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교양 인문학
· ISBN : 9788972975816
· 쪽수 : 308쪽
· 출판일 : 2008-09-25
책 소개
목차
저자 서문
머리말
1부 모욕의 개념
모욕
-무정부주의: 품위 있는 통치제도는 없다
-스토아학파: 모욕적인 사회는 없다
권리
-자존감: 톰아저씨의 경우
-존중의 충분조건인 권리
명예
-자존감과 자부심
-존엄성
2부 존중의 근거
존중의 정당화
-인간에 대한 존중을 정당화하는 특성들
-내재적 가치의 제한조건
-근원적 자유
회의적인 답변
-인종 차별적인 답변
-인간 존엄성의 소극적 정당화
인간에게 고약하게 굴기
-인간을 보다
-인간을 무시하기, 인간을 인간 이하로 보기
-인간을 인간 이하로 대하기
3부 사회적 개념으로서의 품위
모욕의 역설
-무례와 모욕의 역설들
-신의 영광과 인간의 존엄성
거부
-포괄집단에서의 배제
-존중의 근거와 모욕의 구성요소들
시민권
-3대 시민권의 부정
-상징적 시민권: 제4의 차원
문화
-지배문화의 품위
-하위집단의 존재
-문화적 관용
-비판 대 거부
4부 사회제도의 검증
속물근성
4부 사회제도의 검증
속물근성
-박애
-육체적 기호
사생활
-친밀함
관료제
복지사회
-빈곤과 모욕
-동정
-복지사회의 모욕
-자선의 역설
실업
-일터에서의 착취와 강압
처벌
-처벌과 모욕
맺음말
본문의 주
책속에서
가난은 대체로 가난한 사람들이 자초한 것이라는 부당한 주장은 말 그대로 부당한 주장일 뿐 아니라 가난한 사람들의 사회적 명예를 훼손한다. 하지만 어떤 사람의 가난이 실패를 의미한다는 주장이 왜 그 사람의 인간적 존엄성까지 훼손하는 것일까? 경력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시험에 떨어지는 일은, 그에게 실패할 변명의 여지가 있든 없든 적어도 일시적으로는 그 사람이 자기가 선호하는 생활양식을 선택할 수 없게 만든다. 이것은 분명 그에게 아주 고통스러운 상황이겠지만, 그렇다고 그 사람을 인간으로서 거부할 이유는 될 수 없다. - p.243 중에서
품위 있는 사회는 정의로운 사회를 실현하기 위해 반드시 거쳐야 할 단계인가? 품위 있는 사회는 정의로운 사회라는 최고의 사회 이상을 실현하는 과정에 놓인 일시적인 이상인가? 품위 있는 사회와 롤스의 정의로운 사회가 갖는 관계와는 무관하게, 품위 있는 사회가 되는 것이 정의로운 사회가 충족시켜야 할 과제 중 하나로 보일 것이다. 이와 별개로, 현실 정치 속에서 정의로운 사회를 설립하는 과정에 실제로 품위 있는 사회가 확립되어야 하는지 물을 수 있다. 품위 있는 사회가 정의로운 사회의 확립을 대신하는 일시적인 대용품 역할을 할 위험은 없는가? - p.293 중에서
내가 이 책에서 제안하고 있는 것은 품위 있는 사회의 이론이 아니라 이야기, 개념들을 주인공으로 삼은 이야기다. 명예와 모욕이 의인화된 영웅으로 등장하는 중세 스타일의 우화가 아니라, 개념은 개념으로 남으면서 현실을 비판할 근거가 되는 유토피아의 그림을 보여주는 그런 이야기다. - p.300 중에서
인간답게 사는 방식은 사회마다 다르다. 시민권의 침해는 사람들이 그 사회 안에서 키운 자신의 인간성을 표현하는 능력을 심각하게 침해할 수 있으며, 이는 곧 모욕이다. 따라서 사람들의 인권을 존중하는 것이 품위 있는 사회가 될 충분조건이라고 불수는 없다. 사회가 인권을 침해하지 않으면서도 시민들을 모욕하는 일이 충분히 가능하기 때문이다. - p.53 중에서
낙인은 사람들의 인간성에 대한 카인의 표지 역할을 한다. 낙인을 가진 자는 주변사람들이 그들을 인가니 이하로 보게 만드는 꼬리표를 가진 사람이다. 그들이 인간이긴 해도 낙인이 찍혔다고 보는 것이다. 어빙 고프먼은 사람에게 낙인을 찍는 것은 그들의 사회적 신분을 훼손하는 일이라고 강조했지만, 내가 볼 때는 낙인이 그들의 인간성까지 훼손한다는 점이 더 심각한 문제다. 낙인찍힌 자들은 인간이지만 인간 이하로 간주된다. - p.119 중에서
모욕에는 실존적 위협이 포함되어 있다. 가해자가 피해자에게 권력을 행사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모욕하는 주제가 제도일 때는 더욱더 그렇다. 결정적으로 모욕에는 괴롭히는 자가 피해자에게 야기하는 절대적 무력감이 포함된다. 대처할 수 없다는 인식은 자기에게 중요한 이해관계를 보호할 수 없다는 두려움으로 나타난다. 설사 모욕당하는 사람이 형세를 역전시켜서 자기를 괴롭히는 자의 비문자적인 의미에서 짐승으로 보려고 노력한다 할지라도, 이것이 그의 모욕감을 완화시켜 줄 수는 없다. - p.138 중에서
어떤 사회는 장애인용 설비를 마련하는 데 관심을 기울여서 장애인들이 상당한 독립성을 확보하지만, 또 어떤 사회에서는 장애인들이 다른 사람들의 선의에 의지해야 하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모욕당한다. 어떨 때는 장애인들에게 일정 수준의 독립성을 보장해줄 물질적 수단이 존재하는데도 이런 일이 일어난다. 사회가 이런 수단을 마련해놓고도 장애인들이 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노력하지 않을 때 그 사회는 장애인을 모욕한다고 볼 수 있다. - p.200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