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실크로드의 삶과 종교

실크로드의 삶과 종교

이평래, 이주형, 밸러리 핸슨, 김용문, 위즈용, 모리야스 다카오, 정수일, 야마베 노부요시 (지은이), 중앙아시아학회 (엮은이)
사계절
1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실크로드의 삶과 종교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실크로드의 삶과 종교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아시아사 > 중앙아시아사
· ISBN : 9788958281955
· 쪽수 : 284쪽
· 출판일 : 2006-11-15

책 소개

'동서문명의 가교'라 불리는 실크로드 연구는 지금껏 '가교'라는 측면에 지나치게 강조되어 동과 서를 중심축으로 한 '교류'에만 치중했다. 반면 그 같은 교류가 이루어지는 역사현장은 오히려 부차적인 존재로 밀려났다. 그동안 조연에 머물렀던 실크로드 사람들의 삶과 정신세계를 복원함으로써, 실크로드라는 역사적 현장의 실체에 더욱 다가서게 해준다.

목차

책을 내면서 | 김호동

실크로의 개념과 그 확대 | 정수일

실크로드 무역이 한 지역사회에 미친 영향
: 500~800년 투르판 오아시스 | 벨러리 핸슨

신 출토자료에 나타난 소그드 복식 | 김용문

누란, 영반 유적지 출토 한진 시대 '명의'의 고고학적 의의 | 위즈용

당대 불교적 세계지리와 '호'의 실태 | 모리야스 다카오

간다라 미술과 경전상의 자료
: 고행불상과 <랄리타비스타라>, <카루나푼다리카> | 이주형

중앙아시아 불교의 관상 수행 : 문헌과 미술 자료 | 야마베 노부요시

16세기 말 이후 몽골 불교의 확산과 전개 | 이명래


부록 : 논평 | 권영필

저자소개

이평래 (옮긴이)    정보 더보기
몽골 과학아카데미 역사연구소에서 몽골 근대사로 역사학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한양대와 한국외대 강사를 역임하고 한국외국어대 중앙아시아연구소 연구교수로 재직 중이다. 한국의 대표적인 몽골 연구자로 최근에는 몽골 역사뿐 아니라 신화와 종교 등 몽골의 정신문화에도 많은 관심을 기울이며 활발한 연구 활동을 펼치고 있다. 《실크로드의 삶과 종교》, 《중앙아시아의 역사와 문화》, 《중국 역사가들의 몽골사 인식》, 《오류와 편견으로 가득한 세계사 교과서 바로잡기》, 《중국 학자들의 소수민족 역사 서술》, 《아시아의 죽음 문화: 인도에서 몽골까지》 등 20여 권을 공동 저술하고, 《몽골 민간 신화》, 《몽골의 종교》, 《중앙유라시아의 역사》, 《몽골 신화의 형상》, 《몽골의 역사》 등을 우리말로 번역했으며, 몽골 및 중앙아시아사에 관한 논문 40여 편을 발표했다.
펼치기
이주형 (지은이)    정보 더보기
미국 캘리포니아 대학(버클리)에서 미술사학 박사학위를 받고, 1992년부터 서울대학교 고고미술사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세계적으로 저명한 간다라 미술 전문가이며, 버클리 대학의 누마타 불교학 초빙교수와 프린스턴의 고등연구소(Institute for Advanced Study)의 연구원(member)을 지냈다. 저서로 『아프가니스탄, 잃어버린 문명』(2004), 『인도의 불교미술』(2006), 『동아시아 구법승과 인도의 불교미술』(공저, 2008) 등이 있으며, “Presenting the Buddha: Images, Conventions, and Significance in Early Indian Buddhism”(2013), “Seeing Maitreya: Aspiration and Vision in an Image from Early-Eighth Century Silla”(2013), “Reading Coomaraswamy on the Origin of the Buddha Image”(2010), 「인문학으로서의 미술사학: 반성과 모색」(2010), 「종교와 미학 사이: 불상 보기의 종교적 차원과 심미적 차원」(2007) 등 다수의 인도미술과 불교미술 관련 논문이 있다.
펼치기
밸러리 핸슨 (지은이)    정보 더보기
예일대학 역사학과 교수.
펼치기
김용문 (지은이)    정보 더보기
원주대학 의상디자인과 교수.
펼치기
위즈용 (지은이)    정보 더보기
신강문물고고연구소 부소장.
펼치기
모리야스 다카오 (지은이)    정보 더보기
오사카대학 대학원 문학 연구과 교수.
펼치기
정수일 (옮긴이)    정보 더보기
1934년 중국 연변에서 출생해 연변고급중학교와 베이징대학 동방학부를 졸업했다. 중국 국비유학생 1호로 선발되어 이집트 카이로대학 인문학부에서 수학했고, 중국 외교부 및 모로코 주재 대사관에서 근무했다. 이후 북한으로 귀국하여 평양국제관계대학 및 평양외국어대학 교수를 지냈고, 뛰니지 뛰니지대학 사회경제연구소 연구원 및 말레이시아 말레이대학 이슬람아카데미 교수로 있었다. 1984년 아랍계 필리핀인 ‘깐수’라는 이름으로 한국에 입국하여 단국대학 대학원 사학과 박사과정을 수료하고 같은 대학 사학과 교수로 있던 중, 국가보안법 위반 혐의로 복역하고 2000년 출소했다. 출소 후 문명교류학 연구자로서 학술답사와 강의·연구·집필에 전념하는 한편 종횡 세계일주를 수행했다. 사단법인 한국문명교류연구소를 설립하고 소장을 맡았으며, 21세기민족주의포럼을 결성하고 제3대 세계실크로드학회 회장을 역임하는 등 왕성한 활동을 이어가던 중에 2025년 숙환으로 별세했다. 주요 저서로 『신라·서역교류사』 『세계 속의 동과 서』 『기초아랍어』 『실크로드학』 『고대문명교류사』 『문명의 루트 실크로드』 『이슬람문명』 『문명교류사 연구』 『소걸음으로 천리를 가다』 『한국 속의 세계』(상·하) 『실크로드 문명기행: 오아시스로 편』 『문명담론과 문명교류』 『초원 실크로드를 가다』 『실크로드 사전』(한·영) 『실크로드 도록』(육로편·해로편·초원로편, 한·영, 총6권) 『해상 실크로드 사전』 『문명의 보고 라틴아메리카를 가다』(1·2) 『문명의 요람 아프리카를 가다』(1·2) 『민족론과 통일담론』 『우리 안의 실크로드』 『문명의 모자이크 유럽을 가다: 북유럽』 『시대인, 소명에 따르다』가 있고, 역주서로 『이븐 바투타 여행기』(1·2) 『혜초의 왕오천축국전』 『중국으로 가는 길』 『오도릭의 동방기행』 등이 있다. 『이븐 바투타 여행기』로 제42회 한국백상출판문화상(번역부문)을, 『실크로드 사전』으로 제54회 한국출판문화상(학술부문)을, 「실크로드와 경주」로 제5회 세계실크로드학회 국제학술대회 최우수논문상을 수상했으며, 제1회 문무대왕 해양대상(해양문화부문)을 수상했다.
펼치기
중앙아시아학회 (엮은이)    정보 더보기
1993년 2월부터 활동해온 중앙아시아연구회를 발전적으로 계승, 1996년 10월 12일 정식으로 창립되었다. 2006년 현재 등록회원의 숫자는 200명에 이르고 있고, 학회 활동에 가장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는 연구회원도 70여 명에 달한다. 넓은 의미의 중앙아시아, 즉 '중앙 유라시아'의 역사와 문화에 대한 연구를 목적으로 삼고 있는 이 학회는 중앙아시아의 역사, 언어, 고고미술, 복식 등을 연구하는 학자들이 핵심을 이루고 있으며, 이 분야에 관심을 갖는 학생들과 일반인들도 참여하고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어떤 문화적 요소가 한 지역에서 멀리 떨어진 다른 지역으로 옮겨갈 때 진공 포장된 상태로 전달되는 법은 없으며, 그것이 경유하는 지역들에서 변용되고 가공되는 과정을 거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 변용과 가공의 과정이 밝혀지지 않으면 문화전파의 실상을 올바로 이해할 수 없음은 자명하기 때문에, 우리는 그 '현장'을 정확하게 이해하지 않으면 안 되는 것이다. 따라서 실크로드 연구는 실크로드의 주된 무대였던 중앙아시아라는 역사 현장에 대한 철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해야 할 것이다.

이 책은 실크로드의 무대에 살았던 사람들이 영위한 일상적 삶의 구체적 양상과, 그들의 정신세계를 지배했던 종교의 양태를 살펴보고있다. 중앙아시아에서 출토된 문헌과 유물에 기초한 필자들의 치밀한 연구를 통해, 우리는 분명 실크로드라는 역사의 현장에 한걸음 더 가깝게 다가갈 수 있을 것이다. - '책을 내면서'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