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과학 > 인체의 이해
· ISBN : 9791190955638
· 쪽수 : 544쪽
· 출판일 : 2022-06-30
책 소개
목차
감수의 말
선언문
1부 변화 되찾기: 페미니즘으로 자신의 신체 이해하기
1장 두 번째 성년: 완경기가 중요한 이유
2장 완경의 역사와 언어: ‘위기의 시기’로부터 ‘변화의 시기’까지
3장 완경의 생물학: 두뇌-난소 연결
4장 완경의 진화적 이점: 약함이 아닌 강함의 표시
5장 완경의 타이밍: 시계 이해하기
6장 40세 이전에 월경과 배란이 멈추었다면: 원인과 권장 치료 방법
2부 변화를 이해하기: 완경기에 접어들 때 예상할 수 있는 일들
7장 완경으로 인한 변화: 체력, 신체 치수, 체형의 변화
8장 문제의 심장부: 심혈관 질환
9장 여기 너무 덥지 않나요? 나만 그래요?: 혈관운동증상과 그 불을 끄는 법
10장 월경 아수라장: 비정상 출혈, 어떻게 해야 할까
11장 뼈 건강: 뼈 생물학과 골다공증, 골절 방지를 위한 기본 지식
12장 완경이 오면 뇌에는 무슨 일이 생길까: 브레인 포그, 우울증 그리고 치매
13장 질과 외음부: 완경 비뇨생식기증후군과 치료법
14장 방광 건강: 침묵하는 문화를 깨자
15장 섹스에 관한 대화: 성욕이라는 복잡한 이야기
16장 쉬었다는 느낌을 다시 가질 수 있을까: 수면장애와 해결법
3부 변화를 향한 한 걸음: 호르몬, 음식 그리고 건강기능식품
17장 완경기 호르몬 요법: 우여곡절의 역사와 오늘날
18장 드라마 같은 호르몬의 세계: 나에게 맞는 MHT는 무엇일까
19장 피토에스트로겐, 음식 그리고 호르몬: 진실과 유행
20장 생동일성 호르몬, 천연 호르몬, 조제 호르몬: 의학은 마케팅이 아니다
21장 완경기 다이어트: 건강한 완경과 그 이후를 위해
22장 메노슈티컬: 건강기능식품과 완경
23장 피임과 완경이행기: 임신 예방과 월경 관리
4부 변화의 주도권을 쥐기
24장 어서 오세요, 제 완경파티입니다: 산부인과 의사가 완경을 대하는 방법
25장 마무리 짓는 말: 한데 모아서 정리해보기
감사의 말
보충자료
부록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완경에 관해서는 끔찍한 이야기만 돌아다닌다. 그러나 사실을 말하자면 완경 경험은 엄청난 규모의 디아스포라다. 경미하거나 중간 정도의 증상만을 겪고 넘어가는 여성들도 많고, 극심한 고통을 받는 여성들도 있다. 증상이 잠시 나타나고 마는 경우가 많지만 간혹 길게 가는 수도 있다. 완경과 함께 몸에 일어나는 생물학적 변화는 심혈관 질환, 골다공증 등 몇몇 의학적 문제를 겪을 확률을 높이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여성의 모습 전체를 담은 그림을 그리는 물감이 완경 현상만 있는 것은 아니다. 연령, 다른 건강 상태, 식생활, 운동, 심지어 아동기에 겪었던 역경 등 모두가 그 초상화에 색을 더한다. 따라서 행동 전략을 마련하겠다 마음먹은 여성이라면 한발 뒤로 물러서서 그림 전체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완경기의 몸을 돌보는 일은 몸 전체를 감안한 전인적 의료의 궁극적인 형태라고 할 수 있다.
_ 〈선언문〉
사회적 수치심은 진료실 너머로 확장된다. 세상에는 나이를 먹어가는 여성들에 대한 일반적인 업신여김이 존재한다. 아마 업신여김이라는 단어가 적절하지 않을지도 모르겠다. 나이를 먹어가는 여성들과 관련된 문제들은 너무 하찮은 나머지 그러한 최소의 노력을 기울일 가치조차 없을 때가 많으니 말이다. 그들은 매우 간단히 존재 자체가 아예 무시된다.
_ 1장 〈두 번째 성년〉
‘완경기’라는 용어는 과학이 호르몬들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발견하기 전에 이미 있었다. 이 용어는 결코 ‘일단 멈춤’을 의미하지는 않았다. 이 용어는 여성들이 자신의 팔을 가려야만 하고 볼 화장을 하지 말아야 한다고 생각했던 한 남성이 발명했다. 완경기에 관한 이 남성의 책은 여성을 영원히 월경에 속박시키는 역할 말고는 이 주제에 대한 지식 체계에 그 어떠한 기여도 하지 않았다. 여성들을 영원히 월경과 연결시키는 하나의 용어를 남긴 것 이외에는 말이다. 그 후 ‘완경기’라는 단어는 제약 업계에 의해 무기로 사용되었고, 생애의 성가신 한 단계를 모든 여성에게 영향을 미치는 평생의 질병으로 둔갑시켰다. 게다가 그것은 보통 질병이 아니라 여성들을 남성들이 원하지 않는 존재로 만들어버리는 최악의 질병이었다. 이 장은 아름다운 어원 이야기가 아니었다. ‘완경기’라는 단어는 업데이트가 필요하다.
_ 2장 〈완경의 역사와 언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