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비평/칼럼 > 국제사회비평/칼럼
· ISBN : 9788972970132
· 쪽수 : 508쪽
· 출판일 : 2021-12-30
책 소개
목차
추천의 말
2021년 서문_코로나19와 임신중지
머리말
용어 설명
통계 설명
1장. 턴어웨이 연구
연구의 시작/여성들/연구의 결과/여성들의 이야기
*인터뷰 1. 에이미
2장. 왜 임신중지를 하는가?
돈이 전부가 아니다/술, 담배, 약물/임신중지를 해야 한다는 압박/임신중지가 늦어지는 이유/결정의 시간/피임 격차/다양한 이유/지식과 접근권의 문제
*인터뷰 2. 제시카
3장. 미국의 임신중지 접근성
경제적 장벽/보험/민간의 지원/병원과의 거리/초음파 사진의 영향/정부의 개입/임신중지 반대 시위대/임신중지 가능 기한/후기 임신중지 유형
*인터뷰 3. 마르티나
4장. 정신 건강
임신중지가 정신 건강에 미치는 영향/안도감/고통과의 연관성/회복탄력성/자살에 대한 생각/폭음, 흡연, 약물 중독/자아존중감과 삶의 만족도/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의 관계/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감정의 변화/임신중지는 옳은 선택이었다/임신중지를 원했다/결론
*인터뷰 4. 니콜
5장. 신체 건강
출산은 안전한가/임신의 위험/모성 사망률/여성의 건강을 위해서라는 말
*인터뷰 5. 키아라
6장. 여성의 삶
임신중지 여부에 따라 달라지는 꿈/임신중지에 대한 도덕적, 법적 관점/경제적 어려움/부채, 신용, 기회/교육적 성취/5년 계획/여성의 진짜 삶
*인터뷰 6. 멜리사
7장. 아이들
이미 키우는 아이들/원하지 않은 임신으로 태어난 아이들/입양/피임 실천/계획된 임신/아이들이 받는 영향
*인터뷰 7. 카밀라
8장. 남성들
남성 파트너의 역할/임신중지의 이유로서의 남성/폭력적인 연인/나쁜 관계의 지속/지지적인 남성/더 나은 관계를 위한 임신중지
*인터뷰 8. 제이다
9장. 연구의 영향
연구의 객관성/연구의 대표성/연구의 목적/예상하지 못한 연구 결과/내 가족의 이야기
*인터뷰 9. 브렌다
10장. 임신중지 정책
재생산 정의/연구가 정책에 미친 영향/로 대 웨이드 판결이 뒤집힌다면
*인터뷰 10. 소피아
11장. 연구 이후
임신중지한 평범한 여성들/네팔의 사례/여성을 믿어라
감사의 말
옮긴이의 말
주
찾아보기
리뷰
책속에서
나는 이것을 ‘턴어웨이 연구Turnaway Study’라고 이름 붙였는데(...)내게도 그 단어는 임신을 둘러싼 여성의 의사 결정에 관한 일련의 문제를 상기시킨다. 임신중지를 원하는 여성들은 엄마가 될 가능성을 ‘외면’하는 것인 동시에, 임신중지가 거부될 경우 아이와 무관했던 그들의 미래 계획을 ‘거부당하는’ 것이기도 하다. 엄마가 될 여성의 삶을 고려하지 않고 태아의 도덕적 지위를 토론하는 것은 사회가 여성을 거부하는 일이다. 임신중지를 할 수 없는 저소득층 여성에게 충분한 양육 지원과 식량 및 주거비 지원을 하지 않는 것도 정부가 여성과 아이 모두를 거부하는 일이다. - <머리말>
하지만 20주에서 24주 사이의 임신중지에 대한 작은 진실은 후기 임신중지가 주로 임신의 뒤늦은 발견 때문이고 또 임신중지를 하는 데 경제적, 이동, 법적 장벽들이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이다. 임신중지에 대한 접근을 더 어렵게 만드는 건 도덕적으로 정당한 여성들만이 임신중지를 할 수 있다는 걸 뜻하지 않는다. 신체와 정신 건강에 문제가 없고 돈이 있고 사회적으로 지지받는 성인 여성들만이 임신중지를 할 수 있다는 뜻이다. - <3장, 미국의 임신중지 접근성>
임신중지를 둘러싼 논쟁의 어느 편에 서 있든 장기간의 결과는 놀랍다. 우울, 불안, PTSD, 자존감, 삶의 만족도, 약물 및 알코올 남용 등에서 임신중지를 한 여성과 임신중지를 거부당한 여성 사이의 차이는 없었다. 두 집단 모두 불행하기 때문이 아니다. 두 집단의 정신 건강은 점점 나아졌다. (...) 임신중지를 했든, 원하지 않은 임신으로 출산을 했든 정신 건강은 나아졌다. 여성들에겐 회복력이 있다. - <4장, 정신 건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