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철학 일반 > 철학사
· ISBN : 9788976828842
· 쪽수 : 600쪽
· 출판일 : 2024-10-30
책 소개
목차
옮긴이 서문 5
첫 번째 강의 - 1902. 12. 5. 1 … 7
두 번째 강의 - 1902. 12. 12. … 47
세 번째 강의 - 1902. 12. 19. … 77
네 번째 강의 - 1902. 12. 26. … 105
다섯 번째 강의 - 1903. 1. 9. … 135
여섯 번째 강의 - 1903. 1. 16. … 163
일곱 번째 강의 - 1903. 1. 23. … 189
여덟 번째 강의 - 1903. 1. 30. … 221
아홉 번째 강의 - 1903. 2. 6. … 249
열 번째 강의 - 1903. 2. 13. … 281
열한 번째 강의 - 1903. 2. 20. … 313
열두 번째 강의 - 1903. 2. 27. … 341
열세 번째 강의 - 1903. 3. 13. … 375
열네 번째 강의 - 1903. 3. 20. … 409
열다섯 번째 강의 - 1903. 3. 27. … 443
열여섯 번째 강의 - 1903. 4. 3. … 471
열일곱 번째 강의 - 1903. 4. 24. … 503
열여덟 번째 강의 - 1903. 5. 1. … 535
열아홉 번째 강의 - 1903. 5. 8. … 571
리뷰
책속에서
어떤 연속적인 실재, 가령 어떤 운동의 연속성을 개념에 의해 인식하려 한다고 가정해 봅시다. ‘이다’나 ‘아니다’에 의해 대답될 물음이 제기되는 것은 언제나 이 연속적인 전개 과정상의 어느 지점(시점) 위에서입니다. 운동의 연속성은 이 지점과 관련해서 성립하는 이러한 ‘이다’와 ‘아니다’의 양분兩分을 언제나 벗어나는 것이지요. 개념에 의한 인식은 그러므로 불연속적인 것으로서, 실재의 연속성을 완전히 표현하는 데 결코 도달할 수 없습니다. 하지만 이보다 훨씬 더 중요한 점이 있으니, 그것은 개념에 의한 인식은 이미 알고 있는 것에 의한 인식이라는 것입니다. 개념에 의해 인식한다는 것은, 이미 만들어져 있는 기존의 관념들을 가지고서 실재에 다가가면서, 이 관념들이 짜놓은 틀 중의 어느 것에 들어올 수 있는지를 실재에게 물어보는 것입니다.
어떤 사물에 대해 우리가 말할 수 있는 것은, 그것은 그것일 뿐 다른 것이 아니라는 것 말입니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결론이 필연적으로 따라 나오게 됩니다. 모든 생성, 모든 변화가 만약 정말로 비논리적인 것(로고스가 결여되어 있는 것)이며 표현될 수 없는 것이라면, 그리고 비논리적이고 표현될 수 없는 것이며 비합리적인 것은 비실재적인 것이라면, 변화나 생성은 실은 전혀 존재하지 않는 것이며, 따라서 변화나 생성에 대한 우리의 모든 경험은 한갓 미망이라는 결론 말입니다. 바로 이러한 것이 파르메니데스의 결론이었고 엘레아학파의 결론이었습니다. 바로 이러한 것이 논리와 가지성可知性(지성에 의한 이해가능성)을, 그리고 특히 완벽한 표현가능성이라는 것을 발견해 낸 철학자들이 내린 결론이었습니다. 즉 절대적인 정확성의 조건이라는 것을 언어 속에서, 그리하여 또한 논리 속에서 발견해 냄으로써, 이러한 발견에 도취되어, 논리에 자신을 내어주지 않는 것은, 즉 단순한 논리의 적용에, 정확한 담론의 적용에 자신을 내어주지 않는 것은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고 결론 내린 철학자들이 도달해 간 결론이었던 것입니다. 그리하여 이로부터 변화의 존재를 부정하는 생각이 나오게 된 것입니다. 즉 우리가 지속이라는 부르는 것, 다시 말해 시간 일반을 부정하는 생각 말입니다.
우리는 시간의 발생을 해명하고 있는『티마이오스』의 몇 안 되는 구절들을 읽고 해설했습니다. 물론 시간의 문제는 플라톤의 철학에서 처음에 보이는 것보다는 더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입니다. 왜냐하면 이데아들에 대한 이론이 일단 한번 구성되고 나면, 그다음에 등장하게 되는 커다란 문제가 바로 어떻게 이데아로부터 사물들로 나아가게 되는 이행이, 즉 영원으로부터 시간으로 나아가게 되는 이행이, 이루어지느냐를 아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그렇지만 이 문제에 대한 플라톤의 해법이 순전히 신화적이기만 하다는 것은 분명합니다. 이 해법은 그저 상징들을 통해서 제시되고 있으며, 플라톤의 철학에서 결코 중심적인 자리를 차지하고 있지는 못합니다. 하지만 아리스토텔레스에 이르게 되면 벌써 이 문제는 앞자리를 향하여 나오게 되어, 비록 아직까지도 제일 앞줄을 차지하고 있는 것은 아니지만 거의 그렇게 되기까지 목전에 이르렀을 만큼 중요성을 높이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