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한국의 美를 다시 읽는다

한국의 美를 다시 읽는다

(12인의 미학자들을 통해 본 한국미론 100년)

권영필, 유홍준, 조선미, 최열, 이인범, 민주식, 조은정, 이주형, 김임수, 박영숙 (지은이)
돌베개
2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8,000원 -10% 0원
1,000원
17,000원 >
18,000원 -10% 2,500원
0원
20,5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한국의 美를 다시 읽는다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한국의 美를 다시 읽는다 (12인의 미학자들을 통해 본 한국미론 100년)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미술 > 미술사
· ISBN : 9788971992241
· 쪽수 : 332쪽
· 출판일 : 2005-10-10

책 소개

'한국의 미(美)'에 대한 지난 1세기간의 연구 성과를 총체적으로 살펴보고, 한국미 논의의 가치와 한계, 과제를 조망한 책이다. 안드레 에카르트와 고유섭으로부터 시작해 지난 2002년 생을 마감한 조요한 선생까지 총 12명의 미학자들과 그들의 한국미론을 소개한다.

목차

저자의 글 - 권영필
발간의 글 - 이영수
프롤로그 - 한국미의 원형을 찾아서

안드레 에카르트 : 유연함에 숨겨진 고전적 조화, 단순미와 소박한 아름다움 (권영필)
한국미술에 대한 최초의 책 『에카르트의 조선미술사』 | 동아시아 미술의 중요성에 눈뜨다 | 한국미술사와 미론에 대한 유럽인의 인식 | 미술의 본질은 ‘삶을 바탕으로 한 것’에 존재한다 | 한국미의 고전적 특질, 치우치지 않은 균형감과 평온함 | 한국미에서 ‘단순’의 함축성을 읽다 | 독자적 미 체계 구축의 필요성 * 안드레 에카르트를 사로잡은 한국의 미

고유섭 : 적요함의 유모어, 구수한 큰 맛 (김임수)
‘현상적 근본’에서 한국미의 특색을 찾다 | 한국미술의 미적 취향 | 한국미술의 미적 가치이념, ‘자연’.‘예술’.‘인간’의 결합 | 한국미술의 미적 특질, 모순의 조화 | 고유섭이 본 한국미의 특색 * 고유섭을 사로잡은 한국의 미

야나기 무네요시 : 영원한 미, 조선의 선線에서 발견되다 (이인범)
『조선과 그 예술』 | 초기의 ‘한국미’관, ‘비애미’론 | 민족 정체성 문제로 제기된 ‘한국미’론 | 한국예술에서 싹트는 야나기 무네요시의 민예론 | ‘한국미’론의 가능성과 한계 * 야나기 무네요시를 사로잡은 한국의 미

김용준 : 담백하고 청아한 멋, 소규모의 깨끗한 맛 (최열)
한 세기를 풍미한 문사철 겸전의 지성인 | 근원 김용준의 삶 | 조선의 마음, 조선의 빛이 어떠한 것인가 | 이 소규모의 깨끗한 맛이, 진실로 속이지 못할 조선의 마음 | 구수하고, 시원스럽고, 어리석고, 아담하다 | 감각의 체험으로 탐구해야 할 ‘예지와 진실’의 영역 * 김용준을 사로잡은 한국의 미

윤희순 : 힘의 약동에서 청초미淸楚美로의 여정 (최열)
영민하고 강직한 진보 민족주의자 | 민족미술을 탐구한 생애의 절정 | 조선 향토색의 본질을 희구하다 | 조선정조는 ‘마음’에서 우러나는 감정의 발로 | 조선미학의 핵심, 색채에서 찾아낸 ‘청초’ | 미지의 꿈으로 남은 신미술의 미래상 * 윤희순을 사로잡은 한국의 미

세키노 타다시 : 일제강점기, 조선고적조사사업과 조선고적도보 발간의 명과 암 (조선미)
한국미 연구의 태동기, 일인관학자들이 주는 의미 | ‘조선고적조사사업’과 『조선고적도보』 발간의 명암 | 『조선미술사』에 담긴 세키노의 미의식 | 일인관학자들의 자기모순적 태도 | 멸시와 상찬의 경계에서 한국미를 논하다 * 세키노 타다시의 『조선미술사』에 담긴 한국 미술

에블린 맥퀸 : 내핍耐乏에서 발원한 선과 형태의 미 (조은정)
가까이서 본 한국현대사의 질곡 | 전통과 현대를 살다 | 빈자의 미학에 대한 경의 | 세련과 조잡의 두 극단에서 | 선과 형, 양식의 문제인가 정신의 문제인가 | 소박한 신화와 피폐한 생활의 혼재에서 | 세련과 조잡은 정치적 상황에 따른 미술의 평가 * 에블린 맥퀸을 사로잡은 한국의 미

디트리히 젝켈 : 즉흥적이고도 시원한 활력이 한국예술의 묘미 (박영숙)
디트리히 젝켈과 동양미술 | 한국미를 파악하기 위한 분석적 방법론 | 양식론과 비교론으로 분석하다 | 범아시아 문화권에서 한국미를 객관화 | 젝켈의 미론으로 해석된 석굴암의 조각상들 * 디트리히 젝켈을 사로잡은 한국의 미

최순우 : 무심스럽고 어리숭한 둥근 맛, 풍아의 멋 (권영필)
문학청년 최순우의 미술사학 입문 | 고유의 언어로 조선의 미를 말하다 | 도자와 목공예품에 대한 예찬 | 한국미를 함축한 독창적이고 풍부한 어휘 | 진리와 풍아와 아름다움 | 한국미 속에 내재한 상반된 미적 감정 * 최순우를 사로잡은 한국의 미

김원용 : 미추를 초월한, 미 이전의 세계 (이주형)
한국의 미는 자연의 미 | 한국미술의 시대별 성격 | 시대를 통관하는 한국의 미 | 자연주의와 그 배경 | ‘한국적’이라는 관형어와 자연미의 용어 문제 * 김원용을 사로잡은 한국의 미

이동주 : 전통 동양화론에 입각한 당대의 감식안 (유홍준)
정치학자 이용희와 미술사가 이동주 | 동주의 한국회화사 저술 | 미술사의 출발은 실제 작품에서 해야 한다 | 한 시대의 뛰어난 감식가, 탁월한 안목 * 이동주를 사로잡은 한국의 미

조요한 : 한국예술의 성격은 ‘비균제성’과 ‘자연순응성’ (민주식)
서구 미학이론과의 접목 | 한국미의 이원적 구조, 신바람과 질박미 | ‘한’과 ‘해학’의 미에 주목하다 | 계몽을 선도한 리버럴리스트 * 조요한을 사로잡은 한국의 미


에필로그 - 한국미 논의의 현실과 과제
도판목록
찾아보기

저자소개

권영필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41년생으로, 서울대 미학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했다. 국립중앙박물관 학예연구사를 거쳐, 파리 3대학에서 미술사를 수학, 독일 쾰른 대학에서 철학박사학위를 받았다. 중앙아시아학회와 한국미술사학회 회장을 역임했고, 영남대, 고려대 교수를 거쳐, 한국예술종합학교 미술원 교수로 정년퇴임했다. 그 후 상지대학교 초빙교수로 재임했다. 현재 아시아뮤지엄연구소 대표로 활동하고 있다. 저서로 『실크로드 미술』(1997), 『미적 상상력과 미술사학』(2000), 『렌투스 양식의 미술』(2002), 『왕십리 바람이 실크로드로 분다』(2006), 『문명의 충돌과 미술의 화해』(2011), 『실크로드의 에토스: 선하고 신나는 기풍』(2017)이 있고, 역서로 『중앙아시아 회화』(1978), 『돈황』(1995) 등이 있다.
펼치기
유홍준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49년 서울 서촌에서 태어나 중동고, 서울대 미학과, 홍익대 대학원 미술사학과(석사), 성균관대 대학원 동양철학과(박사)를 졸업했다. 1981년 동아일보 신춘문예 미술평론으로 등단한 뒤 미술평론가로 활동하며 민족미술협의회 공동대표와 제1회 광주 비엔날레 커미셔너 등을 지냈다. 1985년부터 2000년까지 서울과 대구에서 젊은이를 위한 한국미술사 공개강좌를 개설하고, ‘한국문화유산답사회’를 이끌었다. 영남대 교수 및 박물관장, 문화재청장, 한국학중앙연구원 이사장을 역임했으며, 명지대 미술사학과 교수 정년퇴임 후 석좌교수로 있다. 저서로 『나의 문화유산답사기』(국내편 1~12, 일본편 1~5, 중국편 1~3), 『국토박물관 순례』(1·2), 평론집 『다시 현실과 전통의 지평에서』, 미술사 저술 『조선시대 화론 연구』 『화인열전』(1·2) 『국보순례』 『명작순례』 『유홍준의 한국미술사 강의』(1~6) 『추사 김정희』 등이 있다. 제18회 만해문학상(2003) 등을 수상했다.
펼치기
조선미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외교학과(미학 부전공)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대 학원에서 미학 전공으로 철학석사학위를, 홍익대학교 대학원 에서 미술사 전공으로 문학박사학위를 받았다. 일본 도쿄대학 문학부 방문학자, 문화재청 문화재위원, 미술사학연구회 회장, 성균관대학교 박물관장 등을 역임했다. 제5회 又玄賞, 제10 회 월간미술대상을 수상했다. 성균관대학교 예술대학 교수를 거쳐 현재 명예교수이다. 『한국초상화연구』, 『화가와 자화상』, 『초상화연구 - 초상화와 초상화론』, 『한국의 초상화 - 形과 影의 예술』, 『왕의 얼굴 - 한국, 중국, 일본의 군주초상화』 등의 저서가 있다.
펼치기
최열 옛 그림으로 본 서울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56년생. 미술사학자 젊은 날 미술 운동에 전념한 뒤 나머지 생애를 한국미술사 연구에 몰두했다. 누구도 한국 근대미술에 제대로 된 관심을 기울이지 않았을 때 그는 직접 땅을 일구고 씨를 뿌려 연구의 터를 만들었다. 그는 개척자인 동시에 실행자였다. 1993년에는 한국근대미술사학회를, 2005년에는 인물미술사학회를 창립했다. 그는 치열하며 집요한 학자다. 수십 년에 걸쳐 펴낸 무수히 많은 저작이 그의 족적을 드러낸다. 그의 책들은 세월이 흐른 뒤에도 한국미술사에 관심 갖는 이들에게 유용한 참고문헌이다. 지난 30여 년 가까이 몰두해온 한국미술 연구를 집성하여 출간한 『옛 그림으로 본 서울』을 시작으로 『옛 그림으로 본 제주』를 펴내 조선 실경을 통해 우리 산하를 돌아보는 방대한 여정에 나선 뒤, 독자들의 뜨거운 관심에 힘을 입어 『옛 그림으로 본 조선 1-금강』, 『옛 그림으로 본 조선 2-강원』, 『옛 그림으로 본 조선 3- 경기· 충청· 전라· 경상』을 함께 출간하기에 이른다. ― 그가 펴낸 책은 무수히 많으나 그 가운데 몇 권을 꼽자면 『한국근대사회미술론』 , 『한국현대미술운동사』 , 『한국근대미술의 역사』 , 『한국현대미술의 역사』 , 『미술과 사회』 , 『화전』 , 『김복진:힘의 미학』 , 『이중섭 평전』 ,『미술사 입문자를 위한 대화』(공저), 『추사 김정희 평전』 , 『이중섭, 편지화』 등이 있다. ― 그동안 그의 저작들은 대한민국학술원, 문화예술진흥원, 문화체육관광부 등의 우수도서로 선정되었고, 한국미술 저작상, 간행물문화대상, 월간미술대상, 정현웅연구기금 등을 받았다. 가장 최근에는 『옛 그림으로 본 서울』로 제4회 혜곡 최순우상을 수상했다.
펼치기
이인범 (지은이)    정보 더보기
지은 책으로 <조선예술과 야나기 무네요시>, <한국의 미를 다시 읽는다> 등이 있다.
펼치기
민주식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일본 동경대학교 대학원 미학예술학 전문 과정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영남대학교 미술학부 및 대학원 미학미술사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한국 미학 및 비교 미학을 주로 연구했고, 근래에는 동아시아 예술 문화의 현대적 조명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저서로 『아름다움 그 사고와 논리』, 『동서의 예술과 미학』, 『동아시아의 언어, 문화, 예술』 등이, 역서로 『그리스 미술 모방론』, 『미술의 해석』, 『비교미학연구』 등이 있다.
펼치기
조은정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이화여대 미술사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고려대학교 디자인조형학부 초빙교수로 재직 중이다.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 회장 등을 역임하였고, 한국미술평론가협회 회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2023서울국제조각페스타, 2022재현과 재현전 등의 전시감독을 맡았다.
펼치기
이주형 (옮긴이)    정보 더보기
미국 캘리포니아 대학(버클리)에서 미술사학 박사학위를 받고, 1992년부터 서울대학교 고고미술사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세계적으로 저명한 간다라 미술 전문가이며, 버클리 대학의 누마타 불교학 초빙교수와 프린스턴의 고등연구소(Institute for Advanced Study)의 연구원(member)을 지냈다. 저서로 『아프가니스탄, 잃어버린 문명』(2004), 『인도의 불교미술』(2006), 『동아시아 구법승과 인도의 불교미술』(공저, 2008) 등이 있으며, “Presenting the Buddha: Images, Conventions, and Significance in Early Indian Buddhism”(2013), “Seeing Maitreya: Aspiration and Vision in an Image from Early-Eighth Century Silla”(2013), “Reading Coomaraswamy on the Origin of the Buddha Image”(2010), 「인문학으로서의 미술사학: 반성과 모색」(2010), 「종교와 미학 사이: 불상 보기의 종교적 차원과 심미적 차원」(2007) 등 다수의 인도미술과 불교미술 관련 논문이 있다.
펼치기
김임수 (지은이)    정보 더보기
2005년 현재 계명대 미술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펼치기
박영숙 (지은이)    정보 더보기
2005년 현재 영국 런던대학 동양미술사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펼치기

책속에서

김용준은 조선의 아름다움을 '고담', '청아', '한아'로 요약했는데 앞서 '장한'까지 포함하면 네 가지이다. 장한이 유장함과 여유를 뜻하는 말이라면 고담은 말고 맑음이란 뜻이고, 청아는 맑고 산뜻함을, 한아는 여유와 우아함을 뜻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 모든 개념들은 정신 요소라고 규정했다. -- 본문 110쪽에서


"익살의 아름다움은 한국의 회화, 조각, 공예, 건축 등 모든 분야에서 흔히 느껴지는 즐거움이다. 그러나 그 익살스런 표현은 민중적인 경향으로 표현된 조선시대의 도자기, 민화, 자수 등에서 더 자주 다루어졌고, 그런 경우에 그 효능이 가장 자연스럽게 드러났다. ... 사물 표현에서 대담한 생략과 왜곡과 과장을 자연스럽게 다룬 솜씨와 둥근 것이 지니는 좌우대칭에 대한 무신경, 그리고 이지러진 둥근 맛이 주는 공간미 등은 한국 공예에 나타나는 두드러진 익살의 세계이다." -- 본문 227쪽에서


한국미를 도출해내기 위한 에카르트의 대상 선택은 남다른 면이 있다. 특별히 그가 건축에 대해 주시하고 있음은 눈여겨 볼 필요가 있다. 건축이 미술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하는 이유는 미술의 본질이 '삶을 바탕으로 한 것'에 존재한다는 그의 미학에 근거한다. 그리하여 그는 건축 중에서도 일상생활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는 일반주택을 첫 대상으로 꼽고 있다. 초가집을 포함한 서민주택을 한국미의 담지자(擔持子)로 인식하는 그의 적극적인 해석 태도는 오늘날 크게 주목해야 할 대목이다. 건축의 외양과 구조적 세부를 관찰하여 그것이 소박하면서도 고전적 균제미를 갖추고 있음을 밝혀내고 있다. -- 본문 38쪽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