 일본어학과 교수. 일본어학 전공. 「新編日語讀解敎程(第一冊)學生用」(2013), 「新編日語讀解敎程(第一冊)敎師用」(2014), 「‘電氣’の意味變遷と近代的な意義―A.コントの‘三段階の法則’の視點を中心に―」(2015) 외 다수의 논문과 저서를 발표.
펼치기
윤영민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언어정보연구원 HK연구교수, 일본어학 전공. 「개화기 일본인이 간행한 한국어 학습서의 문법 항목 연구」(2015), 「「繪入智慧の環」연구-初編 上下권을 중심으로-」(2016) 외 다수의 논문 발표.
펼치기
안예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세종대학교 교양학부 초빙교수. 국어학 전공. 「20세기 초기 종결어미의 분포와 용법 -표기체와 사용역을 중심으로-」(2014), 「“-단”과 “-다는”의 관계에 대한 재고찰 -“-단”의 역사적 발달과정을 중심으로-」 외 다수의 논문과 저서를 발표.
펼치기
이준환 (지은이)    정보 더보기
창원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국어음운사 전공. 「‘隨喜功德歌’(普賢十願歌 제5) 解讀」(2014), 「≪訓蒙字會≫ 註釋에서 볼 수 있는 중세국어 한자음의 모습」(2015) 외 다수의 논문과 저서를 발표.
펼치기

책속에서

근대 동아시아의 언어교섭에 의한한어의 의미변화
진력위

1. 서설

근대 일본에 있어서 ‘철학, 상징, 과학, 실학’처럼 메이지(明治) 지식인이 다양한 고안을 통해 서양 개념에 대한 새로운 번역어를 만들었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다. 특히 후쿠자와 유키치(福?諭吉) 등의 유명인을 예로 들며 번역어의 創出과 관련한 이야기를 써내는 글도 많았다. 그리고 대중 매체는 번역어 이야기를 다음과 같이 설명하는 일이 많다.
근대의 번역어를 만든 사람들은 한문에 대한 소양이 있고 서양의 외래 개념을 충분하게 파악한 후에 가장 적절한 한어역(漢語譯)을 내놓았다. 그리고 그렇게 번역된 단어는 일본인에게 있어 일상생활에서 빼놓을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중국에도 수출되어서 중국과 일본의 공통어로도 사용되고 있다.
이런 설명은 근대의 번역어에 관해서는 일방적으로 일본어에서 중국어로 흘러갔다는 인상을 사람들에게 주게 되었다.
하지만, 일본 역사가 하라다 게이이치(原田敬一)는 ‘일본에서 구미(?米) 문화를 소화하고, 번역어를 만들고, 청나라나 한국 등의 한자문화권에 수출하고 있었다는 사실만 너무 이야기되고 있다.’고지적한다. 미국의 국제법학자가 쓴 저작을 한역(漢?)한 <만국공법>(万國公法)의 법률용어 등이 현재 일본에서도 사용되고 있는 사실에서도 알 수 있듯이 문명이나 문화는 ‘쌍방향성’이라는 관점에서 유의할 필요가 있다.
근대 일본에서 사용되는 번역어는 단순히 일본에서만 만들어진 것이 아니라 중국을 경유하여 근대 개념을 받아들였다는 루트도 확실히 있었기 때문이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