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에너지전환과 한국 가스산업의 현재와 미래

에너지전환과 한국 가스산업의 현재와 미래

(천연가스 우회직수입 문제에 대한 실증분석, 2023 세종도서 학술부문)

김윤자, 주병기, 홍현우, 이지웅, 정혁, 정세은, 김공회, 송재도, 나원준, 안현효, 김린, 오종석, 김종호, 박경원 (지은이)
다돌책방
33,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9,700원 -10% 0원
1,650원
28,0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에너지전환과 한국 가스산업의 현재와 미래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에너지전환과 한국 가스산업의 현재와 미래 (천연가스 우회직수입 문제에 대한 실증분석, 2023 세종도서 학술부문)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문제 > 사회문제 일반
· ISBN : 9791190311083
· 쪽수 : 416쪽
· 출판일 : 2022-10-07

책 소개

혁신더하기연구소 공공부문연구회분과 공공부문총서 11권. 풍부한 도표와 데이터를 바탕으로 천연가스산업을 광범위하게 다룬다. 이는 앞으로 천연가스산업이 가교역할에서 더 나아가 에너지전환 시대, 수소경제 시대에 더 큰 역할을 맡을 수 있음을 보이는 동시에, 미래의 역할을 위한 현재의 제도 정비의 중요성을 구체적으로 보여준다.

목차

서문: ‘공정’하고 효율적인 가스산업 생태계를 위하여 4

제1부 에너지전환과 천연가스산업 17

제1장 한국의 에너지전환정책과 천연가스산업 전망 주병기 / 서울대학교, 홍현우 / 서울대학교 19
1절. 서론 19
2절. 한국의 에너지전환 정책 24
3절. 한국 천연가스산업 전망 35
4절. 소결 45

제2장 에너지전환과 섹터 커플링: 수소의 역할 이지웅 / 부경대학교 49
1절. 서론 49
2절. 수소: 에너지전환의 핵심요소 50
3절. 섹터 커플링: 에너지전환을 위한 전략 58
4절. 소결: 한국가스공사의 역할 72

제2부 한국 천연가스산업의 현황과 과제 77

제1장 역대 정부의 가스산업 구조개편 과정과 평가 정혁 / 중앙대학교 79
1절. 서론 79
2절. 역대 정부의 공공부문 정책 80
3절. 역대 정부의 가스산업 정책 88
4절. 가스산업 구조개편 과정 평가 94
5절. 소결 102

제2장 LNG 직수입과 전력시장: 문제점과 대응 방안 정세은 / 충남대학교 107
1절. 서론 107
2절. 민자 LNG 발전사 급증과 직수입 확대 109
3절. 전력산업에서의 LNG 직수입 부작용 116
4절. 개별요금제와 전력시장 123
5절. 소결: LNG 직수입 문제 대응 방안 130

제3장 민간기업의 우회도입ㆍ판매 현황과 문제점 김공회 / 경상국립대학교 135
1절. 서론: 천연가스 ‘우회도입ㆍ판매’라는 문제 135
2절. 천연가스 우회도입ㆍ판매의 발달: 합법과 불법의 경계에서 137
3절 우회도입ㆍ판매 성행이 내포하는 문제 146
4절. 소결 158

제4장 가스요금 및 개별요금제 검토 송재도 / 전남대학교 161
1절. 서론 161
2절. 가스 소매요금 결정 방식 162
3절. 수요자 유형별 특성 차이 164
4절. 평균요금제 및 직수입제 개요 167
5절. 개별요금제 상세 검토 169
6절. 대안적 요금체계: 계시별 요금제 187
7절. 소결 191

제5장 LNG 직수입과 한국의 도시가스산업 나원준 / 경북대학교, 김윤자 / 한신대학교 193
1절. 서론 193
2절 에너지전환과 도시가스산업 현황 195
3절. 주요 기업의 도시가스사업 진출 상황 201
4절. LNG 직수입 증가와 도시가스산업의 전망 214
5절. 소결 217

제6장 우회도입ㆍ판매에 대한 대안 안현효 / 대구대학교 225
1절. 서론: 우회도입ㆍ판매의 현황과 문제점 225
2절. 우회도입ㆍ판매의 쟁점과 대안 228
3절. 우회도입ㆍ판매 중단과 공급안정성, 도입효율성과 사회적 편익 232
4절. 소규모 직수입 의향 수요자를 위한 대안 235
5절. 소결: 우회도입ㆍ판매 금지 필요성 237

제7장 LNG 우회직수입 개선을 위한 법적 과제 김린 / 인하대학교 241
1절. 서론 241
2절. 우회직수입의 법적 구조 244
3절. 해외 자회사의 중개 또는 알선 행위에 대한 법적 검토 247
4절. 직수입제도의 한계와 개선 방안 254
5절. 소결 264

제3부 에너지전환과 가스산업 공공부문의 비전 267

제1장 에너지전환 시대의 한국가스공사의 경영방향:
ESG 경영을 중심으로 오종석 / 경북대학교 269
1절. 서론 269
2절. 지속가능한 성장론과 기업 경영방식의 변화 272
3절. 천연가스의 환경적 이중성 281
4절. 해외 천연가스 기업들의 ESG 경영 284
5절. 한국가스공사의 ESG 경영 성과와 숙제 285
6절. 소결 292

제2장 한국가스공사의 신산업전망 김종호 / 부경대학교 295
1절. 서론 295
2절. 가스산업의 변화와 한국가스공사 297
3절. 해외 기업의 대응 사례 299
4절. 한국가스공사의 신산업 315

제3장 에너지전환과 공공부문 종사자의 역할 박경원 / 한양대학교 333
1절. 서론 333
2절. 이론적 논의 335
3절. 한국가스공사의 거버넌스 339
4절. 에너지전환과 공공부문 종사자의 역할 360
5절. 소결 370

제4장 전환기 한국 LNG 산업의 전망과 과제 김윤자 / 한신대학교 379
1절. 서론: 이 책의 내용과 의의 379
2절. 전환기 LNG의 정치재적 속성 증대 386
3절. 전환기 한국 LNG 산업의 공동대응 과제 394
4절. 결론: 에너지전환의 연대적 성격과 향후의 과제 403

저자소개

나원준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북대학교 경제통상학부 교수. 서울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한국신용평가(주)에서 구조화금융 평가실무를 수행했다.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거시경제학 전공으로 경제학 박사학위를 받았고 글로벌 금융위기 기간에는 SK텔레콤 경제연구실에서 장단기 환율 전망을 담당했다. 밀턴 프리드먼과 안나 슈워츠가 공저한 『대공황, 1929~1933년』(공역)을 우리말로 옮겼다.
펼치기
김공회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상국립대학교 경제학부 교수. 서울대에서 경제학 학사·석사학위를 영국 런던대(SOAS)에서 ‘세계(시장)’의 경제학적 개념화에 대한 연구로 박사학위(경제학)를 받았다. 유학에서 돌아온 뒤에는 국회에서 보좌관,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HERI)에서 연구위원 등으로 있으면서 현실 경제의 작동을 지켜보기도 했고, 홍대 앞 한 엘피(LP) 바에서 디제이로 일하면서 그 현실의 경제에 직접 뛰어들기도 했다. 대학에 자리를 잡은 뒤에는 대통령 직속 정책기획위원회 위원, 경상남도 도정자문위원회 위원 등을 지내며 그간의 연구와 경험을 결합하고자 노력했다. 최근의 주요 논문으로는 <긴급재난지원금은 기본소득의 마중물인가> <소득주도성장론의 본질과 한계> <‘촛불정국’의 사회경제적 차원> 등이 있으며, 《기본소득 시대》 《왜 우리는 더 불평등해지는가》 《세계화와 자본축적 체제의 모순: 마르크스주의적 접근》 등을 함께 썼고, 《세금이란 무엇인가》 등을 우리말로 옮겼다.
펼치기
주병기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 경제학부 교수이며 서울대 경제연구소 분배정의연구센터 소장과 한국사회과학회장을 맡고 있다. 미국 캔사스대학교와 고려대 경제학과에서 재직하였으며, 국제학술지 Journal of Institutional and Theoretical Economics 편집장, 한국응용경제학회장 등을 역임하였다. 주요 연구 분야는 미시경제학, 재정학, 정치경제 등이고, 분배적 정의, 불평등과 소득분배, 공정한 경제기제 등의 주제로 연구와 교육 활동을 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 『분배적 정의와 한국사회의 통합』, 『정의로운 전환』, 『정책의 시간』, 『혁신의 시작』 등이 있다.
펼치기
김윤자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혁신더하기연구소이사장 / 한신대학교 국제경제학과 명예교수 / 경제학
펼치기
이지웅 (옮긴이)    정보 더보기
국립부경대학교 경제학과 교수. 게임이론, 기후변화 및 에너지경제학을 강의하고 있으며, 주요 연구 분야는 의사결정이론, 기후변화 및 에너지 정책, 지속 가능 성장 등이다. 서울대학교에서 수학을 전공한 후, 프랑스 툴루즈경제대학에서 경제학 석사, 네덜란드 마스트리흐트대학교에서 경제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프랑스 외교부로부터 에펠장학금을, 네덜란드연구기구(NWO)로부터 연구비를 지원받은 바 있다. 유학 전에는 한국은행에서 근무했으며, 이후 미국 노스웨스턴대학교 방문 학자, 에너지경제연구원 부연구위원을 역임했다.
펼치기
홍현우 (지은이)    정보 더보기
사회적 가치와 기업에 대한 연구로 서울대학교 경제학부에서 박사학위를 받은 후, 사회적가치연구원, 서울대학교 경제연구소를 거쳐 2023년 9월부터 충남대학교 경제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펼치기

책속에서

전체 1차 에너지에서 재생에너지가 차지하는 비율을 기준으로 주요 선진국을 비교하면 한국은
2.4%에 그쳐 가장 낮은 수준일 뿐만 아니라 다른 나라와의 격차 역시 크다. 독일과 영국은 재생에너지 비율이 2001년에 각각 2.8%, 1.0%에 그쳤는데 2019년 각각 14.6%와 12.5%까지로 끌어 올렸다. 현재 한국의 재생에너지 비율은 다른 선진국의 2001년 수준에 가깝다. 이 나라들의 지난 20여 년 간의 에너지전환 성과를 짧은 기간에 이루어야 한다.
생산 과정에 배출되는 이산화탄소 1kg당 총생산을 국가별로 비교하면 그림에 있는 바와 같이 한국은 선진국 가운데 최하위에 위치하고 중국, 러시아 등과 유사한 수준이다. 다른 선진국의 경우 1995년 이후 2014년까지 이산화탄소 배출의 총생산 기여도가 4달러 이상 큰 폭으로 증가했으나 한국은 약 1달러에 그쳤다. 그만큼 생산 과정에서 화석연료 의존도를 줄이는 데 뒤처져 있다.


탄소중립을 위한 에너지전환과 미래 신산업으로서의 수소경제에서 천연가스의 역할이 커질 수밖에 없는 것은 명확하다. 기존 화석연료에서 재생에너지로 에너지전환이 이뤄지는 과정에서 천연가스가 가교 역할을 하는 것이다. 천연가스가 차지하는 역할의 크기와 비중은 다른 에너지원 대비 천연가스의 가격 경쟁력, 정부의 탈탄소 정책 변화에 따라 달라질 것이므로 쉽게 예측할 수 없다. 그러나 당분간은 천연가스가 수소경제 및 에너지전환 과정에서 큰 역할을 차지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천연가스의 새로운 역할에 대한 중장기적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가스산업이 직면하고 있는 중대 과제라고 할 것이다.


현실에서 탄소중립을 달성하려면 모든 분야에서 탄소배출을 실질적으로 줄여야 하며, 각 부문의 특성에 맞게 감축 전략이 수립되어야 한다. 선도적으로 기후변화 정책을 시행해 온 EU의 초기 탄소중립 전략은 모든 에너지를 전력화(electrification)하면서, 동시에 재생에너지 등을 이용하여 모든 전력을 무탄소로 전환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수송, 건물 및 산업 공정 부문이 비용 측면은 물론 기술 측면에서도 기존 화석연료의 전력화가 어려운 난감축(難減縮, hard-to-abate) 부문임이 확인되어 다른 전략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섹터 커플링(sector coupling)은 바로 이러한 요구에 부합하고자 제시된 개념으로, ‘탈탄소화가 보다 비용 효율적인 방식으로 달성될 수 있도록 에너지 시스템에 더 큰 유연성을 제공하는 전략’으로 정의된다. 즉 섹터 커플링은 전통적인 에너지 시스템에서는 구분하여 생각했던 ‘부분(sector)’을 ‘묶어줌(coupling)’으로써 전체 에너지 시스템 관점에서 탈탄소화를 도모하는 방식이다. 그리고 이렇게 부문을 묶어주는 수단으로 무탄소 에너지 운반체인 수소가 그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