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민속사상과 민족종교

민속사상과 민족종교

(〈옥추경〉을 통해 본)

이정재 (지은이), 경희대학교 K-컬처·스토리콘텐츠연구소 (엮은이)
경희대학교출판문화원(경희대학교출판부)
2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2,000원 -0% 0원
0원
22,000원 >
22,000원 -0% 0원
카드할인 10%
2,200원
19,8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민속사상과 민족종교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민속사상과 민족종교 (〈옥추경〉을 통해 본)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동양철학 일반
· ISBN : 9788982227479
· 쪽수 : 352쪽
· 출판일 : 2023-05-05

책 소개

〈옥추경〉을 통해 신화에서 철학으로, 민속사상에서 민족종교로 이행하는 과정을 추적해 나간다. 〈옥추경〉은 실제로 신화적 진실, 이론과 형식과 실천을 두루 겸비한 경책이었다. 그렇기에 민족종교인 동학, 증산, 불법연구회 모두의 근간에는 〈옥추경〉이 자리하고 있다.

목차

서언

Ⅰ 신화, 사상, 민속문화

1. 영웅의 일화: 민속과 사상
2. 신화에서 사상과 종교로
3. 전통사상의 응용과 재편
〈옥추경〉의 위상과 활용 | 미분적 신화의 거시적 재편

Ⅱ 전통적 독경문화와 불법연구회 구인기도

1. 불법연구회 구인기도 기도문 연구
박용덕의 구인기도 기도문과 단조직 | 이공주의 구인기도 기도문 | 구인기도 주문과 〈옥추경〉 | 맺음말
2. 전통적 독경방식에 따른 불법연구회의 ‘「옥추경」 기도’ 연구
이경순 〈옥추경〉 기도문 자료와 그 특징 | ‘갑자전문’의 의미와 ‘심고와 기도’의 감응 | ‘십오송’과 ‘찬사라’의 의미 | 〈옥추경〉 단원별 기도문 및 정전의 염불과 불공법 | 맺음말

Ⅲ 한반도의 〈옥추경〉과 불법연구회 소장 〈옥추경〉

1. 불법연구회 소장본 「옥추경」 연구
국내 〈옥추경〉 이본 현황 | ‘불법연구회’ 소장본 〈옥추경〉 | ‘불법연구회’본 〈옥추경〉의 특징과 단조직 기도문 | 맺음말
2. 『상밀주해 옥추보경』과 『옥추보경』 비교연구
불법연구회 소장 『보경해 합부』, 『옥경해 초』, 『옥추보경』의 관계와 팔괘 | 『상밀주해 옥추보경』과 장・절 구분 | 『옥추보경』과 장・절 구분 | 두 ‘보경’의 상관성과 ‘집단단기도’ | 맺음말

Ⅳ 〈옥추경〉 사상과 단조직 형성

1. 불법연구회 단기도의 〈옥추경〉 기도문 자료와 그 분석
이공주의 ‘중앙교주 기도문’ | 김영신의 기도문 | 이경순의 ‘중앙교주 중앙단원 기도문’ | 김대거의 ‘중앙단원 기도문’ | 단원별 기도문과 불법연구회 자료 『옥추보경』 및 단기도의 시기 | 맺음말
2. 일원상과 〈옥추경〉 상관성 연구
『옥경해 초』의 특징 | 『옥경해 초』의 첨부표식 | 『옥경해 초』와 단조직의 변화 과정 | 『옥경해 초』 원상 표시의 의미 | 맺음말

Ⅴ 불법연구회와 〈옥추경〉의 상관성

1. 『옥추보경』 말소 부분과 구인 산상기도문 전문 복원
불법연구회 〈옥추경〉 연구와 복원의 필요성 | 『옥추보경』 말소 부분 복원 | 구인 산상기도 기도문 전문 | 맺음말
2. 원불교의 〈교리도〉와 〈옥추령부〉
교리도의 변천사 | 교리도의 도상적 변화와 특징 | 교리도와 옥추령부의 비교와 상관성 | 맺음말

참고문헌
부록/ 영인 『옥추보경』

저자소개

이정재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재 경희대학교 국어국문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경희대학교 민속학연구소 소장이다. 독일 뮌헨대학교 민족학 철학박사, 한국민속학회 및 구비문학회 이사 및 회장, 종교사학회, 무속학회, 국제어문학회 이사 등을 역임했다. 저서로  『소태산 일화와 민속문화』, 『구비문학과 민속』, 『고전문학 다시 읽기』, 『남한강과 문학』, 『민속문학과 전통문학』, 『전설과 지역문화』, 『동북아시아 곰문화와 곰신화』, 『시베리아 부족신화』, 『한국 민속학 개론』, 『경기도 작은축제』, 『지역민속연구』 등이 있다.
펼치기
경희대학교 K-컬처·스토리콘텐츠연구소 (엮은이)    정보 더보기
경희대학교 K-컬처・스토리콘텐츠연구소는 세계인의 일상을 바꾸고 있는 K-콘텐츠의 문화 혼종성을 파악하고 그 의미와 가치를 인문적으로 성찰합니다. K-콘텐츠를 효과적으로 분석하기 위해서는 정책과 제도, 산업과 기술, 미디어와 플랫폼, 대중의 수용 문화 면에서 초국가적 맥락을 확인해야 합니다. K-컬처·스토리콘텐츠연구소는 한류와 K-컬처, K-콘텐츠 연구를 포괄하면서 동시대 스토리콘텐츠에 대한 현장 지향적 학술장을 순발력 있게 주도해 나갈 것입니다. https://kcsc.khu.ac.kr
펼치기
경희대학교 K-컬처·스토리콘텐츠연구소의 다른 책 >

책속에서

신화, 사상, 민속문화_〈옥추경〉은 민중이 가꾸어왔다. 특히 무속 즉, 독경무의 혜안이 작용하였다. 한반도의 민중은 어떤 것이 진실이고, 어떤 것이 진실을 말하고 있는 핵심경인지 알고 있었다. 당시는 유가의 광기에 휩쓸려 다른 것은 취급조차 하기 어려운 실정이 아니었던가. 그 살벌한 곤란을 뚫고 꿋꿋이 고독하게 계승을 이은 것은 미천한 민중이었다. 그들은 진리에 대한 확신이 서 있었다. 그렇지 않고는 어떤 설명도 불가능하다. 그렇기에 이 땅의 지혜와 혜안은 민중을 통해 면면이 이어져왔음을 알아야 한다.


전통적 독경문화와 불법연구회 구인기도_갑자전문은 천간(天干)과 지지(地支)의 통합이다. 하늘과 땅의 도수를 천간과 지간으로 나누어 서로를 엮어놓은 것이다. 즉, 시간과 공간을 종횡으로 엮어 짜놓았다는 의미다. 달리 말해 시간과 공간을 설정하는 태초의 작업이다. 이는 다시 시공이 결합된 우주와 만물의 총체를 가리키는 것이면서, 동시에 태초의 우주적 상황을 지칭하는 것이다. …이것으로부터 인간사는 자연과 다른 차원의 세계와 우주로 전개된다. 이렇게 유식학의 입장과 다르지 않은 세계관을 제시하고 있는 것이다. 인간사 모든 것은 인간의 인식체계로부터 시작되는데 그 인식의 기초가 시간・공간의 기초 설정에서 비롯된다.


한반도의 〈옥추경〉과 불법연구회 소장 〈옥추경〉_최초 구인제자들의 방위별 지정과 기도처 선별은 최초이면서 시방세계를 섭렵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고 다시 강조해 말할 수 있다. 각 단원들의 칭호는 시방의 방위를 따라 정하였는데 그 방법이 독특하다. 문왕 팔괘(文王八卦)에 따르면 건(乾), 감(坎), 간(艮), 진(震), 손(巽), 이(離), 곤(坤), 태(兌) 8방으로 이전의 복희 팔괘와는 다른 방향과 조합을 정한 것이다. 이는 각각 서북, 북, 북동, 동, 동남, 남, 남서, 서, 상, 하를 가리킨다. 소태산은 여기에 중앙과 단장을 추가하여 10개 방위를 만들었다. 중앙은 땅을 단장은 하늘을 응한다는 의미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