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아시아사 > 중앙아시아사
· ISBN : 9788958281955
· 쪽수 : 284쪽
· 출판일 : 2006-11-15
책 소개
목차
책을 내면서 | 김호동
실크로의 개념과 그 확대 | 정수일
실크로드 무역이 한 지역사회에 미친 영향
: 500~800년 투르판 오아시스 | 벨러리 핸슨
신 출토자료에 나타난 소그드 복식 | 김용문
누란, 영반 유적지 출토 한진 시대 '명의'의 고고학적 의의 | 위즈용
당대 불교적 세계지리와 '호'의 실태 | 모리야스 다카오
간다라 미술과 경전상의 자료
: 고행불상과 <랄리타비스타라>, <카루나푼다리카> | 이주형
중앙아시아 불교의 관상 수행 : 문헌과 미술 자료 | 야마베 노부요시
16세기 말 이후 몽골 불교의 확산과 전개 | 이명래
부록 : 논평 | 권영필
저자소개
책속에서
어떤 문화적 요소가 한 지역에서 멀리 떨어진 다른 지역으로 옮겨갈 때 진공 포장된 상태로 전달되는 법은 없으며, 그것이 경유하는 지역들에서 변용되고 가공되는 과정을 거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 변용과 가공의 과정이 밝혀지지 않으면 문화전파의 실상을 올바로 이해할 수 없음은 자명하기 때문에, 우리는 그 '현장'을 정확하게 이해하지 않으면 안 되는 것이다. 따라서 실크로드 연구는 실크로드의 주된 무대였던 중앙아시아라는 역사 현장에 대한 철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해야 할 것이다.
이 책은 실크로드의 무대에 살았던 사람들이 영위한 일상적 삶의 구체적 양상과, 그들의 정신세계를 지배했던 종교의 양태를 살펴보고있다. 중앙아시아에서 출토된 문헌과 유물에 기초한 필자들의 치밀한 연구를 통해, 우리는 분명 실크로드라는 역사의 현장에 한걸음 더 가깝게 다가갈 수 있을 것이다. - '책을 내면서'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