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서양사 > 서양사일반
· ISBN : 9788970135342
· 쪽수 : 621쪽
· 출판일 : 2005-10-25
책 소개
목차
- 프롤로그 / 대중독재의 매력 : 김용우
1. 정치의 신성화와 동의의 생산
1. 정치 종교와 시민 종교
1) 정치의 신성화 / 에밀리오 젠틸레
2) 시민 종교의 지적 계보 - 플라톤에서 로크까지 / 조승래
3) 종교로서의 공산주의 / 마르친 쿨라
2. 파시즘과 나치즘
1) 이탈리아 파시즘과 영적 혁명 / 로버트 말렛
2) 무솔리니 사상에 나타난 종교와 정치 문화 / 디디에 뮈지들라크
3) 시간과 적법성 - 독일 양대 독재의 시간 감각에 대한 비교 고찰 / 마르틴 자브로
3. 동아시아
1) 가족주의, 사회주의, 북한의 정치 종교 / 찰스 암스트롱
2) 독재와 상징의 정치 / 나치즘과 일본 파시즘의 정치 종교 / 나인호, 박진우
2. 헤게모니와 동의의 문화
1. 대중 매체와 동원의 미학
1) 식민 후기 조선의 시각 문화에 나타난 전체 동원의 미학 / 마이클 김
2) 두 가지 유형의 선전, 선동 - '제3국'과 동독에서의 대중 매체 방송으 의미에 대한 고찰 / 크리스토프 클라센
2. 민족주의, 인종주의
1) 고삐 풀린 세대 - 제국보안사령부 지휘부에 관한 연구 / 미하엘 빌트
2) 민족 문제와 폴란드 공산주의 체제의 전술 - 유대인 정책 / 펠릭스 티흐
3) 제국적 내셔널리즘과 소수자들에 대한 비교의 전망 / 사카이 나오키
3. 영웅 숭배
1) '제3제국'에서의 영웅화와 악마화 / 피터 램버트
2) 항공 영웅들과 독재 체제하의 민족사 - 포르투칼과 리투아니아 / 리나스 에릭소나스
3. 한국의 대중독재 논쟁 - 진보 담론인가 보수 담론인가
1. 박정희 시대의 강압과 동의 - 지배, 전통, 강압과 동의의관계를 다시 생각한다 / 조희연
1) 들어가는 말
2) 대중독재론과 일상사의 문제의식에 대한 평가
3) '지배에서 강압과 동의'를 분석하기 위한 이론 틀
4) 한국 현대사 분석
5) 맺는 말
2. 대중독재와 포스트 파시즘 - 조희연 교수의 비판에 부쳐 / 임지현, 이상록
1) 냉전 담론과 '악마론'
2) '혐의'의 정치학과 '오독'의 논리학
3) 박정희 체제의 '동의'에 대한 재해석
3. 박정희 체제의 복합성과 모순성 - 임지현 등의 반론에 대한 재반론 / 조희연
1) 임지현, 이상록에 대한 총괄적 재반론
2) 근대 독재 권력으로서 박정희 독재의 복합적 모순성
3) 박정희 파시즘의 유산을 둘러싼 현대적 투쟁
4. 대중독재와 외세의 관계 중요......실증 없이 주장만 대립 / 박태균
5. 대중독재 논쟁과 시민적 진보의 길 - 동원의 시대를 넘어서 / 이병천
6. 대중독재와 기억의 정치학 - 조희연, 박태균, 이병천의 비판에 답한다 / 임지현
1) 들어가는 말
2) 실사구시
3) 강제와 동의 / 지배와 저항
4) 헤게모니의 과잉 / 과소 인식
5) 파시즘의 보편성과 유신 독재의 특수성
6) 근대와 탈근대
7) 아렌트와 과거 청산
8) 맺는 말
7. 탈구조적 비평으로는 복잡한 현실 해명 못해 / 조희연
1) 포스트 독재 담론 대 혁신 반독재 민주 담론
2) 포스트 독재 담론의 양가성
3) 대중독재오 탈민족주의
4) 박정희 독재는 일정한 동의에도 불구하고 실제 폭압적이었으며 불안정했다
5) 독일이나 일본과 달리 한국이 독재의 헤게모니 균열과 극복의 보편적 사례일 수 있다
6) 성찰적 과거 청산과 제도적 과거 청산의 관계
- 에필로그 / 대중독제 테제 - 임지현
- 찾아보기
책속에서
정치의 신성화 개념은 전통적 종교들을 정치적으로 동원하는 것이 아니라 종교적 관습을 세속적 목적에 부합시킨 근대적 정치 이데올로기와 운동에 적용된다. 정치의 신성화는 정치의 이상이 그 지지자들에 의해 인식되고 경험되고 표상되는 방식에서, 그리고 적들과 적대적인 이상들에 대한 이들의 태도뿐 아니라 이들의 삶의 방식에서 명확히 드러난다.
정치의 신성화의 핵심은 세속적 실제의 신성화로서, 이 실제는 믿음, 계율이 형성.배열되는 구심점이며, 개인을 공동체에 결속시키는 근본적인 도덕적 요소를 제공한다. - 본문 42쪽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