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나이듦 수업

나이듦 수업

(중년 이후, 존엄한 인생 2막을 위하여)

고미숙, 장회익, 정희진, 김태형, 유경, 남경아 (지은이)
서해문집
13,5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2,150원 -10% 2,500원
670원
13,98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9,450원 -10% 470원 8,030원 >

책 이미지

나이듦 수업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나이듦 수업 (중년 이후, 존엄한 인생 2막을 위하여)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교양 인문학
· ISBN : 9788974837662
· 쪽수 : 240쪽
· 출판일 : 2016-01-20

책 소개

노인이 인구의 주된 비중을 차지하는 고령 사회는 피할 수 없는 현실이자 트렌드다. 그런데 우리는 노년이 두렵기만 하다. 시대에 걸맞은 노년 문화의 형성이 조속히 필요하다는 점에 공감한 6명의 강연자들이 '나이듦'에 대해 릴레이 강연을 펼쳤다.

목차

머리말
호모 헌드레드 시대, ‘꼰대’에서 ‘꽃대’로 ·4

청춘으로부터의 해방, 몸으로부터의 자유-‘어른’으로 늙어갈 용기 ·12
고미숙


왜 100세 인생이 부담스러울까 ·17
선조들의 성숙한 생로병사관 ·19
생체 리듬대로 살면 두렵지 않은 100년 ·23
자본주의, 청춘만을 강요하다 ·28
청춘으로부터의 해방 ·33
몸에 대한 집착은 자본주의의 고도의 전략 ·35
몸으로부터의 자유 ·40
해방 끝에 오는 우정의 시간 ·42
‘어른’으로 늙어갈 용기 ·44

노인은 누구인가-자본주의, 생산성, 매력 ·54
정희진


욕망과 현실의 불일치 ·59
자본주의와 만들어진 생애주기 ·62
젊은 남성의 노동력을 동원하라 ·66
줄어드는 일자리, 늘어나는 수명 ·69
자본주의와 매력 자본, 그리고 노인 ·75
꼭 ‘곱게’ 늙어야 할까 ·78

너무 많이 아픈 한국의 노인들 -‘꼰대 말고 꽃대’를 위한 심리학 ·90
김태형


누가 ‘꼰대’인가 ·94
불행의 증거들 ·97
빈곤이 노인에게 미치는 영향 ·101
노년기의 발달 과제, 자기평가 ·104
한국 노인 세대의 삶과 심리 ·109
돈은 행복이 아니었다 ·115
행복하기 위해 저항하라 ·121
반드시 더불어 살 것 ·123
자기치유를 통해 ‘꽃대’로 ·124

노년이라는 기적의 ‘블랭크’ -근원적 질문에 답하는 지혜의 시간 ·134
장회익


삶의 보람과 생존 의지 ·138
지혜, 쇠락을 극복하는 열쇠 ·142
노년, 기적을 만들 수 있는 시간의 ‘블랭크’ ·145
멈출 줄 아는 평생 공부 습관 ·150
연관성을 생각하는 이해의 장 ·154
호기심, 늙지 않는 비결 ·155
온생명, 지혜로 답하는 근원적 질문 ·157

100세 시대, 일과 삶의 재구성 -베이비붐 세대를 위한 새로운 일자리 ·166
남경아


‘제2성인기’ ·170
50+를 위한 정부와 기업의 탐색 지원 ·172
당사자 주도의 노년 문화 ·174
일에 대한 인식의 전환 ·178
‘사회 공헌 일자리’ ·181
세대 공감을 위해 일하는 멘토 ·191
100세 시대, 일상의 공부 ·195
지금, 이 자리에서 시작하기 ·200

마흔에서 아흔까지, 내 곁에 이 사람-노년의 관계 맺기와 인생지도 그리기 ·206
유 경


관계를 잘 맺는 노인의 특징 ·210
관계의 동심원 ·214
성공적인 인간 관계에 공짜는 없다 ·217
상대에 대한 관심에서부터 인간 관계는 시작된다 ·218
서로 감사하는 부부 관계에 행복이 들어 있다 ·220
노부모와 성인자녀의 관계도 ‘따로 또 같이’가 좋다 ·223
고부.장서 관계, 나부터 풀자 ·224
손주에게 먼저 다가가자 ·226
함께 늙어가는 친구의 소중함을 기억하라 ·229
소통을 위한 노력 ·231
인생의 여섯 가지 기둥 ·233

저자소개

고미숙 (엮은이)    정보 더보기
고전평론가. 강원도 함백 출신. 고려대학교에서 고전문학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감이당 & 남산강학원에서 ‘밥과 친구와 생사의 비전’ 등 거의 모든 것을 해결하고 또 탐구하고 있다. 그동안 낸 책으로는 『열하일기, 웃음과 역설의 유쾌한 시공간』을 비롯한 열하일기 3종 세트, 『공부의 달인 호모 쿵푸스』를 비롯한 달인 4종 세트, 『동의보감, 몸과 우주 그리고 삶의 비전을 찾아서』를 비롯한 동의보감 4종 세트, 근대성 3종 세트, 그 외에 『고미숙의 로드클래식, 길 위에서 길 찾기』, 『조선에서 백수로 살기』, 『읽고 쓴다는 것, 그 거룩함과 통쾌함에 대하여』, 『몸에서 자연으로, 마음에서 우주로 with 동의보감 & 숫타니파타』 외 다수가 있다. 가장 최근에 낸 책으로는 『청년 붓다, 바람과 사자와 연꽃의 노래』가 있다.
펼치기
장회익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 문리대 물리학과, 루이지애나 주립대학교를 졸업했다. Ph.D. 루이지애나 주립대학교 객원 조교수, 텍사스대학교 객원 연구원, 벨연구소 객원 연구원, 미주리대학교 객원 교수, 서울대 자연대 물리학과 교수를 역임했다. 한국출판문화상 저작상을 수상했다. 논문으로는 「GaSb의 에너지 밴드와 광학적 성질」(1969) 외 다수가 있다. 저서로는 『자연과학개론』(공저, 1981), 『과학과 메타과학』(1990) 등이 있다.
펼치기
정희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여성학·평화학 연구자. 《페미니즘의 도전》, 《다시 페미니즘의 도전》, 《아주 친밀한 폭력》, 《혼자서 본 영화》, 《정희진처럼 읽기》, 《낯선 시선》, 《정희진의 글쓰기 시리즈》(전 5권) 등을 썼으며, 《한국 여성인권운동사》, 《성폭력을 다시 쓴다》, 《양성평등에 반대한다》, 《미투의 정치학》 등의 편저자이다. 《‘위안부’, 더 많은 논쟁을 할 책임》 등 100여 권의 공저가 있다. 2024년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원이 수여하는 ‘이화-현우’ 학술 교양 부문 수상자로 선정되었다.
펼치기
김태형 (지은이)    정보 더보기
심리학자. 심리연구소 ‘함께’ 소장. 고려대학교 심리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학교 대학원에서 임상심리학을 공부했다. 주류 심리학에 대한 실망과 회의로 학계를 떠나 사회운동에 몰두하다가 중년에 이르러 다시 심리학자의 길로 돌아왔다. 기성 심리학의 오류와 한계를 과감히 비판하고 ‘올바른 심리학’을 정립하기 위해 매진하고 있다. 2005년부터 활발한 연구, 집필, 교육, 강의, 상담을 통해 연구 성과를 대중에게 소개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 《불안증폭사회》 《감정의 안쪽》 《트라우마 한국사회》 《누구에게나 어린 시절의 상처가 있다》 《싸우는 심리학》 《무의식의 두 얼굴》 《심리학을 만든 사람들》 《청춘 심리 상담》 《대통령 선택의 심리학》 《자살공화국》 《가짜 자존감 권하는 사회》 《그들은 왜 극단적일까》 《혐오 시대 헤쳐가기》 《월북하는 심리학》 《풍요중독사회》 《가짜 행복 권하는 사회》 《이재명의 스피치》(공저) 《한국인의 마음속엔 우리가 있다》 《가짜 사랑 권하는 사회》 등이 있다.
펼치기
유경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이화여자대학교 시청각교육과를 졸업하고 CBS 아나운서로 입사해 노인대상 프로그램을 오랫동안 진행하였다. 이후 노인복지에 뜻을 세우고 복지현장에 뛰어들어 활동하다가 학문적인 뒷받침의 필요를 느껴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에 입학해 본격적으로 노년을 공부하였다. 노인복지관 근무를 거쳐 현재는 프리랜서 사회복지사로 노인복지에 관심 있는 다양한 사람들이 참여하는 ‘어르신사랑연구모임(어사연, cafe.daum.net/gerontology)’을 이끌고 있다. 특히 2006년부터 죽음준비교육 전문 강사로 나서 우리나라 죽음준비교육의 대중화를 이끌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치매와 관련한 활동으로는, 한국치매가족회 출범 당시 홍보 담당자로 일했으며, 영화 <엄마의 공책> 제작에 치매 관련 자문위원으로 참여하였다. 2018년 2월 8일 <‘엄마의 공책’ 국회상영회>에서의 특강을 시작으로 현재 “새로운 치매 패러다임, 치매는 상식이다!”라는 주제로 강연을 이어가고 있다. 지은 책으로는 『꽃 진 저 나무 푸르기도 하여라』, 『마흔에서 아흔까지』, 『유 경의 죽음준비학교』, 『그림책과 함께하는 내 인생의 키워드 10』, 『마흔과 일흔이 함께 쓰는 인생 노트(공저)』, 『노년에 인생의 길을 묻다(공저)』, 『사랑합니다, 당신의 세월을(공저)』, 『나이 듦 수업(공저)』 등이 있다.
펼치기
남경아 (지은이)    정보 더보기
교육학과 사회복지학을 전공했으며, 지난 30여 년간 교육정책, 사회복지, 사회적경제, 시민교육, 공공행정 등 다양한 섹터와 분야를 넘나들며 우리 사회 곳곳의 새로운 어젠다를 창안하고 구체적 모델과 대안을 제시하는 현장 연구자이자 실천가로 살았다. 특히 중장년층 교육과 상담, 연구와 컨설팅을 진행하며 미국, 일본, 영국, 독일, 덴마크 등 50플러스 세대의 혁신적인 프로그램과 콘텐츠를 발굴해 국내에 적용해왔다. 중장년 정책의 태동기부터 확산기까지, 하나의 정책이 무(無)에서 유(有)로 만들어지기까지의 과정을 직접적으로 경험하고 체화했다. 2006년부터 희망제작소에서 4060 세대의 새로운 인생을 지원하는 해피시니어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다양한 사회공헌 일자리 모델을 발굴·육성했다. 2015년 서울시 인생이모작지원단장을 시작으로, 2016년 서울시50플러스재단에서 운영하는 1호 캠퍼스 ‘서울시50플러스 서부캠퍼스’ 관장, 서울시50플러스재단 일자리사업본부장 등을 지냈다. 현재 경기도청 베이비부머기회과에서 일하고 있다. 저서로 《나이듦 수업》(공저), 《50플러스 세대: 오십 이후 삶이 즐거운 도시》 등이 있고, 2021년부터 《경향신문》 오피니언 칼럼니스트로 활동 중이다.
펼치기

책속에서

안녕하세요. 고전평론가 고미숙입니다.


그동안 우리는 노인 혹은 노년에 대해 노인 ‘문제’로서만 접근하지 않았나 생각한다. 노인은 항상 ‘문제’일 때에만 정책적 대상으로 취급되었고, 한 사람의 오롯한 ‘존재’로서 이해되고 존중받는 사회문화는 부재했다. 노인 혹은 노년에 대한 담론 자체가 부재한 것이다. 다시 말해 노인 ‘문제’가 아니라 노년 ‘존재’로 관점을 전환하지 않으면 노년의 삶과 문화를 이해할 수 있는 정책을 만들기 어려울 것이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889748378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